$\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낙담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and Self-Discourage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4, 2020년, pp.475 - 486  

김현숙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낙담, 자기격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에 소재한 3곳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존재하였고 자기낙담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에 정적상관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자기격려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에 부적상관이 존재하였다. 둘째,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낙담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고 자기격려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에게 상담자의 조력이나 안내를 통해 변화가능성이 있는 자기격려를 신장시켜줌으로써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을 지닌 내담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치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and Self-Discourage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19 university students and the data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re...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46)

  1. 김정욱, 권석만, 정남운, "한국판 대인관계 문제척도(K-IIP)의 개발: 요인 구조 및 심리측정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pp.153-175, 2000. 

  2. E. Y. Strahan,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ocial skills on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4, pp.347-366, 2003. 

  3. R. M. Sherpherd, "Volitional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College Quarterly, Vol.9, No.4, pp.10-26, 2006. 

  4. 김민선, 서영석,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8권, 제3호, pp.525-545, 2009. 

  5. 김미연,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감소를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의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6. 김은정, 사회공포증, 학지사, 2000. 

  7. H. L. Ansbacher and R. R. Ansbacher, The individual psychology of Alfred Adler, Harper & Row, 1964. 

  8. A. Adler, Study of organ inferiority and its psychical compensation (S. E. Jelliffe, Trans.), New York: Nervous and Mental Diseases Co. (Original work published 1907), 1917. 

  9. R. Bahlmann and L. Dinter, "Encouraging self-encouragement: an effect study of the encouraging-training Schoenaker-concept,"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Vol.57, No.3, pp.273-288, 2001. 

  10. 기채영, "대학생의 자기위로, 자기격려, 자기수용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1권, 제4호, pp.65-76, 2008. 

  11. D. Dinkmeyer and L. Losoncy, The skills of Encouragement, St. Luice Press, 1996. 

  12. D. M. Clark and A. Wells,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The Guilford Press, 1995. 

  13. R. M. Rapee and R. G. Heimberg,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anxiety in social phobia,"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35, No.8, pp.741-756, 1997. 

  14. 기인숙,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외모에 대한 관심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5. R. S. Miller, "On the nature of embarrass ability: shyness, social evaluation, and social skill," Journal of Personality, Vol.63, pp.315-339, 1995. 

  16. N. L. Kocovski and N. S. Endler, "Social anxiety, self-regulat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Vol.14, pp.347-358, 2000. 

  17. R. M. Rapee and M. J. Abbott, "Modelling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variables during and following public speaking in participants with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5, pp.2977-2989, 2007. 

  18. 김순희,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불안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9. B. R. Schlenker and M. R. Leary,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and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Vol.92, pp.641-669, 1982. 

  2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1994. 

  21. M. R. Leary, "A brief version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9, pp.371-375, 1983. 

  22. 송은영, 하은혜, "청소년의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제8권, 제1호, pp.41-56, 2008. 

  23. G. J. Masaster and R. J. Corsini, Individual psychology: theory and practice, Adler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1999. 

  24. D. Dinkmeyer and D. Eckstein, Leadership by encouragement, New York: St. Luice Press, 1996. 

  25. 노안영, 정민, "자기 격려-낙담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호, 제3호, pp.675-692, 2007. 

  26. M. A. Lingg and B. Wilborn, "Adolescent discouragement: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instrument,"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Vol.48, pp.65-75, 1992 

  27. D. Dinkmeyer and R. Dreikurs, Encouraging children to lear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63. 

  28. H. Clemens and R. Dean, Self-esteem, the key to your child's well-being, New York: Putnam, 1981. 

  29. R. G. Heimberg, D. A. Hope, R. M. Rapee, and M. A. Bruch, "The validity of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and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with social phobic patient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26, pp.407-410, 1988. 

  30. C. S. Caver and M. F. Scheiere, "Control theory :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for personality-social,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Psychological Bulletin, Vol.92, pp.111-135, 1982. 

  31. C. Pozo, C. Carver, A. R. Wellens, and M. Scheier, "Social anxiety and social perception: Construing others' reaction to the sel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17, pp.355-362, 1991. 

  32. R. Dreikurs, Social equality: The challenge of today, Adler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1971. 

  33. Merriam-Webster, "encouragement," http://www.merriam-webster.com, 2020. 

  34. 노안영, 격려치료 워그샵 Workbook , 2013. 

  35. 기채영, 아동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 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6. R. M. Carns and W. A. Carns, "A review of the professional literature concerning the consistency of the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adlerian encouragement,"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Vol.54, pp.72-89, 1998. 

  37. T. Schoenaker, Mut tut gut: Ich weibich bin okay: Das encouraging-training, Horizonte Verlag GmbH, 1991. 

  38. R. N. Carleton, D. McCreary, P. J. Norton, and G. J. G. Asmundson, The 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Depression & Anxiety, 2006. 

  39. 홍영근, 문지혜, 조현재, "한국판-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II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0권, 제1호, pp.117-134, 2011. 

  40. R. P. Mattick and J. C. Clark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Social Phobia Scrutiny Fear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36, pp.455-470, 1998. 

  41. 김향숙, 사회공포증 하위 유형의 기억 편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2.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43. M. R. Leary and R. M. Kowalski, Social anxiety, The Guilford Press, 1995. 

  44. 이기은, 조유진, "성인애착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_사회불안 중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제16권, 제2호, pp.191-204, 2009. 

  45. C. Rogers, A way of being. Boston: Houghton Mifflin, 1980. 

  46. 김사라형선,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아동의 정서 관계에서 아동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중재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