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imulation-Based Orientation Program before Pediatric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119 - 127  

하영옥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  정소영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처음 아동간호 임상실습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서, 임상실습을 시작하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 70명이 대상자이다. 실험군 35명의 학생에게는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을 적용하였고, 대조군 35명의 학생에게 기존의 강의형태 오리엔테이션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대상자들의 오리엔테이션 전과 실습 후에 간호수행능력,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설문으로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 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은 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t=5.390, p<.001).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은 실습 후 모두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의 내용을 구성하고 운영할 때 학생들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simulation-based orientation program for students preparing for clinical practice in child nursing for the first time.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70 3rd grade nur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실습 전 강의식 오리엔테이션 관련한 학생들의 의견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전학기 강의식 오리엔테이션 후 아동간호학 임상실습을 진행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 간호학 임상실습의 어려움, 오리엔테이션 시 좀더 강조해야 할 부분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병실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아동의 활력징후 측정이 힘들었다는 의견이 조사대상 16명 중 10명(60%)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간호 임상 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간호 임상 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이 임상 실습 관련한 간호수행능력,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오리엔테이션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실습 오리엔테이션 방법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하나의 시나리오를 통해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처음 아동간호 임상실습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아동간호 임상실습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간호 임상 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임상실습 관련한 간호수행능력,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즉,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처음 아동간호 임상실습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아동간호 임상실습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아동간호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임상 실습 후 간호수행능력 점수가 더 크게 증가할 것이다.
  • 아동간호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임상 실습 후 의사소통능력 점수가 더 크게 증가할 것이다.
  • 2) 아동간호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임상 실습 후 지각된 스트레스 점수가 더 크게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 S. Choi & N. S. Ha.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self-esteem,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1(1), 13-21. 

  2. S. G. Kim. (2015). Effect of simulation-based high-risk neonatal care educ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0), 6807-6815. DOI:10.5762/KAIS.2015.16.10.6807 

  3. H. S. Shin & K. K. Shim. (2010).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n Ped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2), 147-155. 

  4. Kameg K, Howard VM, Clochesy J, Mitchell AM. & Suresky JM. (2010). The impact of high fidelity human simulation on self-efficacy of communication skills.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31(5), 315-323. DOI:10.3109/01612840903420331 

  5. Lewis R., Strachan A. & Smith MM. (2012). Is high fidelity simulation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non-technical skills in nursing? a review of current evidence. The Open Nursing Journal, 6, 82-89. DOI:10.2174/1874434601206010082 

  6. S. Kim & Y. S. Ham. (2015).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08-319. DOI:10.5977/jkasne.2015.21.3.308 

  7. Tuzer H., Dinc L. & Elcin M. (2016). The effects of using high-fidelity simulation and standardized patients on the thorax, lung, and cardiac examination skill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45, 120-125. DOI:10.1016/j.nedt.2016.07.002 

  8. S. H. Lee, M. H. Kim & K. S. Sun. (2007). The Clinical Competence and Related and Related Factors of the Nursing Students: Focused on the Subjects Who Studied Problem-Based Lear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5), 753-760. 

  9. Burn P. & Poster C. (2008). Competency development in new registered nursegraduates: Closing the gap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9, 67-73. DOI:10.3928/00220124-20080201-03 

  10. Y. J. Yi. (2008).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Clinical Practicum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30-37. DOI:10.5977/jkasne.2008.14.1.030 

  11. Worrall K. (2007). Orientation to student placements: needs and benefits. Nursing Children and Young People, 19(1). DOI:10.7748/paed2007.02.19.1.31.c4443 

  12. Dearmon V. et al. (2012). Effectiveness of simulation-based orientation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reparing for their first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2(1), 29-38. DOI:10.3928/01484834-20121212-02 

  13. Murphy L. J. & Janisse L. (2017). Optimizing transition to practice through orientation: A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3(11), 583-590. DOI:10.1016/j.ecns.2017.07.007 

  14. Olejniczak E. A., Schmidt, N. A. & Brown, J. M. (2010). Simulation asan orientation strategy for new nurse graduates: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evidence. Simulation in Healthcare, 5(1), 52-57. DOI:10.1097/SIH.0b013e3181ba1f61. 

  15. Hommes T. (2014). Implementation of simulation to improve staff nurse education. Journal for Nurs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30(2), 66-69. DOI:10.1097/01.NND.0000433144.66804.4c. 

  16. S. H. Lee. (2008). Effect of Clinical Practice Orientation Program on Anxiety,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4), 539-547. 

  17. Y. B. Lee, J. H. Park & Y. M. Park. (2019). Application Development for Customized Clinical Practice Orientation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6, 211-220. 

  18. J. H. Lee et al. (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2), 127-134. 

  19.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20. J. E. Cha. (1996). A study for development of a general self-efficacy scale. Psychology research, 34, 19-31. 

  21. Rubin RB. & Martin MM. (1994).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11(1), 33-44. 

  22. G. H. Hur.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12(47), 380-408. 

  23. E. J. Ko & E. J. Kim. (2019).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before Clinical Experience on Knowledge, Clinical Practice Anxie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5(3), 289-299. DOI:10.5977/jkasne.2019.25.3.289 

  24. S. M. Kim, M. J. Park & Y. K. Yang. (2015). Effects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of receiving a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blood transfus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 Nursing, 22(), 406-415. DOI:10.7739/jkafn.2015.22.4.406 

  25. Cantrell M. L., Meyer S. L. & Mosack V. (2017). Effects of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 stres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6(3), 139-144. DOI:10.3928/01484834-20170222-04 

  26. Yerkes R. M. & Dodson J. D. (1908). The relation of strength of stimulus to rapidity of habit-formation.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and Psychology 18, 459-482. 

  27. J. O. Lee. (2014).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Underwent Before or After the Clinical Practice for th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203-211. DOI:10.5977/jkasne.2014.20.2.203 

  28. S. O. Kim & S. Y. Park. (2013).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training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arning Styl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1046-10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