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와 간호사의 환자안전교육 경험에 관한 포커스 그룹 연구
Focus Group Study on Health Care Professionals'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Education 원문보기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 QIH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26 no.2, 2020년, pp.56 - 65  

박정윤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  이유라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정보의학교실) ,  이의선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응급의학과) ,  이재호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정보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education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developing a patient safety curriculum in South Korea. Method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wo focus group interviews in the period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도되었다. 의사와 간호사의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환자안전교육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 교육방법, 지원정책을 포함한 시스템의 순서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환자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환자안전 인식, 환자안전사건 경험, 기존 환자 안전교육 평가 등에 대한 의사와 간호사의 요구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의사와 간호사의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환자안전교육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 교육방법, 지원정책을 포함한 시스템의 순서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번 연구는 의사와 간호사가 임상현장에서 경험한 환자안전교육을 심층적으로 면밀하게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면담 방법을 이용한 질적연구이다.
  • 이에 이번 연구에서 의사와 간호사 대상의 환자안전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환자안전사건 및 환자안전교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환자안전교육 요구도에 기반을 둔 환자안전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직종과 직급의 의료진들의 환자안전 관련 지식과 역량을 향상시키고, 임상현장이나 교과과정에 적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환자안전 향상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한다.
  • 환자안전교육 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환자안전 인식, 환자안전사건 경험, 기존의 환자안전교육평가 등에 대한 의사와 간호사의 경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필사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77개의 의미단위에서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7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Patient safety [Internet]. Boston, MA, USA: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2020 [cited 2020 Dec 29] Available from: http://www.ihi.org/Topics/PatientSafety/Pages/Overview.aspx 

  2. Kronick R. AHRQ's role in improving quality, safety, and health system performance. Public Health Reports. 2016;131(2):229-32. 

  3. Shin JM, Cho GY. Critical considerations on autonomous reporting system of current and revised patient safety law.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18;4(2):33-42. 

  4. Lee YM. Patient safety curriculum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009;21(3):217-28. 

  5. Walton MM, Shaw T, Barnet S, Ross J. Developing a national patient safety education framework for Australia.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6;15(6):437-79. 

  6. Walton M, Woodward H, Van Staalduinen S, Lemer C, Greaves F, Noble D, et al. The WHO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 for medical school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10;19(6):542-8. 

  7. Commission KC.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nual report. Seoul: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4. 

  8. Langlois S. Developing an appreciation of patient safety: analysis of interprofessional student experiences with health mentors. Perspectives on Medical Education. 2016;5(2):88-94. 

  9. Park KH, Park KH. Patient safety education: Team communication and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19;21(1):22-30. 

  10. Oh HM, Lee W, Jang SG, Kim SY. Current practices and future directions in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curriculum in medical schools.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19;21(3):143-9. 

  11. Kim YS, Kim MS, Hwang JI, Kim HR, Kim HA, Kim HS, et al. Experiences in patient safety education of patient safety officer using focus group interview.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19;25(2):2-15. 

  12. Kane JM, Brannen M, Kern E. Impact of patient safety mandates on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Patient Safety. 2008; 4(2):93-7. 

  13. Marshall S, Harrison J, Flanagan B. The teaching of a structured tool improves the clarity and content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communication.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9;18(2):137-40. 

  14. Robb G, Stolarek I, Wells S, Bohm G. The state of quality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teaching i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in New Zealand. New Zealand Medical Journal. 2017;130(1464):13-24. 

  15. Jung HS, Kim Sh.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 using simulated situ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9;20(12):398-4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