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EQ-5D index의 지역간 변이와 관련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의 중요성
Regional Variation of EQ-5D Index and Related Factors in Community Health Survey: Major Role of Psychosocial Factors in Korea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5 no.4, 2020년, pp.183 - 193  

김은수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남해성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생태학적 연구로서 EQ-5D index로 측정되는 건강수준의 시군구 단위 변이를 파악하고 지역사회건강조사 지표에서 이러한 변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17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에서 산출되는 전국 229개 시군구의 EQ-5D index 변이는 EQ(격차비) 1.1배, CV(변이계수) 1.0으로 지역 간 변이는 연구에 포함된 독립변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EQ-5D index 값이 전국 하위 25%에 속하는 시군구 비중이 높은 광역시도는 전라북도(9개 시군, 64.3%)와 충청남도(7개 시군, 46.7%)이었다. 다중 선형회귀분석 결과 지역 간 변이의 주요요인으로 우울감 경험률, 스트레스 인지율, 자살 생각률, 관절염진단 경험률 등이 도출되었다. 지역 간 건강수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회심리적 요인들을 포함한 상기 요인들의 개선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s an ecological stud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mmunity-level variation of health related quality-of-life (HRQOL),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explain the variation, using 2017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data. Methods: Community health indicators of KCH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EQ-5D index의 시군구 간 변이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EQ-5D index의 지역 간 변이의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단위 인구집단건강 접근전략 수립을 위한 근거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즉, EQ-5D index로 측정되는 건강수준의 지역 간 변이를 파악하고, 이러한 지역 간 변이를 설명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지표를 건강행태, 사회심리 적요인, 질병이환 및 의료이용 등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탐색된 지표들에 대해 WHO CSDH 모형에 제시된 매개요인의 틀 속에서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7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에서 산출되는 전국 229개 시군구 지표들을 이용하여 건강수준(EQ-5D index 등)의 시군구간 격차수준과 이러한 격차의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7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에서 산출되는 전국 229개 시군구의 EQ-5D index 변이는 연구에 포함된 독립변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지만 대부분 EQ-5D index는 0.
  • 이 연구는 생태학적 연구로서 EQ-5D index로 측정되는 건강수준의 시군구 단위 변이를 파악하고 지역사회건강조사 지표에서 이러한 변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17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에서 산출되는 전국 229개 시군구의 EQ-5D index 변이는 EQ(격차비) 1.
  • 둘째, EQ-5D index의 지역 간 변이의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단위 인구집단건강 접근전략 수립을 위한 근거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EQ-5D는 다섯 문항의 측정값 각각에 대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인 EQ-5D index를 구하게 되는데 개인 단위 분석에서 관련 요인을 찾은 연구들은 많았지만, 지역단위 수준에서 EQ-5D index의 지역적 변이와 관련요인을 파악한 문헌은 수 편에 불과하다[9]. 이에 본 연구에서는 WHO CSDH 모형의 매개 요인[8]과 EQ-5D index 관련 요인 연구결과[10, 11]를 반영하여 지역사회건강조사 변수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EQ-5D index로 측정되는 건강수준의 지역 간 변이를 파악하고, 이러한 지역 간 변이를 설명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지표를 건강행태, 사회심리 적요인, 질병이환 및 의료이용 등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WHO CSDH 모형의 매개 요인[8]과 EQ-5D index 관련 요인 연구결과[10, 11]를 반영하여 지역사회건강조사 변수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EQ-5D index로 측정되는 건강수준의 지역 간 변이를 파악하고, 이러한 지역 간 변이를 설명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 지표를 건강행태, 사회심리 적요인, 질병이환 및 의료이용 등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탐색된 지표들에 대해 WHO CSDH 모형에 제시된 매개요인의 틀 속에서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 첫째, EQ-5D index의 시군구 간 변이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EQ-5D index의 지역 간 변이의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urtis S. Health and inequality: geographical perspectives. London, Sage, 2004. 

  2. Macintyre S, Ellaway A, Cummins S. Place effects on health: how can we conceptualise, operationalise and measure them? Soc Sci Med 2002;55:125-139 

  3. Lee SG. Regional contextual factors and self-rated health.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4:21(4):75-97 (Korean) 

  4. Black D, Morris JN, Smith C, Townsend P, Davidson N, Whitehead M. The Black report, inequalities in health. London, Penguin Books, 1982 

  5. Jeong JY, Kim C, Shin MH, Ryu SY, Yoon TH, Hong J, Kim NH, Hwang TY, Kim H, Kim KY, Lee H, Kim MH, Kim DH, Factors related with regional variations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at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7;43(3):91-108 (Korean) 

  6. WHO. A Conceptual Framework for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Discussion Paper Series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7. WHO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of the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8. Kim DJ, Lee SY, Ki M, Kim MH, Kim SS, Kim YM, Yoon TH, Jang SR, Jung-Choi KH, Chae HR, Lee JA. Developing Health Inequalities Report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Seoul, 2013 (Korean) 

  9. Jeong YR, Hahm MI, Min IS, Kang E. Impact of Factors on community-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munity Unit Analysis. Jour of KoCon.a 2015:15(1), 276-285 (Korean) 

  10. Sohn AR, Yoon JT, Koh SD, Chun S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among Seoul Citize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0;27(4):141-152. (Korean) 

  11. An HM.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 male and female adults according to life cycle: By using 4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0 (Korean) 

  12. Kim YT, Choi BY, Lee KO, Kim H, Chun JH, Kim SY, Lee DH, Ghim YA, Lim DS, Kang YW, Lee TY, Kim JS, Jo H, Kim YJ, Ko YS, Seo SR, Park NR, Lee JK. Overview of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J Korean Med Assoc 2012;55(1):74-83 (Korean) 

  13. Lee YK, Nam HS, Chuang LH, Kim KY, Yang HK, Kwon IS, et al.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Health 2009;12(8):1187-1193 

  14. Nam JM, Cho WH, Lee SH. A study on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and testing of variation indicies at the small area variation analysis. Korean J Prev Med 1999;32(1):80-87 (Korean) 

  15. Han MA, Ryu SY, Park J, Kang MG, Park JK, Kim K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the EuroQol-5D in Some Rural Adults. Korean J Prev Med 2008;41(3):173-180 (Korean) 

  16. No JY, Kim SY, Kweon IS, Nam HS. Effect of Arthritis and Comorbid Chronic Condition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JKAIS) 2014;15(6):3751-3758 (Korean) 

  17. Kil SR, Lee SI, Yun SC, An HM, Jo MW. The declin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some diseases in Korean adult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6):434-441 (Korean) 

  18. Han MA, Ryu SY, Park J, Kang MG, Park JK, Kim K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by the EuroQol-5D in Some Rural Adults. Korean J Prev Med 2008;41(3):173-180 (Korean) 

  19. Shin, Hwan Ho, Han, Mi Ah, Park, Jong, Ryu, So Yeon, Choi, Seong Woo, Park, Seon Mi, Kim, Hyo Ju.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compared with non-diabetic subjects in Korea: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5;40(1):21-31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