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라지역 응급실 환자의 유출입 분석 및 지역유형 변화 추이
Analysis of Change Transitions in Regional Type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 Flows of in Jeonlado (2014-2018)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2, 2020년, pp.126 - 131  

이재현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  이성민 (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김성중 (조선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오미라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라도 지역 시·군·구의 지역 유형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응급실 환자들의 유출입 현황을 분석하였다. 2014-2018년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에서 전라도 지역의 자료를 추출하였고, 환자의 주소와 응급의료기관 주소를 활용하여 지역친화도(Relevance index, RI)와 지역환자구성비(Commitment index CI)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지표들을 적용하여 군집분석으로 지역유형을 분류하였고, 비모수적 방법인 크루스칼-왈리스 검정을 사용하여 지역유형에 대한 RI와 CI의 연도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RI와 CI를 활용한 군집분석 결과는 3개의 지역유형으로 구분되었고, 군집 1은 유출형, 군집 2는 유입형, 군집 3은 자체충족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지역유형)에 대한 RI와 CI의 연도별 차이에서는 군집 2(유입형)와 군집 3(자체충족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군집 1(유출형)은 CI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RI에서 2004년은 2017년과 2018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응급의료 집중화가 심해진 반면, 응급의료 환경이 개선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inflow and outflow patterns of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to identify changes in regional types in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in Jeonlado, Korea. Data of areas in Jeonlado for 2014 to 2018 were extracted from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The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최근 5년(2014-2018년) 동안 의 국가 응급 진료 정보망(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자료를 이용하여, 응급 의료의 지역 간 격차가 많은 전라도 지역(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의 응급환자에 대한 유출입의 응급의료 이용 양상을 파악하고, 시간에 따른 시‧군‧구의 지역들에 대한 응급의료 서비스 유형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 O. Ahn, J. Y. Hong, Y. Kim & K. Y. Jung. (2006). Appropriate Interhospital Transfer of Emergent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7(2), 138-145. 

  2. T. A. H. Rocha, N. C. Silva, P. V. Amaral, A. C. Q. Barbosa, J. V. M. Rocha & V. Alvares. (2017). Addressing geographic access barriers to emergency care services: a national ecologic study of hospitals in Brazil.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6, 149. DOI : 10.1186/s12939-017-0645-4 

  3. G. J. Yoon, S. I. Ha, J. Y. Uh, J. H. Kim, Y. S. Shin & S. H. Lee. (2014). Trends and issues for improvement of Korea healthcare delivery syste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4. S. M. Kwon, E. Y. Bae & Y. J. Choi. (2010). Distinguishing role hospital and clinics ambiguous "current medical delivery system" must give clear function.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Seoul. 

  5. J. R. Griffith. (1972). Quantitative Techniques for Hospital Planning and Control. MA : Lexington Books. 

  6. M. Oh, B. U. Jeon, J. H. Lee, T. O. Jeong & T. Heo. (2019). Inflow and outflow type analysis of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of the Honam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30(4), 348-354.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2018-2022 Emergency medical basic plan (Online).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7154 

  8. S. H. Lee, J. I. Hwang, D. H. Hong & S. K. Park. (2004). Fundamental research for optimizing hospital resource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Chungbuk. 

  9. M. Charrad, N. Ghazzali, V. Boiteau & A. Niknafs. (2014). NbClust: An R Package for Determining the Relevant Number of Clusters in a Data Set.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61, 1-36. DOI : 10.18637/jss.v061.i06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Emergency medical vulnerable regions (Online). http://www.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490859909106_20170330164509.hwp&rs/upload/viewer/result/20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