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 환자 선별에서의 작업기억 능력 관련 구어유창성 및 이야기이해 능력의 차이
Differences in Verbal Fluencies and Discourse Comprehension Abilities associated with Working Memory in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2, 2020년, pp.383 - 390  

여한결 (광주대학교 임상언어치료학과) ,  김충명 (광주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구어유창성과 이야기이해 과제 수행능력의 차이 및 작업기억 처리수준과의 상관 그리고 언어능력 관련 요인선별을 위해 시행되었다. 전반적인 인지능력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각기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구어유창성 내 음소유창성 및 이야기이해 그리고 작업기억 하위과제인 지연회상과 재인과제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수행능력의 차이를 보였다. 상관 및 회귀분석에서는 알츠하이머 그룹이 작업기억 내역행 숫자기억 과제와 이야기이해 과제에서만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혈관성 치매 그룹은 추가적으로 재인 점수에서도 이야기이해 능력과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한편, 회귀분석에서는 혈관성 치매 그룹에서만 언어적 작업기억 능력이 이야기이해 능력의 예측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유형의 치매를 구분하는 데 있어 음소유창성 과제 외에 이야기이해 및 작업기억 과제가 유의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는데, 이를 통해 두 유형의 치매에 대한 분류기준을 제고함은 물론 적절한 치료계획 및 효율적인 중재에 부가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verbal fluency and story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working memory(WM) capacity, and to find out what WM factors influence the linguistic competence in Alzheimer's disease(AD) and vascular dementia(VaD) groups e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 치매 유형인 AD 및 VaD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미 또는 음소범주 산출과제가 포함된 구어 유창성과 함께 이야기이해 능력 및 작업기억 능력을 평가하여, 두 집단 간 과제별 수행 능력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동시에 구어유창성 및 이야기 이해 능력이 작업기억 능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선행연구[21, 22]를 바탕으로 두 집단에서의 구어 유창성 관련 표현언어와 이야기이해 능력 관련 수용언어의 수행 수준이 어떠한 상관을 보이는지 그리고 이러한 특징이 두 부류의 언어-인지적 장애 특성을 변별하는 기준이 되는지 함께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AD, VaD환자를 대상으로 구어유창성과제와 이야기이해 과제 및 작업기억 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간의 구어유창성 능력과 이야기이해 능력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 언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기제로서 작업기억과의 연관성을 살펴 보았다.
  •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동시에 구어유창성 및 이야기 이해 능력이 작업기억 능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선행연구[21, 22]를 바탕으로 두 집단에서의 구어 유창성 관련 표현언어와 이야기이해 능력 관련 수용언어의 수행 수준이 어떠한 상관을 보이는지 그리고 이러한 특징이 두 부류의 언어-인지적 장애 특성을 변별하는 기준이 되는지 함께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 Jeong, S. J. Kang & D. L. Na. (2002). Vascular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6(6), 639-646. 

  2. R. L. Spitzer, M. G. Skodol & J. B. W. Williams.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 A. Jorm, A. Korten & A. Henderson. (1987). The prevalence of dementia: a quantitative integration of the literatur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76(5), 465-479. 

  4. I. Kang, J. Park, Y. Lee, S. Seo, K. Kim & S. Choi. (2005). Socioeconomic cost analysis fordementia patients.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 

  5. J. L Cummings & D. F. Benson. (1992).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Boston, MA: Butterworth-Heinemann. 

  6.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Prevalence of dementia. http: //www.mohw. go.kr/front_new/al/sal0301vw.jsp? 

  7. G. C. Roman. (2005). Clinical forms of vascular dementia. Vascular Dementia, Springer: 7-21. 

  8. J. V. Bowler, M. Eliasziw, R. Steenguis & D. G. Munoz. (1997). Comparative evolution of Alzheimer disease, vascular dementia, and mixed dementia. Archives of neurology, 54(6), 697-703. 

  9. C. Ballard, J. O'Brien, C. M. Morris, R. Barber, A. Swann, D. Neill & I. McKeith. (2001). The progression of cognitive impairment in dementia with Lewy bodies, vascular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6(5), 499-503. 

  10. P. R. Solomon, A. Hirschoff, B. Kelly, M. Relin, M. Brush, R. D. DeVeaux & W. W. Pendlebury. (1998). A 7 minute neurocognitive screening battery highly sensitive to Alzheimer's disease. Archives of neurology, 55(3), 349-355. 

  11. J. D. Henry & J. R. Crawford. (2004). A meta-analytic review of verbal fluency performance following focal cortical lesions. Neuropsychology, 18(2), 284. 

  12. S. Jones, E. J. Laukka & L. Backman. (2006). Differential verbal fluency deficits in the preclinical stages of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Cortex, 42(3), 347-355. 

  13. J. C. Looi & P. S. Sachdev. (1999). Differentiation of vascular dementia from AD on neuropsychological tests. Neurology, 53(4), 670-670. 

  14. M. Laine, E. Vuorinen & J. O. Rinne. (1997). Picture naming deficits in vascular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19(1), 126-140. 

  15. K. Fahlander, A. Wahlin, O. Almkvist & L. Backman. (2002). Cognitive functioning in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further evidence for similar patterns of deficits.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4(6), 734-744. 

  16. H. Chertkow & D. Bub. (1990). Semantic memory loss in dementia of Alzheimer's type: What do various measures measure? Brain, 113(2), 397-417. 

  17. R. J. Welland, R. Lubinski & D. J. Higginbotham. (2002). Discourse comprehension test performance of elder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5(6), 1175-1187. 

  18. C. Hudon, S. Belleville, C. Souchay, M.-C. Gely-Nargeot, H. Chertkow & S. Gauthier. (2006). Memory for gist and detail information in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psychology, 20(5), 566. 

  19. D. A. Robertson, M. A. Gernsbacher, S. J. Guidotti, R. R. Robertson, W. Irwin, B. J. Mock & M. E. Campana. (2000). Functional neuroanatomy of the cognitive process of mapping during discourse comprehension. Psychological science, 11(3), 255-260. 

  20. T. Trabasso & J. P. Magliano. (1996). Conscious understanding during comprehension. Discourse Processes, 21(3), 255-287. 

  21. M. Daneman & P. A. Carpenter. (1980).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and reading.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9(4), 450-466. 

  22. D. Caplan & G. Waters.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processing speed, working memory capacity, and language comprehension. Memory, 13(3-4), 403-413. 

  23. G. McKhann, D. Drachman, M. Folstein, R. Katzman, D. Price & E. M. Stadlan. (1984).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Report of the NINCDS­ADRDA Work Group* under the auspices of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ask Force on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34(7), 939-939. 

  24. G. C. Roman, T. K. Tatemichi, T. Erkinjuntti, J. Cummings, J. Masdeu, J. Garcia, L Amaducci, J.-M. Orgogozo, A. Brun & A. Hofman. (1993). Vascular dementia: diagnostic criteria for research studies: report of the NINDS­AIREN International Workshop. Neurology, 43(2), 250-250. 

  25. Y. Kang. (2006).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5, 1-12. 

  26. Y. Kang, D. Na & S. Hahn. (2003).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Incheon: Human brain research & consulting co. 

  27. C. Choi & H. Choi. (2013). Story comprehension ability in patients with MCI and DAT. Journal of Speech-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22(22), 159-180. 

  28. Y. Kang, J. Chin & D. Na. (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digit span test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y, 21(4), 911-922. 

  29. J. L .Cummings, H. V. Vinters, G. M. Cole & Z. S. Khachaturian. (1998). Alzheimer's disease: etiologies, pathophysiology, cognitive reserve, and treatment opportunities. Neurology, 51(1 Suppl 1), S2-S17. 

  30. M. F. Mendez, M. M. Cherrier & K. M. Perryman. (1997). Differences between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on information processing measures. Brain and Cognition, 34(2), 301-310. 

  31. H. Choi. (2016). Working Memory and Verbal Memory's Relationship to Discourse Comprehension in Patients with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with Alzheimer's Diseas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1(2), 324-332. 

  32. R. L. Hester, G. J. Kinsella & B Ong. (2004). Effect of age on forward and backward span task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10(4), 475-48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