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고려요소 및 개선방안 탐색: 학습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Exploring Consideration Factor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Operating Effective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in College: Focusing on Learn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69 - 79  

한형종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대학 교육에 있어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고려요소를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대학 교육에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성공적인 운영이 이루어지기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가 무엇인지를 학습자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종합적으로 탐색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룹면담을 통한 질적 분석과 다차원척도 분석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경험과 인식을 통해 고려요소와 개선방안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상호작용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학습자 간 라포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활동을 촉진하는 다양한 활동 도구가 통합된 시스템 개선과 함께 교수자는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중점적으로 수행해야 하며 학습자는 몰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온라인 교육 유형들에 대해서 학습자들은 활동성과 동일 시간성으로 구분하였다. 향후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화된 수업 설계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to consider for effective operation of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in college.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is expanding in higher education.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to comprehensively identify key components based on the learn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 교육에 있어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이 확대되고있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실제적인 경험과인식을 기반으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운영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대학에서 운영된 다양한 온라인 교육의 유형에 대해 학습자들이 어떠한 인식으로 이를 구분하는지를확인하고자 하였다.
  • 또한, 대학에서이루어진 실시간 및 비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학습자가 어떠한 기준으로 유형화하여 인식하는지를 알 수 있다면 이를 고려하여 보다 강조되어야 하는 점이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의 경험과 인식을 토대로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종합적으로 탐색하고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목적을 지닌다. 구체적인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하였다. 또한, 기존 대학에서 운영된 다양한 온라인 교육의 유형에 대해 학습자들이 어떠한 인식으로 이를 구분하는지를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비추어 볼 때, 실시간 온라인 교육은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동료 교수와 함께 협력 교수가 가능한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 같다. 본 연구는 소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면담과 다차원척도분석법을 활용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실시간 온라인 교육을 포함한 대학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온라인 교육을 직접적으로 경험한 학습자로 한정하여 접근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T. C. Shoepe, J. F. McManus, S. E. August, N. L. Mattos, T. C. Vollucci & P. R. Sparks. (2020). Instructor prompts and student engagement in synchronous online nutrition classes.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34(3), 1-17. DOI : 10.1080/08923647.2020.1726166 

  2. D. C. Arroyo & Y. Yilmaz. (2018). An open for replication study: The role of feedback timing in synchronou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Language Learning, 68(4), 942-972. DOI : 10.1111/lang.12300 

  3. C. G. Jeong & J. S. Yun. (2020). Online real-time lecture operation examples and training effects : Focusing on the case of at Korea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8(3), 159-179. DOI : 10.14729/converging.k.2020.8.3.159 

  4. J. S. Choi, M. K. Kwon & E. K. Choi. (2020). A study on the instructor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of real-time online classes: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program at D University.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8(3), 159-179. DOI : 10.25150/dongak.2020..81.005 

  5. L. Somenarain, S. Akkaraju & R. Gharbaran. (2010). Student perceptions and learning outcomes in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 a biology course.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6(2), 353-356. 

  6. I. Dahlstrom-Hakki, Z. Alstad & M. Banerjee. (2020). Comparing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mpact of social presence. Computers & Education, 150, 1-11. DOI : 10.1016/j.compedu.2020.103842 

  7. M. J. Rosenberg. (2001) E-Learning: Strategies for delivering knowledge in the digital age. McGraw-Hill, New York. DOI : 10.1002/pfi.4140410512 

  8. J. Delahunty, P. T. Jones & I. Verenika. (2014). Movers and shapers: Teaching in online environments. Linguistics and Education, 28(4), 54-78. DOI : 10.1016/j.linged.2014.08.004 

  9. J. E. Nieuwoudt. (2020). Investigating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lass attendance as predictors of academic success in online education.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6(3), 15-25. DOI : 10.14742/ajet.5137 

  10. S. S. Lee. (2004). An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s in face-to-face and online synchronous/asynchronous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1), 63-88. DOI : 10.17232/KSET.20.1.63 

  11. Y. M. Koo & J. H. Seo. (2012). Development of six thinking hats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tool to facilitate structured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1), 107-121. 

  12. S. H. Eom & K. Lim. (2017). Analyses of the patterns of the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ocial media usage in college e-learning Setting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27-34. DOI : 10.14400/JDC.2017.15.4.27 

  13. A. Francescucci & L. Rohani. (2019). Exclusively synchronous online learning: The impact on student performance and engagement outcomes.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41(1), 60-69. DOI : 10.1177/0273475318818864 

  14. S. Guo. (2020). Synchronous versus asynchronous online teaching of physic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hysics Education, 55(6), 1-10. DOI : 10.1088/1361-6552/aba1c5 

  15. J. S. Choi, M. K. Kwon & E. K. Choi. (2020). A Study on Learner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of Real-Time Online Learning: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n language program at D Universit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7(2), 247-278. DOI : 10.15652/ink.2020.17.2.247 

  16. C. K. Baker & M. Hjalmarson. (2019). Designing purposeful student interactions to advance synchronous learning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Web-Based Learning and Teaching Technologies, 14(1), 1-16. DOI : 10.4018/IJWLTT.2019010101 

  17. T. H. Kim & I. J. Rha. (2010). Learners' perceptions toward non-speech sounds designed in e-learning cont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7), 470-480. DOI : 10.5392/JKCA.2010.10.7.470 

  18. J. B. Kruskal & M. Wish. (1978). Multidimensional scaling. Beverly Hills, CA: Sage University Series. DOI : 10.4135/9781412985130 

  19. E. M. Sung & R. E. Mayer. (2012). Students' beliefs about mobile devices Vs. desktop computer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omputers & Education, 59(4), 1328-1338. DOI : 10.1016/j.compedu.2012.05.005 

  20. Y. K. Lee & S. K. Yoon. (2017).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flipped learning by analyzing learners' experienc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1), 53-62. DOI : 10.18108/jeer.2017.20.1.53 

  21. E. G. Guba & Y. S. Lincoln. (1994).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DOI : 10.2307/3121684 

  22. R. C. Clark & R. E. Mayer. (2016). E-learning and the science of instruction: Proven guidelines for consumers and designers of multimedia learning. John Wiley & Sons. DOI : 10.1002/9781119239086 

  23. W. J. Hong, C. I. Lim & T. J. Park. (2013). Effects of segmenting video lectures on the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2), 1048-1057. DOI : 10.5392/JKCA.2013.13.12.1048 

  24. H. Jung & C. Brady. (2020). Maintaining rich dialogic interactions in the transition to synchronous online learning. Information and Learning Sciences, 121(5/6), 391-400. DOI : 10.1108/ils-04-2020-0096 

  25. C. Wedmeyer. (1977). Independent study. In A. S. Knowles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higher education.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26. T. C. Shoepe, J. F. McManus, S. E. August, N. L. Mattos, T. C. Vollucci, & P. R. Sparks. (2020). Instructor prompts and student engagement in synchronous online nutrition classes.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34(3), 1-17. DOI : 10.1080/08923647.2020.1726166 

  27. T. Anderson, L. Rourke, D. R. Garrison & W. Archer. (2001).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ing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5, 1-17. DOI : 10.24059/olj.v5i2.1875 

  28. E. H. Koh. (2006). The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f teaching presence as a construct in online learning context.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2(4), 263-287. 

  29. J. Brennan. (2020). Engaging learners through zoom: Strategies for virtual teaching across disciplines. Jossey-Bass. 

  30. E. C. Lee. (2013). The effect of group composition according to rapport levels on interaction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1(3), 57-82. DOI : 10.5392/JKCA.2018.18.05.514 

  31. R. A. Glazier. (2016). Building rapport to improve retention and success in online classes.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Education, 12(4), 437-456. DOI : 10.1080/15512169.2016.1155994 

  32. C. I. Lim, H. J. Han, D. E. Jung, E. O. Yunus & J. H. Hong. (2017). Exploring an e-learning platform prototype for supporting learning desig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3(4), 799-837. DOI : 10.17232/KSET.33.4.799 

  33. A. Gruber & E. Bauer. (2020). Fostering interaction in synchronous online class sessions with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R. E. Ferdig, E. Baumgartner, R. Hartshorne, R. Kaplan-Rakowski, & C. Mouza. (Eds). Teaching,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tories from the field.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