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요소 탐색과 수준 분석
An Exploration of Interaction Factors and Analysis on Interaction-Level of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in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14 - 25  

한형종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 교육에 있어서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상호작용 수준을 확인하고 상호작용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 수준에 대해 대학의 학습자들은 면대면 교육이 실시간 온라인 교육보다 상호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실시간 온라인 교육은 비실시간 온라인 교육보다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소그룹 활동과 스캐폴딩, 의사소통 통로의 다양화, 학습자 질문을 학습 내용에 통합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요소에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 느껴지는 거리감, 학습자 간 낮은 친밀감, 내용이나 지식 전달 중심의 교육, 비언어적 의사소통 정보의 제한, 안정적이지 못한 시스템이나 마이크의 잘못된 사용 등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필요 요소로는 상호작용적 수업 활동 등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상호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를 교수학습 방법과 활동, 도구 및 시스템, 환경 측면에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are the interactive factors of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identify the level of interaction. This study used mixed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level, it was recognized that face-to-face education could be more inter...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수준을 확인하고 상호작용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연구 결과, 대학의 학습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교육이 비실시간 온라인 교육보다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경험과 인식을 기반으로 어떠한 요소가 실시간 온라인 교육에서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거나 이를 저해 및 촉진하는지를 탐색한 기초연구이다. 따라서 대학 현장에서 보다 최적화된 형태의 상호작용적 실시간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요소를 중심으로 추후 수업 모형이나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 Brown, M. McCormack, J. Reeves, D. C. Brooks, and G. Susan, EDUCAUSE horizon report: Teaching and learning edition, EDUCAUSE, 2020. 

  2. R. E. Ferdig, E. Baumgartner, R. Hartshorne, R. Kaplan-Rakowski, and C. Mouza, Teaching,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tories from the field,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 (AACE), 2020. 

  3. T. C. Shoepe, J. F. McManus, S. E. August, N. L. Mattos, T. C. Vollucci, and P. R. Sparks, "Instructor prompts and student engagement in synchronous online nutrition classes,"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34, No.3, pp.1-17, 2020. 

  4. 김진모, 손규태, 이은표, 정지용, 장한별, 이화진, "대학 온라인 실시간 전공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 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52권, 제3호, pp.25-48, 2020. 

  5. 김규동, 고유정, 최고은, 박인우,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참여도, 학습자-교수자 간의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69-188, 2012. 

  6. Y. C. Kuo, A. E. Walker, B. R. Belland, K. E. Schroder, and Y. T. Kuo, "A case study of integrating Interwise: Interaction, internet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15, No.1, pp.161-181, 2014. 

  7. W. C. V. Wu, L. L. Yen, and M. Marek, "Using online EFL interaction to increase confidence, motivation, and abilit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4, No.3, pp.118-12, 2011. 

  8. 한송이, 이가영,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문화와 융합, 제42권, 제7호, pp.395-418, 2020. 

  9. H. Jung, and C. Brady, "Maintaining rich dialogic interactions in the transition to synchronous online learning," Information and Learning Sciences, Vol.121, No.5/6, pp.391-400, 2020. 

  10. 임철일, "상호작용적 웹기반 수업 설계를 위한 종합적 모형의 탐색," 교육공학연구, 제15권, 제1호, pp.3-20, 1999. 

  11. 임철일, 박복미, 송승훈, "원격대학 이러닝에 있어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 평생학습사회, 제2권, 제2호, pp.1-22, 2006. 

  12. M. G. Moore, "Three types of interac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Vol.3, No.2, pp.1-6, 1989. 

  13. A. W. Bates, Technology, open learning and distance education, Routledge, 1995. 

  14.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15. 

  15. 조규락,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 도움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7권, 제3호, pp.261-282, 2011. 

  16. M. Bower, "Groupwork activities in synchronous online classroom spaces," ACM SIGCSE Bulletin, Vol.39, No.1, pp.91-95, 2007 

  17. H. T. Hou, and S. Y. Wu, "Analyzing the social knowledge construction behavioral patterns of an online synchronous collaborative discussion instructional activity using an instant messaging tool: A case study," Computers & Education, Vol.57, No.2, pp.1459-1468, 2011. 

  18. D. L. Hoffman, and T. P. Novak, "Marketing in hypermedia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Conceptual found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60, No.3, pp.50-68, 1996. 

  19. 이동주,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제20권, 제3호, pp.53-73, 2004. 

  20. S. Kleinman, "Strategies for encouraging active learning, interaction, and academic integrity in online courses," Communication Teacher, Vol.19, No.1, pp.13-18, 2005. 

  21.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동기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416-424, 2017. 

  22. 박덕재, "온라인 대학영문법 강의에서 상호작용과 정의적 요인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510-519, 2012. 

  23. 최정선, 권미경, 최은경,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제17권, 제2호, pp.247-278, 2020. 

  24. J. E. Nieuwoudt, "Investigating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lass attendance as predictors of academic success in online education,"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36, No.3, pp.15-25, 2020. 

  25. D. Rahayu, "Students' e-learning experience through a synchronous zoom web conference system," The Academic Journal of Stud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Vol.5, No.1, pp.68-79, 2020. 

  26. J. W. Creswell, A concise introduction to mixed methods research, SAGE publications, 2014. 

  27. M. G. Moore and G. G. Kearsley, Distance education: A system view, Wadsworth, 1996. 

  28. A. L.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0. 

  29. H. W. Marshall and I. Kostka, "Fostering teaching presence through the synchronous online flipped learning approach," TESL-EJ, Vol.24, No.2, pp.1-14, 2020. 

  30. 송윤희,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259-267, 2020. 

  31. A. Gofur, A. Muhlis, and F. Rahmawati, "Lecturer's nonverbal communication attitude in classroom: Its meaning for college sudent," Journal of English Linguistics, Literature, and Education, Vol.1, No.1, pp.35-42, 2019. 

  32. H. A. Smith, "Nonverbal communication in teach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49, No.4, pp.631-672, 197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