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이차 열수 추출물의 근아세포 근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er tea extract on C2C12 myoblast differenti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2, 2020년, pp.585 - 594  

이효성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  최선경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  이보영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  김은미 (안전성평가연구소 예측독성연구본부) ,  이웅희 (충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  한효상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김기광 (충남대학교 생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근육 질환은 심각한 문제로 간주되고 있으나 근육 감소증의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약물 효과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다. 이에 중국 전통차인 보이차의 추출물을 근육 감소증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ABTS 분석, MTS 분석, 면역 블롯 분석, 면역 형광 현미경법을 수행하였다. 보이차 추출물은 우수한 라디칼 소거 능을 나타냈으며, 또한 근관을 형성하는 Myh3의 발현이 촉진시켰고, 근관 형성을 증진시켰다. 따라서 보이차는 근육생성을 촉진하는 천연 물질이며 근감소증을 포함한 다양한 근육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제약 연구의 재료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며, 보이차의 구체적인 지표물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present, aging-related degenerative muscle diseases are considered a serious problem. However, the drug effect o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arcopenia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ue of extract of Pu'er tea as a remedy to alleviate the symptom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뛰어난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잇는 보이차 추출물이 근육의 분화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보이차 추출물의 최적 처리 농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보이차에 의한 근아세포의 세포 활성도의 변화를 MTS assay 통해 확인하였다.
  •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에 의한 근감소증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서 보이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근분화 연관 단백질 발현량의 변화 및 근관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근감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식·의약 분야에서 유용한 소재 물질로 보이차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되며, 보이차 추출물의 지표 물질을 검증하고 다양한 유효 성분 중 지표 화합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 하지만 상대적으로 보이차의 근육의 분화와 증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알려진 바가 적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아세포를 이용하여 보이차의 항산화 효능과 근아세포의 활성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대표적인 근분화 연관 단백질의 발현 및 근관의 형성을 통해 연구하였고,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 H. Jeong, 1st Author et al. (2009). Phenolic ontent, Antioxidant Effec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Commercial Green, Puer, Oolong, and Black Teas. Kor J Food Preserv. 16(1), 230-237. 

  2. H.U. Gali, E.M. Perchellet, X. M Gao, J. J. Karchesy, J. P. Perchellet. (1994). Comparison of the inhibitory effects of monomeric, dimeric, and trimeric procyanidins on the biochemical markers of skin tumor promotion in mouse epidermis in vivo. Planta Med. 60(3), 235-239. 

  3. J. Castillo, 1st Author et al. (2000).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oprotective effects against chromosomal damage induced in vivo by X-rays of flavan-3-ols (Procyanidins) from grape seeds (Vitis vinifera): comparative study versus other phenolic and organ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8(5), 1738-1745. 

  4. B. P. Gaire, 1st Author et al. (2013). Terminalia chebula extract protects OGD-R induced PC12 cell death and inhibits lps induced microglia activation. Molecules. 18(3), 3529-3542. 

  5. A. Sarvazyan, O. Rudenko, S Aglyamov, S Emelianov. (2014). Muscle as a molecular machine for protecting joints and bones by absorbing mechanical impacts. Med Hypotheses. 83(1), 6-10. 

  6. S. K. Powers, G.S. Lynch, K.T. Murphy, M.B. Reid, I. Zijdewind. (2016). Disease-Induced Skeletal Muscle Atrophy and Fatigue. Med Sci Sport Exer. 48(11), 2307-2319. 

  7. F. Mourkioti, N. Rosenthal. (2005). IGF-1, inflammation and stem cells: interactions during muscle regeneration. Trends Immunol. 26(10), 535-542. 

  8. M. D. Grounds. (1999). Muscle regeneration: molecular aspects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Curr Opin Neurol. 12(5), 535-543. 

  9. D. P. Zipes, J. Jalife, G. Petrone, P. Punjabi. (2015). Cardiac Electrophysiology: From Cell to Bedside, 6th edition. Amsterdam : Elsevier. 

  10. P. Menasche, 1st Author et al. (2001). Myoblast transplantation for heart failure. Lancet. 357(9252), 279-280. 

  11. H.C. Jang, (2018). Korean SSG How to Diagnose Sarcopenia in Korean Older Adults? Ann Geriatr Med Res. 22(2), 73-79. 

  12. R. Dodds, A. A. Sayer. (2016). Sarcopenia and frailty: new challenges for clinical practice. Clin Med. 16(5), 455-458. 

  13. E. Elster, T. Riall, S. Taylor, S. Vickers, R. Martin, W. Pories. (2016). Inclusion of Sarcopenia Outperforms the Modified Frailty Index in Predicting 1-Year Mortality among 1,326 Patients Undergoing Gastrointestinal Surgery for a Malignant Indication Discussion. J Am Coll Surgeons. 222(4), 397-407. 

  14. K. M. Choi. (2016).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Kor J Intern Med. 31(6), 1054-1060. 

  15. N. Binkley, B. Buehring. (2009). Beyond FRAX (R): It's Time to Consider "Sarco-Osteopenia". J Clin Densitom. 12(4), 413-416. 

  16. J. E. Morley. (2008). Sarcopenia: Diagnosis and treatment. J Nutr Health Aging. 12(7), 452-456. 

  17. R. Simons, R. Andel. (2006). The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and walking on functional fitness in advanced old age. J Aging Health. 18(1), 91-105. 

  18. F. A. Alsolmei, H. W. Li, S. L Pereira, P. Krishnan, P. W. Johns, R. A. Siddiqui. (2019). Polyphenol-Enriched Plum Extract Enhances Myotubule Formation and Anabolism while Attenuating Colon Cancer-induced Cellular Damage in C2C12 Cells. Nutrients. 11(5), 1077. 

  19. I. Y. Kim, C. K. Zhoh, S. R. Han, Y. B. Bang, R. Y. Li. (2013). Anti-oxidative Activity and Moisturizing Effect of Fermented Puer Tea Extract. J Kor Applied Science & Technology. 30(2), 272-279. 

  20. T. B. Napotnik, M. Rebersek, P. T. Vernier, B. Mali, D. Miklavcic. (2016). Effects of high voltage nanosecond electric pulses on eukaryotic cells (in vitro): A systematic review. Bioelectrochemistry. 110, 1-12. 

  21. O. J. Kang.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 Strain from Fermented Tea. Kor J food & cookery science. 24(1), 11-15. 

  22. X. M. Zang. (1986). Bonchogangmogseub-yu. Hongkong : Commercial Press. 

  23. Y. H. Chung, M. K. Shin. (2005).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eas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18(1), 94-101. 

  24. Y. Oi, I. C. Hou, H. Fujita, K. Yazawa. (2012). Antiobesity Effects of Chinese Black Tea (Pu-erh Tea) Extract and Gallic Acid. Phytother Res. 26(4), 475-481. 

  25. H. J. Bae, J. H. Kim (2020). Green tea extract containing enhanced levels of epimerized catechins attenuates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58, 112923. 

  26. Y. Rolland, 1st Author et al. (2008). Sarcopenia: Its assessment, etiology, pathogenesis, consequences and future perspectives. J Nutr Health Aging. 12(7), 433-450. 

  27. H. K. Kamel, D. Maas, E. H. Duthie. (2002). Role of hormones in the 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sarcopenia. Drug Aging. 19(11), 865-877. 

  28. C. Y. Wang, L. Bai. (2012). Sarcopenia in the elderly: Basic and clinical issues. Geriatr Gerontol Int. 12(3), 388-396. 

  29. M. Maggio, F. Lauretani, G. P. Ceda. (2013). Sex hormones and sarcopenia in older persons. Curr Opin Clin Nutr. 16(1), 3-13. 

  30. R. Weindruch. (1995). Interventions Based on the Possibility That Oxidative Stress Contributes to Sarcopenia. J Gerontol a-Biol. 50, 157-61. 

  31. A. D. Iorio, 1st Author et al. (2006). Sarcopenia: Age-related skeletal muscle changes from determinants to physical disability. Int J Immunopath Ph. 19(4), 703-719. 

  32. T. V. Zglinicki, C. M. Martin-Ruiz. (2005). Telomeres as biomarkers for ageing and age-related diseases. Curr Mol Med. 5(2), 197-203. 

  33. Schriner SE, 1st Author et al. (2005). Extension of murine life span by overexpression of catalase targeted to mitochondria. Science. 308(5730), 1909-1911. 

  34. Y. S. Bae, H. Oh, S. G. Rhee, D. Y. Yoo. (2011). Reg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in cell signaling. Mol Cells. 32(6), 491-509. 

  35. C. E. Cross, 1st Author et al. (1987). Oxygen Radicals and Human-Disease. Ann Intern Med. 107(4), 526-545. 

  36. S. K. Powers, L. L. Ji, A. N Kavazis, M. J. Jackson. (2011). Reactive Oxygen Species: Impact on Skeletal Muscle. Compr Physiol. 1(2) , 941-969. 

  37. B. Mintz, W. W. Baker. (1967). Normal mammalian muscle differentiation and gene control of isocitrate dehydrogenase synthesis. Proc Natl Acad Sci U S A. 58(2), 592-598. 

  38. J. S. Straeter, 1st Author et al. (2011). Characterization of human myoblast differentiation for tissue-engineering purposes by quantitative gene expression analysis. J Tissue Eng Regen Med. 5(8), e197-206. 

  39. A. J. Wagers, I. M. Conboy. (2005). Cellular and molecular signatures of muscle regeneration: current concepts and controversies in adult myogenesis. Cell. 122(5), 659-667. 

  40. A. Levinovitz, E. Jennische, A. Oldfors, D. Edwall, G. Norstedt. (1992). Activ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II expression during skeletal muscle regeneration in the rat: correlation with myotube formation. Mol Endocrinol. 6(8), 1227-12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