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에서 과일 종류별 섭취 및 대사적 지표와의 관련성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
Fruit Consumption by Fruit Type and Its Relation to Metabolic Factors in Korean Adults -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3 no.6, 2020년, pp.721 - 731  

배윤정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이경행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유광원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a food-frequency questionnaire to estimate fruit consumption by sex, age, and type of fruit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fruit type and metabolic factors. Using food-frequency-questionnaire data from 3,091 adults aged 19~64 years (1,184 men and 1,907 women) in the 2016 Korea N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 번째, 과일의 종류별 섭취 빈도 및 섭취량에 대한 분석만 진행되어, 과일로부터 섭취하게 되는 미량영양소 및 생리활성물질까지 심화 분석하지 못한 애로사항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가 규모에서 장기간의 과일의 종류별 섭취 상태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이며, 과일의 종류별 섭취와 대사적 지표의 위험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추후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확보했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 두 번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가 가지는 횡단연구라는 특성상 식품 섭취량-만성질환 유병률과의 관련성을 원인-결과로 해석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섭취량 분석 시 장기간의 영양섭취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식품섭취빈도조사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그 제한점을 최대한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세 번째, 과일의 종류별 섭취 빈도 및 섭취량에 대한 분석만 진행되어, 과일로부터 섭취하게 되는 미량영양소 및 생리활성물질까지 심화 분석하지 못한 애로사항이 존재한다.
  • 또한 과일의 경우 제철 여부에 따라 섭취하는 과일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어,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시 과일의 종류별 섭취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어려울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섭취빈도조사법 자료를 이용하여 과일의 섭취 상태를 파악하였으며, 이때 제철 섭취와 계절에 무관하게 섭취하는지를 고려하여 최근 1년간 평균 주당 섭취빈도를 산출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자료와 동일 연도인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24시간 회상법 조사 자료 결과에 의하면 19세 이상 성인에서 1일 과일 섭취량은 197.
  • 그러나 지금까지 보고된 과일 섭취 상태에 대한 결과는 대부분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한 자료로 분석된 결과로써, 제철에만 섭취하는 과일의 경우 일상적인 섭취량을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년간 식품의 섭취 빈도 및 섭취량을 조사하는 식품 섭취빈도 조사법으로 조사한 과일의 섭취량을 성별, 연령별로 파악하고, 과일의 종류별 대사적 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과일 섭취의 중요성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issa EM, Ferns GA. 2017. Dietary fruits and vegetabl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risk. Crit Rev Food Sci Nutr 57: 1950-1962 

  2. Bae YJ. 2017. Nutrient and food intakes of Korean female adults depending on perceived stress: Based on the 2014-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Food Nutr 30:759-770 

  3. Choi A, Ha K, Joung H, Song Y. 2019. Frequency of consumption of whole fruit, not fruit juice, is associated with reduced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n adults. J Acad Nutr Diet 119:1842-1851 

  4. Giugliano D, Ceriello A, Esposito K. 2006. The effects of diet on inflammation: Emphasis on the metabolic syndrome. J Am Coll Cardiol 48:677-685 

  5. Grundy SM, Cleeman JI, Daniels SR, Donato KA, Eckel RH, Franklin BA, Gordon DJ, Krauss RM, Savage PJ, Smith SC Jr, Spertus JA, Costa F. 200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112:2735-2752 

  6. Guevarra MTB, Panlasigui LN. 2000. Blood glucose responses of diabetes mellitus type II patients to some local fruits. Asia Pac J Clin Nutr 9:303-308 

  7. Her ES. 2017. Metabolic syndrome risk according to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middle-aged men: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3-2015. Korean J Food Nutr 30:1048-1057 

  8. Hooper L, Kroon PA, Rimm EB, Cohn JS, Harvey I, Le Cornu KA, Ryder JJ, Hall WL, Cassidy A. 2008. Flavonoids, flavonoid-rich foods, and cardiovascular risk: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Clin Nutr 88:38-50 

  9. Hosseinpour-Niazi S, Mirmiran P, Mirzaei S, Azizi F. 2015. Cereal, fruit and vegetable fibre intake and the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A prospective study in the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J Hum Nutr Diet 28:236-245 

  10. Jenkins DJ, Jenkins AL. 1985. Dietary fiber and the glycemic response. Proc Soc Exp Biol Med 180:422-431 

  11. Kodama S, Horikawa C, Fujihara K, Ishii D, Hatta M, Takeda Y, Kitazawa M, Matsubayashi Y, Shimano H, Kato K, Tanaka S, Sone H. 2018. Relationship between intake of fruit separately from vegetables and triglycerides: A meta-analysis. Clin Nutr ESPEN 27:53-58 

  12. Kushi LH, Folsom AR, Prineas RJ, Mink PJ, Wu Y, Bostick RM. 1996. Dietary antioxidant vitamins and death from coronary heart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N Engl J Med 334:1156-1162 

  13. Kwon YS, Kim Y. 2018. Fruit and vegetable intake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cooking location and daily meal: Study based on 2010 and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sia Pac J Clin Nutr 27:217-230 

  14. Lee HS, Cho YH, Park J, Shin HR, Sung MK. 2013. Dietary intake of phytonutrients in relation to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Korea. J Acad Nutr Diet 113:1194-1199 

  15. Lee JW, Kim SH, Hong SI, Jeong MC, Park HW, Kim DM. 2003. Internal and external quality of Fuji apples. Korean J Food Preserv 10:47-53 

  16. Lee SY, Park HS, Kim DJ, Han JH, Kim SM, Cho GJ, Kim DY, Kwon HS, Kim SR, Lee CB, Oh SJ, Park CY, Yoo HJ. 2007.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75:72-80 

  17. Lim M, Kim J. 2020. Association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determined using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Eur J Nutr 59:1667-1678 

  18. Liu RH. 2013. Health-promoting components of fruits and vegetables in the diet. Adv Nutr 4:384S-392S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a.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b.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analytic guidelines.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cited 1 November 2020]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The forth health plan: 2016-20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2. Paek KW, Chun KH, Lee SJ. 2011. A factor of fasting blood glucose and dietary patterns in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07, 2008 and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Prev Med Public Health 44:93-100 

  23. Park HW, Ryu NH. 2013. Freshness of 'Fuji' apples packed MA film treated with acid and anti-fogging agents. Korean J Packag Sci Technol 19:43-50 

  24. Rautiainen S, Wang L, Lee IM, Manson JE, Buring JE, Sesso HD. 2015. Higher intake of fruit, but not vegetables or fiber, at baseline i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becoming overweight or obese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of normal BMI at baseline. J Nutr 145:960-968 

  25. Rodriguez-Casado A. 2016. The health potential of fruits and vegetables phytochemicals: Notable examples. Crit Rev Food Sci Nutr 56:1097-1107 

  26. Ryu JH, Yim JE, Suk WH, Lee H, Ahn H, Kim YS, Park CS, Choue R. 2012. Sugar composition and glycemic indices of frequently consumed fruits in Korea. Korean J Nutr 45:192-200 

  27. Sharma SP, Chung HJ, Kim HJ, Hong ST. 2016. Paradoxical effects of fruit on obesity. Nutrients 8:633 

  28. Tanaka S, Yoshimura Y, Kamada C, Tanaka S, Horikawa C, Okumura R, Ito H, Ohashi Y, Akanuma Y, Yamada N, Sone H. Japan Diabetes Complications Study Group. 2013. Intakes of dietary fiber, vegetables, and fruits and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Japan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36:3916-3922 

  29. Vioque J, Weinbrenner T, Castello A, Asensio L, Garcia de la Hera M. 2008.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in relation to 10-year weight gain among Spanish adults. Obesity 16: 664-670 

  30. Wolever TMS, Vuksan V, Relle LK, Jenkins AL, Josse RG, Wong GS, Jenkins DJA. 1993. Glycaemic index of fruits and fruit products in patients with diabetes. Int J Food Sci Nutr 43:205-212 

  31. Yuan C, Lee HJ, Shin HJ, Stampfer MJ, Cho E. 2015.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hypertriglyceridemia: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2007-2009. Eur J Clin Nutr 69:1193-1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