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과 아동의 천식증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반려견 및 반려묘를 중심으로 -
Association between Pets and Asthma Symptoms in Korean Children - Focusing on Dogs and Cats -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6 no.1, 2020년, pp.11 - 21  

조준호 (한양여자대학교 보건행정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pet ownership and asthma symptoms in Korean children.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8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2015. For the final study, 1598 cases were used. Wheezing as an asthma symptom was self-repo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다양한 항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항원들을 언제든지 발생시킬 수 있는 개나 고양이를 실내에서 기르는 행위가 아동 및 국민의 천식을 높이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을 실내에게 기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이 두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려견 및 반려묘와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인 천명(wheezing)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위험도를 양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평균 만 7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 또한 본 연구는 단면 연구의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12개월 이내의 반려동물 보유와 12개월 이내의 천식증상 유무가 시간적으로 선후관계가 명확하게 성립된다고 보기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 또 본 연구는 정확한 반려동물에 기인한 항원의 양과 천식증상의 반응 관계를 확인할 수 없는 설계구조이다. 따라서 인과적 관계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식의 특징은? 천식은 가장 흔한 만성 기도 질환 중 하나로 호흡곤란, 천명(숨을 쉴 때 좁아진 기관지를 따라 공기가 통과할 때 들리는 특징적인 호흡음으로, 쌕쌕거리는 소리로 기관지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 가슴답답함, 기침과 같은 증상이 계절 또는 악화인자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잘 알려진 악화인자로는 운동, 알레르겐(항원) 혹은 자극성 물질, 날씨 변화, 감기를 비롯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등이 있다.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명시한 천식 유발물질은?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있어서 원인이 되는 항원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에서는 환경성담배연기, 먼지 진드기, 곰팡이, 바퀴벌레 및 위생곤충, 이산화질소(NO2), 유입된 대기오염물질, 화학성자극물질 및 목재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 털 또는 비듬 등을 발생시키는 반려동물 등을 실내환경에서의 천식 유발물질(asthma trigger) 로서 명시하고 있다.5) 반려동물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며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존재로 보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천식의 악화인자로는 무엇이 있는가? 천식은 가장 흔한 만성 기도 질환 중 하나로 호흡곤란, 천명(숨을 쉴 때 좁아진 기관지를 따라 공기가 통과할 때 들리는 특징적인 호흡음으로, 쌕쌕거리는 소리로 기관지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 가슴답답함, 기침과 같은 증상이 계절 또는 악화인자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잘 알려진 악화인자로는 운동, 알레르겐(항원) 혹은 자극성 물질, 날씨 변화, 감기를 비롯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등이 있다.1) 한편 우리나라 인구 10만명당 천식 입원률은 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National Strategic Coordinating Center for Clinical Research. Korean Guideline for Asthma. 2015. 4. 30. http://www.allergy.or.kr/file/150527_01.pdf 

  2. Kim KH, Sun JY. OECD Statistics on Quality and Policy Implications. 2018 HIRA_12-4-05. https://www.hira.or.kr/sViewer/preViewFile.do?apndNo1&apndBrdBltNo687&apndBrdTyNo20&apndBltNo479 

  3. Koo HJ, Lee SM, Lee SP, Han EA.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asthma, allergy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among adolescents in Incheon, South Korea.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4; 2: 243-250. 

  4. Park SY, Kwon HS, Kim Ho, Yang HJ, Cho YS. Prevalence and Prevalence of Asthma in Korea Using National Health Data. Obstructive Lung Disease. 2016; 4: 23-32. 

  5. US EPA. Asthma triggers. https://www.epa.gov/asthma/asthma-triggers-gain-control. 

  6. Ji IB, Kim HJ, Kim WT, Seo GC.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Companion Animal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7.10, 1-231.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368359. 

  7. Kim WK. Pets for Allergic Diseases. Autumn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2; S518-522. 

  8.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http://panel.kicce.re.kr/kor/publication/01.jsp 

  9. Linnemann DL, Tapia SR, Virgen C, Mallol J, Baeza Bacab MA, Marcos LG, Risk factors for wheezing in primary health care settings in the tropics, Annals of Allergy, Asthma and Immunology (2019), doi: https://doi.org/10.1016/j.anai.2019.11.008. 

  10. Lee SY, In KH. Review: Immunopathogenesis of Asthma.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6; 60: 379-390. 

  11. Ownby DR, Johnson CC. Dogs, cats, and asthma: Will we ever really know the true risks and benefits?. J Allergy Clin Immunol. 2016; 138: 1591-1592. 

  12. Chan SK, Leung DYM. Dog and Cat Allergies: Current State of Diagnostic Approaches and Challenges.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8; 10: 97-105. 

  13. Jung SS, Noh SR, Lee SY, Yoon JS, Cho HJ, Kim YH et al., Indoor pet ownership in infancy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sensitization to pets and asthma in childhood.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9; 7: 99-105. 

  14. Hesselmar B, Hicke-Roberts A, Lundell AC, Adlerberth I, Rudin A, Saalman R,etal. Pet-keeping in early life reduces the risk of allergy in a dosedependent fashion. PLoS One. 2018 Dec 19; 13: e0208472. doi: 10.1371/journal.pone.0208472.eCollection 2018. 

  15. Dawn KL, Leslie CG. An overview of allergens. Allergy & Asthma Proceedings. 2019; 40(6): 362-365. 

  16. Le Souef PN, Sears MR, Sherrill D. The effect of size and age of subject on airway responsiveness in children.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 152: 576-579. 

  17. Siroux V, Curt F, Oryszczyn MP, Maccario J, Kauffmann F. Role of gender and hormone-related events on IgE, atopy, and eosinophils in the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Genetics and Environment of Asthma,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atopy. J Allergy Clin Immunol. 2004; 114: 491-498. 

  1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port of pet ownership and public awarness in 2018. Sejong (Korea):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8. 

  19. Clarisse Gautier, Denis Charpin. Environmental triggers and avoidance in the management of asthma. Journal of Asthma and Allergy. 2017; 10: 47-56. 

  20. Hwang GS, Yoon CS, Choi JW.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Asthma and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Case-Control Study. J Environ Health Sci. 2012; 38: 223-232. 

  21. Bae HJ, Kim MH, Lee AK, Park JI. Acute Effects of PM10 on Asthma Hospitalization Among Children and Benefit Analysis at Four Major Cities in Korea. J Environ Health Sci. 2009; 35: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