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령자의 기술수용도(Technology Acceptance) 영향요인 분석 : 최신기술 핀테크(Fintech)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Acceptance : Focusing on fintech in high-end technolog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57 - 71  

엄사랑 (경희대학교 노인학과) ,  신혜리 (경희대학교 노인학과) ,  김영선 (경희대학교 노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Davis의 기술수용모델(TAM)을 확장하여 유용성 및 편리성과 접근성, 가격, 혁신성, 불확실성이 중·고령자의 핀테크 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45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2017년 한국 고령자 운전 및 이동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을 통해 중·고령자의 핀테크 기술수용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령자의 핀테크 기술수용요인은 유용성, 편리성, 혁신성, 불확실성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중·고령자의 핀테크에 대한 유용성 및 편리성이 높아짐에 따라 핀테크 사용의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혁신성이 높을수록,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핀테크 사용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친화금융산업의 대표적인 기술인 핀테크에 대하여, 기술수용모델에서 주류로서 다루지 않았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기술수용모델 확장하여 기술수용요인을 규명하였다는 함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Davis's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to verify the intention of use fintech factors in which usefulness, easiness, accessibility, affordability, innovation, and uncertainty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 Data was derived from the 2017 Driving and Mobility...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기술을 수용하는데 있어 공급자 관점에서는 시장 및 기술의 불확실성을 소비자 관점에서는 기술로 인한 행동의 변화인 혁신성을 주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기술수용모델에서 고령자의 특성요인인 접근성 및 가격과 기술의 특성요인인 불확실성 및 혁신성을 추가로 고려하고자 한다.
  • 그러나 핀테크 기술의 수용요인을 검증하는 연구들은 주로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중・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핀테크 연구는 찾기 힘들다[5].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적 상황에서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핀테크의 기술수용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그 동안 기술수용모델에서 주류로서 다루지 않았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기술수용모델 및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통하여 검증하였다는 함의를 가진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핀테크라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과학기술수용의사를 물어보았기 때문에, 만 55세 이상의 중년층 및 노년층 간의 비교 분석결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고령친화산업 중 전망있는 금융 산업의 대표적인 기술인 핀테크를 중심으로 중・고령자의 기술수용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절차 및 연구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 다음으로 본 연구모형에 사용된 구성개념들의 판별타당성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5 와 같다. 본 연구는 판별 타당성을 검증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각 구성개념들의 평균분산추출(AVE) 값과 다른 변수와의 상관계수의 제곱 값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검토하였다[57]. 먼저, 각 구성개념간의 상관관계 계수를 살펴본 결과 1보다 낮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0.
  • 본 연구는 한국 중・고령자의 기술수용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하나의 예시로 핀테크 기술에 대한 수용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한국 고령자 운전 및 이동 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시행하여 검증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기술수용도 취약계층을 선별하고자 합리적 행동이론과 계산적 행동이론에 근거한 Davis의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유용성과 편리성 뿐 아니라, 기존 기술수용모델에서 보다 확장하여 접근성과 가격, 혁신성, 불확실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 8%로 가장 큰 비중 변화를 보이고 있다[54]. 이에 본 연구는 고령친화산업 중 전망있는 금융 산업의 대표적인 기술인 핀테크를 중심으로 중・고령자의 기술수용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일부 기존의 기술수용모델에서 확장하여 검증한 연구도 있었으나 대상자의 특성만 반영하거나 기술의 특성만 반영하여 통합적으로 대상자와 기술의 특성을 함께 고려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과 관련된 연구에서 소외되어 왔던 한국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기존 기술수용모델에서 중・고령자의 특성요인과 기술의 특성요인을 추가로 고려하여 중・고령자의 기술수용요인을 정밀하게 검증하고자 한다.
  • 3 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 서는 금융 산업에서 떠오르는 기술인 핀테크(Fintech) 기술 수용과 선행 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금융 산업은 기존의 고령친화산업(식품, 여가, 정보, 요양, 용품, 교육)에서 추가될 정도로 고령친화산업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산업분야이며, 전체 고령친화산업 시장 규모 중 2010년 31.
  •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경희대학교에서 실시한 『2017년 한국 고령자 운전 및 이동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한국 고령자 운전 및 이동 실태조사는 한국 중・고령자의 맞춤형 이동지원 기술의 수요도 및 잠재적 소비자와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특히 이동지원과 관련된 기술들의 수용과 선행 요인간의 관계를 정밀하게 파악하기에 유용한 데이터다. 데이터 수집은 2017년 5월 1일부터 6월 23일동안 서울과 경기권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 령자 457명을 대상으로 대면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핀테크 (fintech)란 무엇인가? 모바일의 급속한 확산과 IT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금융소비자의 생활 패턴이 변화하였고, 금융위기 등에 따른 대안 금융을 모색하고 정부차원의 육성 및 규제 해체 등으로 인해 최근 핀테크 산업이 급격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금융 (financial)과 기술(technology)을 결합한 핀테크 (fintech)는 금융업과 모바일 산업 모두에게 파장을 주고 있다[1]. 이에 글로벌 모바일 트래픽은 연평균 61%씩 급증하고 있고, 글로벌 모바일 결제시장 규모 또한 6년간 6.
중・고령자들에게 기술의 발전은 어떻게 다가왔는가? 기술의 발전은 많은 인구집단 중에서도 특히 중・고령자들은 서비스 수혜자임에도 불구하고 정보 및 활용수준의 부족으로 인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핀테크 등과 같은 온라인 뱅킹 등을 활용하는데 장벽을 경험한다[9]. 특히 한국의 은행들은 누구보다도 빠르게 핀테크 기술에 힘쓰고 있으나, 고령자 70세 이상 중 모바일 뱅킹을 쓰는 인구는 단 6%일 정도로 전체 이용자가 매우 적어서 한국 고령자의 소외감은 다른 나라에 비해 커지고 있다[10].
중・고령자들의 핀테크 기술 이용 현황은 어떠한가? 기술의 발전은 많은 인구집단 중에서도 특히 중・고령자들은 서비스 수혜자임에도 불구하고 정보 및 활용수준의 부족으로 인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핀테크 등과 같은 온라인 뱅킹 등을 활용하는데 장벽을 경험한다[9]. 특히 한국의 은행들은 누구보다도 빠르게 핀테크 기술에 힘쓰고 있으나, 고령자 70세 이상 중 모바일 뱅킹을 쓰는 인구는 단 6%일 정도로 전체 이용자가 매우 적어서 한국 고령자의 소외감은 다른 나라에 비해 커지고 있다[10]. 중・고령자의 핀테크 활용수준이 높아진다면 재정적 노후준비 및 노후생활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회적 고립을 온라인을 통하여 해결할 수있기에 재정적·사회적·심리적 관점에서 중・고령자의 핀테크 활용은 주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S. G. Park. (2015). A Study on a Fintech industry trends and major business models. Korea Multimedia Society, 19(1), 1-8. 

  2. G. J. Lee. (2016). Fintech Industry Trends. Seoul's Fintech Industry Development Forum(pp. 1-85). Seoul : The Seoul Institute. 

  3. Global Venture Capital Investment in Fintech Industry Set Record in 2017(2018.02.28.). Accenture. p. 1. 

  4. A. S. Kavuri & A. Milne. (2019). Fintech and the future of financial services: What are the research gaps?. CAMA Working Paper, 18, 1-86. 

  5. M. G. S. D. N. Jayaratne & H. Cripps. (2017). Mobile banking adoption by senior citizens in Perth. In The proceedings of 2nd Business Doctoral and Emerging Scholars Conference(pp. 104-110). Australia : Edith Cowan University. 

  6. F. D.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319-340. 

  7. C. Lee. (2014). The role of trust in older adults' adoption and use of technology. GSA 2014 Annual Scientific Meeting(pp. 1-7). Washington : GSA. 

  8. C. Lee & J. F. Coughlin. (2015). PERSPECTIVE: Older adults' adoption of technology: an integrated approach to identifying determinants and barrier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32(5), 747-759. 

  9. C. Munteanu, B. Axtell, H. Rafih, A. Liaqat & Y. Aly. (2018). Designing for Older Adults: Overcoming Barriers toward a Supportive, Safe, and Healthy Retirement. Pennsylvania : University of Pennsylvania 

  10. K. R. Kim. (2019.08.01.). Fintech innovation to alienate only the elderly. Maeil Business Newspaper, p. 1. 

  11. S. Y. Oh. (2017). Differences in Financial Adaptation Between Generations through Fintech. Seoul :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12. J. K. Lee, J. M. Kim, K. E. Lee, S. R. Yoon & H. Jo. (2017).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Intention of Fintech -Focusing on Mobile Payment Servic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18(3), 181-199. 

  13. S. H. Yang, Y. S. Hwang & J. K. Park. (2016). A Study on the Use of Fintech Payment Services Based on the UTAUT Model.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38(1), 183-209. 

  14. J. H. Kim. (2015). Global Fintech Industry Trends and Outlook. Local Informatization Research, 91, 40-45. 

  15. L. M. Chuang, C. C. Liu & H. K. Kao H. (2016). The adoption of fintech service: TAM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Sciences, 3(7), 1-15. 

  16. C. Tun-Pin, W. C. Keng-Soon, Y. Yen-San, C. Pui-Yee, J. T. Hong-Leong & N. Shwu-Shing. (2019). An adoption of fintech service in Malaysia. South East Asia Journal of Contemporary Business, 18(5). 134-147. 

  17. S. H. Joo, E. H. Koh & M. S. Yoo. (2018). Exploring Factors Related to FinTech Acceptance in Financial Transaction.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21, 175-202. 

  18. I. Ajzen & M. Fishbein.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ew Jersey : Prentice Hall. 

  19. F. D. Davis, R. P. Bagozzi & P. P. Warshaw.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20. S. Taylor & P. A. Todd. (1995).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6(2), 144-176. 

  21. E. Karahanna & D. W. Straub. (1999), The psychological origin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formation& Management, 35(4), 237-250. 

  22. J. J. Park. (2004). The impact of the consumer's innovativeness on online shopping behavior -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Advertising Research, 63, 79-101. 

  23. G. J. Kim. (2009). A Study on Acceptance Factor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3), 296-323. 

  24. Y. A. Park & Y. H. Hyun. (2013). A Verification of Predictive Factors of Offline Behavior by Adopting of a Smartphone Application: A Focus on Applying a TAM-TRA Mixed Model.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50(0), 114-132. 

  25. I. Ajzen.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26. A.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27. C. J. Armitage & M. Conner. (2001). Efficac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meta- analy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0, 471-499. 

  28. D. F. Hoffman, T. P. Novak & M. Peralta. (1999). Building consumer trust online. Communications of the ACM, 42(4), 80-85. 

  29. R. Agarwal & E. Karahanna. (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IS quarterly, 24(4), 665-694. 

  30. M. G. Morris, V. Venkatesh & P. L. Ackerman. (2005).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employee decisions about new technology: An extension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52(1), 69-84. 

  31. D. J. Plude. (1985). Attention and performance: Identifying and localizing age deficits. iAging and Human Performance, 47-99. 

  32. R. A. Posner, (1995). Aging and old age.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 M. Heinz, P. Martin, J. A. Margrett, M. Yearns, W. Franke, H. I. Yang & C. K. Chang. (2013). Perceptions of technology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9(1), 42-51. 

  34. S. T. Peek, E. J. Wouters, J. Van Hoof, K. G. Luijkx, H. R. Boeije & H. J. Vrijhoef. (2014).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of technology for aging in plac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83(4), 235-248. 

  35. R. T. Moriarty & T. J. Kosnik. (1989). High-tech marketing: concepts, continuity, and change. MIT Sloan Management Review, 30(4), 7. 

  36. M. Rogers Everett. (1995). Diffustion of Innovations. New York : The Free Press. 

  37. S. L. Wood & J. Swait. (2002). Psychological Indicators of Innovation Adoption: Cross­Classification Based on Need for Cognition and Need for Chang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2(1), 1-13. 

  38. S. D. Cho & K. E. Kim. (2007).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 Diffusion of Technological Products. Korean Journal of Marketin, 22(2), 67-86. 

  39. C. McCreadie & A. Tinker. (2005). The acceptability of assistive technology to older people. Ageing & Society, 25(1), 91-110. 

  40. H. Tanriverdi & C. S. Iacono. (1999). Toy or Useful Technology?: The Challenge of Diffusing Telemedicine in Three Boston Hospitals. In Success and pitfalls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1-13. 

  41. T. I. Panagos. (2003). In search of the silver lining: Case analysis for mature market businesses. Doctoral dissertation. Massachus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assachussetts. 

  42. A. Wang, L. Redington, V. Steinmetz & D. Lindeman. (2011). The ADOPT model: Accelerating diffusion of proven technologies for older adults. Ageing International, 36(1), 29-45. 

  43. R. Steele, A. Lo, C. Secombe & Y. K. Wong. (2009). Elderly persons'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to assist health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8(12), 788-801. 

  44. R. A. Bauer. (1960). Consumer behavior as risk taking.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45. D. Gefen, E. Karahanna & D. W. Straub. (2003).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MIS quarterly, 27(1), 51-90. 

  46. F. F. Reichheld & P. Schefter. (2000). E-loyalty: your secret weapon on the web. Harvard business review, 78(4), 105-113. 

  47. S. L. Jarvenpaa, N. Trictinsky & M. Vitale. (2000). Consumer trust in an Internet store.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1(1-2), 45-71. 

  48. P. A. Pavlou. (2003). Consumer acceptance of electronic commerce: Integrating trust and risk wit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7(3), 101-134. 

  49. R. Agarwal & J. Prasad. (1998).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9(2), 204-215. 

  50. E. M. Rogers. (2010). Diffusion of innovations. Stuttgart : Hohenheim University. 

  51. B. Joseph & S. J. Vyas. (1984). Concurrent validity of a measure of innovative cognitive styl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2(1-2), 159-175. 

  52. C. Leavitt & J. Walton. (1975). Development of a scale for innovative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 545-554. 

  53. R. Goldsmith & I. Reinecke Flynn. (1992). Identifying innovators in consumer product marke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6(12), 42-55. 

  5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2). Aging-friendly Industry Status and Outlook. Osong: KHIDI 

  55. I. Im, Y. Kim & H. J. Han. (2008).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technology type on users' acceptance of technologies. Information & Management, 45(1), 1-9. 

  56. R. P. Bagozzi & Y. Yi.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57. C. Fornell &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58. S. H. Hong.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59. P. M. Bentler & D. G. Bonett.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 

  60. P. M. Bentler.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 

  61. J. H. Steiger & J. Lind. (1980). Statistically based tests for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In the annual meeting of the Psychometric Society, Iowa City, IA. 

  62. M. W. Browne & R. Cudeck.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