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플랫폼 정부의 방향성 모색 : 공공기관 연구보고서에 대한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
An Exploratory Study of Platform Government in Korea :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of Public Agency Repor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139 - 149  

남현동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남태우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로운 플랫폼 정부는 지능적인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정부와 국민이 서로 협력하는 새로운 생태계 기반 정부 혁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플랫폼 정부의 플랫폼 구축을 위해 최근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미래정책 방향 및 연구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을 위해 각 부처와 정부산하기관에서 발행된 연구보고서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텍스트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텍스트 자료를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전략과 집단 내에서의 네트워크 연결이 제대로 이루워지지 않고 있으며 연결 중심성이 강할수록 관계성이 약해지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는 정부가 플랫폼을 설계하고 데이터와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 역할에서 통합적, 상호 교류적 접점이 필요하며 정부와 시민, 기업의 협치가 가능한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플랫폼 정부의 공급과 수요적 접근의 이해를 높이고 잠재적 토픽에 따라 적절한 변경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논의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w platform governments will play a role to pull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o drive new ecological government inno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which the government and people work together. On this, in order to establish the platform of the platform government, we will look at rec...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 변화에 따라 플랫폼 정부에 대한 의미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관련된 국내 연구를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해 플랫폼 정부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2019년 현재까지 우리나라 플랫폼 정부 관련 연구 경향을 유형화하고, 플랫폼 정부의 공급과 수요적 접근방식을 파악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정부가 플랫폼 정부로 발전하는 데 있어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즉 네트워크 분석은 텍스트에 출현하는 키워드 간의 관계를 링크로 표시해 구축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그 특징을 해석하는 방법으로써 특정 연구나 발생하는 현상을 이해하는데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 정부 관련 연구의 동향과 주요 키워드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두어 연계되는 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플랫폼 정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 플랫폼 정부 관련 이루어진 연구들을 객관적으로 정리하여 향후 플랫폼 정부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플랫폼 관련 국내 연구 동향과 더불어 플랫폼 정부에 대한 견해 및 미래정책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기업에서 파생된 플랫폼이 전자정부 다음으로 플랫폼 정부라는 의미와 추진 방향이 어떻게 도출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플랫폼 정부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어서 플랫폼 정부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잠재된 주제를 찾아 플랫폼 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반면, 연구의 한계점은 아직 정부의 플랫폼 서비스가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이에 따른 연구가 미비하므로 한정된 결과를 토대로 플랫폼 정책 방향성을 모색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 본 연구는 플랫폼 관련 국내 연구 동향과 더불어 플랫폼 정부에 대한 견해 및 미래정책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기업에서 파생된 플랫폼이 전자정부 다음으로 플랫폼 정부라는 의미와 추진 방향이 어떻게 도출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 변화에 따라 플랫폼 정부에 대한 의미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관련된 국내 연구를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해 플랫폼 정부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2019년 현재까지 우리나라 플랫폼 정부 관련 연구 경향을 유형화하고, 플랫폼 정부의 공급과 수요적 접근방식을 파악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정부가 플랫폼 정부로 발전하는 데 있어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 정부 관련 연구의 동향과 주요 키워드 간의 관계성에 초점을 두어 연계되는 개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토픽 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플랫폼 정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우리나라 플랫폼 정부 관련 이루어진 연구들을 객관적으로 정리하여 향후 플랫폼 정부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토픽 모델링 기법으로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와 LSA(Latent Semantic Analysis) 그리고 pLSA(Probabilistic Latent Semantic Analysis) 등의 다양한 기법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여러 토픽 모델링 알고리즘 중 기존의 기법에서 수정·보완된 토픽 모델링 기법인 LDA 모델을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 W. Kim. (2015). Administration Process Extension and Public Data Convergence Manag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5), 41-49. DOI: 10.14400/JDC.2015.13.5.41 

  2. C. S. Chung. (2017). From Electronic Government to Platform Government.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5(3), 3-10. 

  3. M. J. Kim, J. T. Park, M. H. Hwang & M. J. Kang. (2015). Cloud Computing Adoption for the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of Public Sector. Anyang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4. Y. Shin. (2017). The Realities and Conditions of Mid-term Policy Management from a Platform Perspective.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nrment Studies, 61-92. 

  5. B. J. Seo & S. Y. Shin. (2017).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n Domestic Platform Government using Topic Modeling. Informatization Policy, 24(3), 3-26. DOI: https://doi.org/10.22693/NIAIP.2017.24.3.003 

  6. C. H. Oh. (2017). Issue: Data-based Policy Analysis Research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27(2), 155-167. 

  7. C. S. Jeong. (2012). The Future and Administration of E-Government. Future Public Adminstration Review, 1(1), 27-57. 

  8. M. S. Ahn. (2008). Therories of the Korean e-Government. Seoul : PYBook. 

  9. B. G. Seok & J. W. Moon. (2010). A Study on the Paradigm Shift and the Future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KISDI Premium Report, 22(19). 

  10. Y. B. Lee. (2012). The introduction of e-government in Korea.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Modularization. 

  11. M. J. Lee & S. J. Kim. (2019). Exploratory Study on E-Government Service in the Transitonal Era: Cases of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and Public Policy, 13(2), 121-151. DOI: 10.1017/pan.2016.7 

  12. H. Kim. (2010). Cultural Contents, ICT Platform and Humanities Knowledge. Philosophical Studies, (90), 63-88. 

  13. A. Gawer & M. A. Cusumano. (2008). How Companies Become Platform Leaders. MIT Sloan management review, 49(2), 25-38. 

  14. S. H. Park & K. J. Cho. (2016). The Diversity of Policy Tools : Comparisons of Governance Structures in the Production of Public Services.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20(1), 1-27. 

  15. S. H. Myeong, C. J. Heo & S. S. Hwang. (2011). Government of the Smart Society: Focusing on the Platform-type Government Model.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31. 

  16. H. C. Moon. (2011). Understanding of Platform Strategy and Conditions of Success. Korea employers federation Monthly Magazine, (390), 36-37. 

  17. H. H. Oh. (2014). 2014 KISTEP Issue Paper. Seoul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18. J. S. Hwang. (2010).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Public Information to a Platform-type Government. IT&SOCIETY, 21(0), 20-22. 

  19. Tim O'Reilly. (2010). Open Government. O'Reilly Media. 

  20. Y. S. Ha & S. Y. Lee (2019).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latform Model in Governance Operations Focused on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2019(1), 1-18. 

  21. B. S. Kim. (2019). Online Citizen Participation and Changes in the Delegation. Center for Digital Social Science, (20). 

  22. G. H. Jeong. (2011). A Study of foresight method based on textmining and complexity network analysi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3. M. Bonchek & S. P. Choudary. (2013). Three elements of a successful platform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92(1-2). 

  24. Fujitsu.. (2016). White paper Fujitsu Government as a platform. 

  2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8). Japan, Data Utilization Strategies to Realize Society 5.0. 

  26. H. J. Kim, H. J. Jung & M. Song, (2014). A Comparison of Author Name Disambiguation Performance through Topic Modeling.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149-152. 

  27. J. H. Park & M. Song. (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 7-32. DOI: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007 

  28. C. H. Nam. (2016). An Illustrative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Method to a Farmer's Diary. Institute of cross-cultural studies, 22(1), 89-135. 

  29. D. M. Blei. (2012).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55(4), 77-84. DOI: 10.1145/2133806.2133826 

  30. X. Wang & A.. McCallum. (2006). Topics over time: a non-Markov continuous-time model of topical trends. In Proceedings of the 12th ACM SIGKD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424-433. DOI: 10.1145/1150402.1150450 

  31. T. H. Lee, Y. J. Youn & H. W. Kim. (2016). The 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Using A Text Mining Approach. Informatization Policy, 23(4), 76-94. DOI: 10.22693/NIAIP.2016.23.4.076 

  32. S. J. Nam & H. C. Lee. (2019). Airline Passenger Characterizations Using LDA Topic Modeling. Korea Management Science review, 36(3), 67-85. DOI: 10.3390/su11216153 

  33. D. Mimno, & A. McCallum. (2008). Modeling career path trajectories. 

  34. D. H. Lee, H. Y. Choi & J. H. Yoon. (2017). Patent-based trend analysis of bio-fuels: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2017(4), 5793-5797. 

  35. S. M. Gerrish & D. M. Blei. (2010). A Language-based Approach to Measuring Scholarly Impact. Proceedings of the 2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Vol. 10, pp. 375-382). 

  36. T. Griffiths & M. Steyvers. (2004).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1), 5228-5235. DOI: 10.1073/pnas.0307752101 

  37. R. Popping. (2000).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Sage. 

  38. C. H. Park. (2014). A Study on the Intergovernmental Conflict Analysis on the Standardization of Public Service: Focused on the Traffic Card Standardization Conflict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using Text Network Analysis. Chung-Ang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8(3), 209-235. 

  39. G. Ercan & I. Cicekli. (2008). Lexical cohesion based topic modeling for summarization.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Text Processing and Computational Linguistics (pp. 582-592). Berlin : Springer. 

  40. L. Hagen, O. Uzuner, C. Kotfila, T. M. Harrison & D. Lamanna. (2015). Understanding citizens' direct policy suggestions to the federal government: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opic modeling approach. 2015 48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pp. 2134-2143). IEEE. DOI: 10.1109/HICSS.2015.257 

  41. D. Greene & J. P. Cross. (2017). Exploring the political agenda of the European parliament using a dynamic topic modeling approach. Political Analysis, 25(1), 77-94. DOI: 10.1017/pan.2016.7 

  42. S. B. Cho, S. A. Shin & D. S. Kang. (2018).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n Open Innovation using Topic Modeling. Informatization policy, 25(3), 52-74. DOI: 10.22693/NIAIP.2018.25.3.052 

  43. Y. H. Yang, Y. J. Kwon & S. C. Lee. (2019). Research Trends Analyses on Public Conflicts through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3(3), 309-332. DOI: 10.20484/klog.23.3.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