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맥류 종자의 페룰산(ferulic acid) 함량과 붉은곰팡이 저항성
Ferulic Acid Content of Barley and Wheat Grains and Head Blight Resistance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6 no.4, 2020년, pp.250 - 255  

백슬기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김소수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장자영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김점순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  이데레사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페룰산 함량이 붉은곰팡이병곰팡이독소 저항성 곡류 육종의 선발지표가 될 수 있는지 알기 위해 밀, 보리, 벼 육성 품종 80점의 페룰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페룰산 함량은 보리 20품종이 1.66-2.77 mg/g, 밀 40품종이 0.56-1.53 mg/g이었으며 벼 20품종은 0.91-2.13 mg/g이었다. 이 중 페룰산 함량이 다른 밀과 보리 각 7품종을 선정하여 F. graminearum과 F. asiaticum 각 2균주의 붉은곰팡이병과 독소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밀 품종의 평균 병원성은 페룰산 함량이 높은 보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밀 품종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곰팡이독소도 병원성과 같이 페룰산 함량이 낮은 밀이 보리보다 생성량이 낮았다. 그러나 보리에서는 F. asiaticum 균주의 병원성과 독소 생성량이 페룰산 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페룰산 함량이 밀과 보리에서 F. graminearum과 F. asiaticum에 의한 붉은곰팡이병과 독소 생성에 저항성 요인이 아님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find if a ferulic acid (FA) can be used as a selection index in cereal breeding for resistance to head blight and mycotoxin production, we analyzed FA in the grains of 80 cultivars of barley, rice, and wheat. FA content ranged 1.66-2.77 mg/g in barley (n=20), 0.56-1.53 mg/g in wheat (n=4...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곡류 품종에서 페룰산 함량이 붉은 곰팡이 저항성 육종의 선발지표가 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밀과 보리 등 국내산 육성 품종별 종자의 페룰산 함량을 조사하고 페룰산 함량에 따른 붉은곰팡이 병원성과 독소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 culmorum 균주의 독소 생성을 직접 저해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이 연구에서는 붉은곰팡이(F. graminearum, F. asiaticum)와 페룰산 간의 관계를 작물에서 품종간에 비교함으로써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밀과 보리의 페룰산은 붉은곰팡이와 독소 생성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곰팡이독소 저해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페룰산을 처리할 때는 고농도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 이 연구는 곡류의 페룰산 함량과 붉은곰팡이와 그 생성독소의 관계를 밀과 보리 품종에서 분석한 최초의 보고이다. 페룰산 함량을 기준으로 밀과 보리를 비교했을 때 페룰산 함량이 낮은 밀이 높은 보리보다 붉은곰팡이 병원성과 독소(DON과 NIV) 생성량이 낮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ssabgui, R. A., Reid, L. M., Hamilton, R. I. and Arnason, J. T. 1993. Correlation of kernel (E)-ferulic acid content of maize with resistance to Fusarium graminearum. Phytopathogy 83: 949-953. 

  2. Bily, A. C., Reid, L. M., Taylor, J. H., Johnston, D., Malouin, C., Burt, A. J. et al. 2003. Dehydrodimers of ferulic acid in maize grain pericarp and aleurone: resistance factors to Fusarium graminearum. Phytopathogy 93: 712-719. 

  3. Boutigny, A. L., Barreau, C., Atanasova-Penichon, V., Verdal-Bonnin, M. N., Pinson-Gadais, L. and Richard-Forget, F. 2009. Ferulic acid, an efficient inhibitor of type B trichothecene biosynthesis and Tri gene expression in Fusarium liquid cultures. Mycol. Res. 113: 746-753. 

  4. Boz, H. 2015. Ferulic acid in cereals-a review. Czech J. Food Sci. 33: 1-7. 

  5. Ferrochio, L., Cendoya, E., Farnochi, M. C., Massad, W. and Ramirez, M. L. 2013. Evaluation of ability of ferulic acid to control growth and fumonisin production of Fusarium verticillioides and Fusamrium proliferatum on maize based media. Int. J. Food Microbiol. 167: 215-220. 

  6. Jang, J. Y., Baek, S. G., Choi, J.-H., Kim, S., Kim, J., Kim, D.-W. et al. 2019. Characterization of nivalenol-producing Fusarium asiaticum that causes cereal head blight in Korea. Plant Pathol. J. 35: 543-552. 

  7. Jang, J. Y., Kim, S., Jin, H. S., Baek, S. G., O, S., Kim, K. et al. 2018. Occurrence of toxigenic Fusarium spp. and zearalenone in scabby rice grains and healthy ones. Res. Plant Dis. 24: 308-312. (In Korean) 

  8. Pani, G., Scherm, B., Azara, E., Balmas, V., Jahanshiri, Z., Carta, P. et al. 2014. Natural and natural-like phenolic inhibitors of type B trichothecene in vitro production by the wheat (Triticum sp.) pathogen Fusarium culmorum. J. Agric. Food Chem. 62: 4969-4978. 

  9. Stuper-Szablewska, K., Kurasiak-Popowska, D., Nawracala, J. and Perkowski, J. 2016. Study of metabolite profiles in winter wheat cultivars induced by Fusarium infection. Cereal Res. Commun. 44: 572-584. 

  10. Tilay, A., Bule, M., Kishenkumar, J. and Annapure, U. 2008. Preparation of ferulic acid from agricultural wastes: its improve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J. Agric. Food Chem. 56: 7644-7648. 

  11. U. S. Wheat and Barley Scab Initiative. 2017. Fusarium Focus 17(1). URL https://scabusa.org/pdfs/fus-focus_newsletter_v1_2-2017.pdf [25 September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