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 기반 한국판 섭식장애진단척도 DSM-5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Web-based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2, 2020년, pp.185 - 193  

이혜린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  곽경화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  이유경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  한수완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  김율리 (인제대학교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섭식장애 진단척도 DSM-5 (Korean version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K-EDDS)를 웹 기반 진단 시스템으로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 법 본 연구는 섭식장애 환자(38명)와 대학생(81명)을 포함하여 총 119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지필 섭식장애 스크리닝 검사인 Sick, Control, One, Fat, Food (SCOFF) 후 별도의 사이트에서 웹 기반 K-EDDS, 섭식장애검사(Eating Disorder Examination-Questionnaire, EDE-Q), 임상손상평가(Clinical Impairment Assessment Questionnaire, CIA)를 작성했다. SCOFF 점수가 2점 이상인 사람을 대상으로 EDE (Eating Disorder Examination Interview) 면담을 진행하였다. 검사 후 2주 이내에 웹 기반 K-EDDS, EDE-Q, CIA를 재실시하였다. 결 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신체불만족, 폭식행동, 폭식빈도, 보상행동의 4가지 요인이 추출되어 총 분산의 82.4%를 설명하였다. 웹 기반 K-EDDS의 4개 하위요인은 EDE-Q의 4개 하위요인과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우수한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Cronbach's alpha=0.93). 웹 기반 K-EDDS와 EDE의 진단 일치도는 96.83%, 웹 기반 K-EDDS의 검사-재검사 진단 일치도는 92.86%로 우수하였다. 웹 기반 K-EDDS와 CIA에서 환자군과 정상군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본 척도의 판별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해 웹 기반 K-EDDS는 임상 및 연구 현장에서 DSM-5를 기반으로 한 섭식장애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erify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is Scale DSM-5 (K-EDDS) as a web-based diagnostic system, which enables rapid diagnosis of patients for early intervention. Methods : A total of 119 pers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지필 검사의 한계를 보완하여 웹 기반 K-EDDS를 개발 및 타당화함으로써 섭식장애 진단에 소요되는 시공간적 제한을 극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면 면담과 비교하여 자기 보고형 응답의 객관성을 검증하였으며, 검사-재검사 진단 일치도를 확인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안정성을 검증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 본 연구는 환자가 입력한 자료를 토대로 알고리즘에 따라 진단함으로써 임상의의 진단을 도와주는 웹 기반 섭식장애 진단 도구인 K-EDDS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웹 기반 K-EDDS는 임상의의 섭식 장애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하고 타당한 측정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 10, 11) 따라서, 웹 기반 평가로 개발된 측정 도구가 지필 평가와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을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K-EDDS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섭식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 한국판 섭식장애 진단 척도와 대면 면담을 통한 진단 결과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높은 질병으로 알려져 있어, 2) 조기개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섭식장애에 대한 조기개입은 질환의 이환 기간이나 심각도를 줄이고, 공병율과 입원율을 감소시킨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udson JI, Hiripi E, Pope Jr HG, Kessler RC.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eating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Biological Psychiatry 2017;61:348-358. 

  2. Sullivan PF. Mortality in anorexia nervos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995;152:1073-1074. 

  3. Ackard DM, Fulkerson JA, Neumark-Sztainer D. Prevalence and utility of DSM-IV eating disorder diagnostic criteria among youth.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007;40:409-417. 

  4. Johnson JG, Spitzer RL, Williams JB. Health problems, impairment and illnesses associated with bulimia nervosa and binge eating disorder among primary care and obstetric gynecology patients. Psychological Medicine 2001;31:1455-1466. 

  5. Striegel-Moore RH, DeBar L, Wilson GT, Dickerson J, Rosselli F, Perrin N, Lynch F, & Kraemer HC. Health services use in eating disorders. Psychological Medicine 2008;38:1465-1474. 

  6. Stice E, Telch CF, Rizvi S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a brief self-report measure of anorexia, bulimia, and binge-eating disorder. Psychological Assessment 2000;12:123-131. 

  7. Bang EB, Han CL, Jeon YL, Kim YR.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DSM-5 (K-EDDS DSM-5):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Anxiety and Mood 2018;14:127-134. 

  8. Kwahk JE, Jeong HW, Kwak HW. Validation of Web-based Psychological Assessments. The Korean Journal of Coc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2008;20:321-337. 

  9. Abend R, Dan O, Maoz K, Raz S, Bar-Haim Y.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of a computerized visual analog scale measuring state anxiety.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2014;45:447-453. 

  10. Junker U, Freynhagen R, Langler K, Gockel U, Schmidt U, Tolle TR, Baron R, Kohlmann T. Paper versus electronic rating scales for pain assessment: a prospective, randomised, crossover validation study with 200 chronic pain patients.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008;24:1797-1806. 

  11. Kvien TK, Mowinckel P, Heiberg T, Dammann KL, Dale O, Aanerud GJ, Alme TN, Uhlig T. Performance of health status measures with a pen bas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2005;64:1480-1484. 

  12. Morgan JF, Reid F, Lacey JH. The SCOFF questionnaire: a new screening tool for eating disorders. Western Journal of Medicine 2000;172:164-165. 

  13. Stice E., Ragan J. A controlled evaluation of an eating disturbance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001;31:159-171. 

  14. Fairburn CG, Beglin SJ. Assessment of eating disorders: interview or self-report questionnaire? Int J Eat Disord 1994;16:363-370. 

  15. Cooper Z, Fairburn C. The eating examination: a semi-structured interview for the assessment of the specific psychopathology of eating disorders. Int J Eat Disord 1987;6:1-8. 

  16. Heo SY, Rhee MK, Choi YM, Sohn CH, Lee HK, Lee YH. Reliabilityand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disorder 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4;13.1:42-52. 

  17. Bohn K, Doll HA, Cooper Z, O'Connor M, Palmer RL, Fairburn CG. The measurement of impairment due to eating disorder psychopathology. Behav Res Ther 2008;46:1105-1110. 

  18. Burd C, Mitchell JE, Crosby RD, Engel SG, Wonderlich SA, Lystad C, Grange DL, Peterson CB, Crow S. An assessment of daily food intake in participants with anorexia nervosa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009;42:371-374. 

  19. Silva JR, Behar R, Cordella P, Ortiz M, Jaramillo K, Alvarado R, Jorquera MJ. Validation of the spanish version of the eating disorders diagnostic Scale. Rev Med Chil 2012;140:1562-1570. 

  20. Lee SW, Stewart SM, Striegel-Moore RH, Lee S, Ho SY, Lee PW, Katzman MA, Lam TH. Validation of the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for use with Hong Kong adolesc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007;40:569-574. 

  21. Stice E, Melissa F, Erin M. Eating disorder diagnostic scale: additional evidenc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Psychological Assessment 2004;16:60-71. 

  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