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외계행성 개념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 Changes of Extra-solar Planet in University Students Using Text-Mining Technique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3, 2020년, pp.305 - 316  

한신 (고려대학교) ,  김용기 (충북대학교) ,  김형범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외계행성에 대한 개념을 빅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 외계행성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을 받기 전, 후의 개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을 받기 전에는 외계행성을 단순히 '태양계 바깥(외계)의 행성' 정도의 맥락으로만 이해하고 있었으나, 교육을 받은 후에 중요 키워드 중심으로 '태양계 바깥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매스컴에서 접했던 간접 경험을 토대로 도플러효과, 식현상, 중력렌즈를 활용한 관측한다는 정도의 간단한 답변을 하여 관측 방법에 대한 개념이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나 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와 관련된 내용을 교육 받으면서 외계행성 탐사에 대한 인식이 구체화되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의 중요성을 단순히 외계생명체의 발견을 넘어서서 태양계를 비롯한 행성의 생성과정과 연구 방법, 인류의 발전으로 확장시키고 있었다. 넷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과 관련된 내용을 지구과학 교육과정에서 소개한다면 과학지식 뿐만 아니라 흥미와 호기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교육과정에서 외계행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ception of an extra-solar plane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o conduct this, we developed an extra-solar planet education program and questionnaires which help to figure out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applied them to the targeted ...

주제어

표/그림 (2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의가 끝난 후에 학생들에게 우리나라 지구과학 교육과정에서 외계행성과 관련된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을 해 보았다. 이 질문에 학생들의 인식 구조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N-gram network 를 이용하였고, 그 결과는 Fig.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방법을 활용해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외계행성에 대한 개념, 탐사 방법, 외계행성 탐사의 중요성, 외계행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외계행성 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수-학습 내용으로서 외계행성 의지도 방안 모색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외계행성에 대한 개념과 탐사 방법 및 외계행성의 중요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구과학분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대학생들의 개념 분석을 위해 최근 여러 분야에서 많이 시도되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외계행성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조사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학술연구와 빅데이터의 외계행성에 대한 인식 간의 일치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다음의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연구의 용이성 때문이다. 이 연구를 수행할 때 연구자는 C 국립대학교 천문우주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지구과학 및 실험Ⅰ’ 과목을 강의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에게 체계적으로 외계행성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수정, 김형범, 정진우(2013). 지진에 관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의 선개념. 과학교육연구지, 37(2), 434-445. 

  2. 김신곤(2008). 구성주의에 근거한 유아의 과학적 개념변화 교수모형 개발.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52, 1-19. 

  3. 김영대(2017).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논증과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61-172. 

  4. 박기락, 박현주(2018). 지구과학교육 분야의 개념변화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9(2), 193-207. 

  5. 백은주, 송은영(2009). '물체가 물에 뜨고 가라앉는 현상'에 대한 유아 및 아동의 개념유형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3), 155-176. 

  6. 백재파(202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학 분야의 연구 담론 분석: 주요 학술지 대상 시기별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49, 339-373. 

  7. 송진웅(2003). 구성주의적 과학교육과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수학교육, 42(2), 87-109. 

  8. 이양환(2013). 문화산업에서의 빅데이터의 필요성. 웹진문화관광, 3월호. 

  9. 이호, 조현준, 이효녕(2007). 달 크레이터 생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55-672. 

  10. 장미화, 윤영일(2016).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캠핑에 대한 정부 정책과 국민들의 인식 변화 연구. 대한관광영영학회지, 31(1), 91-112. 

  11. 전상일, 신명경(2015). 과학그리기 활동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업에서 학습자의 태양계 개념형성, 과학탐구능력,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 현장과학교육학회지, 9(3), 202-212. 

  12. 정소윤(2016). 외계행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통계학적 접근 및 측광관측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진우, 한신(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천문학적 거리에 대한 개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1(7), 827-838. 

  14. 최혁준, 홍윤희, 이재남, 권미랑, 서상오, 김지나, 김준태, 권재술(2005). 과학 학습에서 학습자 성격유형과 불일치 상황 제시 방법에 따른 인지갈등 정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4), 441-449. 

  15. 한수진, 강석진, 노태희(2010). 학생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지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9(4), 474-483. 

  16. 한신, 정진우(2014). 기후변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개념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8(2), 430-442. 

  17. Gilbert, J. K., Osborne, R. J., & Fensham, P. J. (1982). Children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4), 623-633. 

  18. Hannust, T., & Kikas, E. (2007). Children's knowledge of astronomy and its change in the course of learn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1), 89-104. 

  19. Kim, J. Y., & Park, J. H. (2020).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the solar system and the scientific mod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w Physics: Sae Mulli, 70(1), 82-89. 

  20.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California: Wadsworth. 

  21. NASA Exoplanet Archive (2020.11.19.). https://exoplanetarchive. ipac.caltech.edu/ 에서 2020년 11월 19일 인출. 

  22. Ross, K. E. K., & Shuell, T. J. (1993). Children's Beliefs about Earthquakes. Science Education, 77(2), 191-205. 

  23. Strike, K. A. (1983). Misconceptions and conceptual change: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the research program. In H. Helm, & J. Novak (Eds.), Proceeding of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pp. 67-78).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24. Trundle, K. C., Atwood, R. K., & Christopher, J. E. (2007). A longitudinal study of conceptual chang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03-3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