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경험하는 무례함의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gree of Incivility Experienced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 Stress Coping Strategy on the Formation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3, 2020년, pp.104 - 114  

구상미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지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한 무례함 정도를 조사하고 무례함,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총 290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도구는 무례함,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호전문직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SPSS WIN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 중 성별, 학년,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환경만족도, 임상실습 중 무례함을 경험한 경우에 무례함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환경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무례함은 문제해결 중심대처(r=.36), 사회적지지 중심대처(r=.26), 회피중심대처(r=.25), 간호전문직관(r=-.16)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전문직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β=.23), 임상실습 환경 만족도(β=.22), 임상실습 만족도(β=.16)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14%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형성을 위해서는 적절한 스트레스대처전략, 만족스러운 임상실습환경과 임상실습 경험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rude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civilit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 formation. Research instrument were measured using incivility, stress coping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한 무례함을 조사하고 무례함,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분석 결과,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환자와 간호사에게 무례함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무례함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파악하고 무례함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무례함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파악하고 무례함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간호전문직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한 무례함이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nthony와 Yastik[35]의 연구에서 간호사들은 실습학생들을 교육대상자로 인식하기보다 자신들의 업무에 방해자로 생각하여 학생들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거나 또는 공격적이고 예의 없게 대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였 다. 간호대학생들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임상실습 환경에서 독특한 사회화를 경험하는데 이 과정에서 무례 함은 그들이 다루어야하는 기본적 사회 문제로 여겨진 다[36]. 무례함을 경험한 경우 간호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갖는 것이 불안정하고 간호전문직을 형성하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으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한 요인이라고 여겨진다. 스트레스 대처전략 중‘사회적 지지추구’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례함이 무엇인가요? 무례함(Incivility)이란, 태도나 말에 예의가 없음을 의미하며, 무례함을 경험한 개인은 무례한 행동을 할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에 무례함이 팽배한 경우 공식적인 보고와 효율적인 제재가 이루어지지 않아 구성원들은 무례함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다[9,10].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무례함을 어떤 방식으로 측정하였나요?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무례함은 Anthony 등[11]이 개발한 The Uncivil Behavior in Clinical Nursing Educator(UBCNE) 도구를 Jo 등[33]이 번역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K-UBCNE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본 도구는 총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 중 경험한 무례함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J. Y. Kang, Y. J. Jeong & K. R. Kong. (2018). Threats to identity: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student nurses' experience of incivility during clinical plac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8(1), 85-95. DOI : 10.4040/jkan.2018.48.1.85 

  2. K. O. Park & J. K. Kim. (2017). Experience of incivility to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3(5), 524-534. DOI : 10.11111/jkana.2017.23.5.524 

  3. J. Curtis, I. Bowen & A. Reid. (2016). You have no credibility: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horizontal violen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7(3), 156-163. DOI : 10.1016/j.nepr.2006.06.002 

  4. S. R. Kim & J. E. Lee. (2005).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1), 98-106. 

  5. S. P. Thomas & R. Burk. (2009). Junior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vertical violence during clinical rotations. Nurs Outlook, 57(4), 226-231. DOI : 10.1016/j.outlook.2008.08.004 

  6. J. W. Park & N. S. Ha. (2003).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Mental Health Nursing, 12(1), 27-35. 

  7. T. Ferns & L. Meerebeau. (2007). Verbal abuse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4), 436-444. DOI : 10.1111/j.1365-2648.2009.05114.x. 

  8. C. K. Clarke, D. J. Kane, D. L. Rajacich & K. D. Lafreniere.(2012). Bullying in undergraduate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1(5), 269-276. DOI : 10.3928/01484834-20120409-01 

  9. L. M. Andersson & C. M. Pearson. (1999). Tit for tat? the spiraling effect of incivility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4(3), 452-471. DOI : 10.5465/amr.1999.2202131 

  10. S. Lim, L. M. Cortina & V. J. Magley. (2008). Personal and workgroup incivility: Impact on work and health outcom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1), 95-107. DOI : 10.1037/0021-9010.93.1.95 

  11. M. Anthony, J. Yastik, D. A. MacDonald & K. A. Marshall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ool to measure incivility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30(1), 48-55. DOI : 10.3928/01484834-20110131-04 

  12. J. A. Park & E. K. Lee. (2011).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7(3), 267-276. DOI : 10.11111/jkana.2011.17.3.267 

  13. J. K. Kim, J. H. Yoo & E. Y. Cheon.(2017). Relationship among incivility, burnout, coping and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d by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316-324. DOI : 10.5762/KAIS.2017.18.1.316 

  14. E. K. Yeon. (2011).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post anesthetic care unit nurses.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H. J. Hwang. (2016). Coping strategy for the job stress in the outpatient and ward nurses of some university hospitals.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16.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coping,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3), 571-579. 

  17. A. C. Billings & R. H. Moos. (1984).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877-891. DOI : 10.1037/0022-3514.46.4.877 

  18. M. L. Bell. (1991). Learning a complex nursing skill: student anxiety and the effect of pre-clinic skill evalu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0(5), 222-226. DOI : 10.3928/0148-4834-19910501-09 

  19. Y. J Jeong & C. K. Koh. (2016). Effects of personality and coping behavior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one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4(4), 296-302. DOI : 10.17547/kjsr.2016.24.4.296 

  20. J. A. Lee. (2004).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an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10(3), 325-334. 

  21. E. J. Yun, Y. M. Kwon & O. H. Ahn.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6), 1091-1100. 

  22. S. S. Han, M. H. Kim, & E. K. Yun. (2008). Factors Affecting Nursing Professionalism.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73-79. 

  23. E. J. Park, J. Y. Han & N. Y. Jo. (2016).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 efficacy on the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1), 191-201. DOI : 10.7465/jkdi.2016.27.1.191 

  24. E. J. Yun & Y. M. Kwon.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3(3), 285-292. 

  25. K. Hallin & E. Danielson. (2008). Registered nurses' perceptions of their work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1), 62-70. DOI : 10.1111/j.1365-2648.2007.04466.x 

  26. J. Loke. (2001). Leadership behaviors: effects on job satisfaction, produc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9(4), 191-204. 

  27. H. Lu, A. E. While & K. Louise Barriball. (2007). A model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a reflection of nurses' working lives in Mainland Chin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8(5), 468-479. 

  28. I. S. Jang. (2016). The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3), 749-761. DOI : 10.7465/jkdi.2016.27.3.749 

  29. S. S. Hong & M. J. Park. (2014).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helplessness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4(12), 369-377. DOI : 10.5392/JKCA.2014.14.12.369 

  30. H. J. Park & J. W. Oh. (2014). The relationships of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the major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417-426. DOI : 10.14400/JDC.2014.12.12.417 

  31. M. K. Kim. (2017). Influence of stress coping ability, resilience on nursing.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2. S. H. Lee. (2016).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satisfaction o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3. S. O. Jo & J. A. Oh. (2016).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 tool to measure uncivil behavior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4), 537-548. DOI : 10.5977/jkasne.2016.22.4.537 

  34. H. J. Shin & C. D. Kim. (2002). A validation study of coping strategy indicator(CSI).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4(4), 919-935. 

  35. M. Anthony, J. Yastik, D. A. MacDonald & K. A. Marshall.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ool to measure incivility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30(1), 48-55. DOI : 10.1016/j.profnurs.2012.12.011 

  36. J. Thomas, A. Jinks & B Jack. (2015). Finessing incivility: The professional socialisation experiences of student nurses' first clinical placement, a grounded theory. Nurse Education Today, 35(12), e4-e9. DOI : 10.1016/j.nedt.2015.08.022 

  37. J. S. Kim. (2017). The Relationships among Incivility, Cop ing, Career Identity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407-416 DOI : 10.15207/JKCS.2017.8.12.407 

  38. S. Lim, L. M. Cortina & V. J. Magley. (2008). Personal and wor kgroup In civility: Impact on work and health outcomes. J 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1), 95-107. DOI : 10.1037/0021-9010.93.1.95 

  39. L. M. Andersson. (1999). Pearson CM. Tit for tat? the spiraling effect of incivility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The Academy of Management, 24(3), 452-471. DOI : 10.5465/amr.1999.2202131 

  40. E. A. Kim. (2018). Convergence Study on Stress, Stress of Clinical Practice,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91-99. DOI : 10.15207/JKCS.2018.9.3.091 

  41. Y. S. Ham,. H. S. Kim., I. S. Cho & J. Y. Lim. (2011).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538-546. 

  42. Y. J. Ko & I. K. K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62-71. DOI : 10.5977/JKASNE.2011.17.1.062 

  43. Y. J. Lee. (2014). The conceptu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new instruments to measure bullying in nursing workplace.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In-Che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