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 Study on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Acceptance Intention of Wearable Healthcare Devices: Focusing on the UTAUT2 and Innovativenes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5 no.3, 2020년, pp.129 - 143  

Jin, Seok (Smith College, Sahmyoo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사용자들의 수용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개인 혁신성에 따른 수용의도를 살펴보고 이를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UTAUT2, Extended UTAUT) 이론에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른 학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PLS 3.0을 사용하여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개인 혁신성이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의 성과기대와 노력 기대, 촉진조건, 쾌락적 동기, 가격 효용성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당 기기를 수용하고자 하는 태도에 성과기대, 노력기대, 쾌락적 동기, 가격 효용성이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를 수용하고자 하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users' wearable healthcare device adoption using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 hedonic motivation and price value of UTAUT2, an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to use wearable healthcare device and in...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헬스케어의 긍정적인 영향은? 개인의 건강생체정보를 수집·활용하여 효과적인 예방·치료를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기술을 제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삶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의료비의 감소 효과로 관련 시장의 성장세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헬스케어와 IoT 기기의 융합·발전으로 웨어러블 기기로의 채택과 발전이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건강관리의 패러다임과 의료서비스가 급속하게 변화함에 따라 관련 시장은 지속적으로 발전·성장해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고성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과는 달리, 관련 연구는 아직 미비한 편이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란 무엇인가? 또한, 만성질환 환자의 증가, 고령화 그리고 이에 따른 의료비 증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ICT와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의료비 지출을 축소하기 위한 노력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는 개인생체정보의 활용에 있어 네트워크, 센서, 디스플레이, 응용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기술을 탑재한 융·복합체로서 사람의 몸에 부착 또는 결합을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목적에 맞는 기능을 수행한 후,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보관·전송·산출하는 방식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는 탑재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 들의 개인생체신호를 꾸준하게 감지, 프로세서에 내장된 알고리즘을 적용, 스마트 기기와 같은 외부의 단말기에 탑재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감지된 정보를 시계열로 관리 하는 원리로 작동하고 관련 기술로는 의료정보통합기술, 건강·의료기록·라이프 로그 분석기술, 그리고 저자극 원재료 기술 등이 있다[2].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와 관련된 실증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또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와 관련된 실증 연구들도 지금까지는 초기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를 주제로 하여 진행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개인적 특성·기술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수용의도 연구[3], 연령대별 수용의도 연구[4] 등과 같이 수용의도를 조사한 연구들과 웨어러블 헬스케어의 기능 분석[5] 등과  같이 시장동향과 기능들을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들이 있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를 주제로 하여 진행된 연구들은 연관된 기술과 응용 현황들을 중심으로 국내·외의 발전 방향과 시장 동향 등을 살펴본 연구 이거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용이성·유용성 등에 국한하여 살펴본 연구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