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Web of Science 데이터학술지 게재 데이터논문의 지적구조 규명
An Investigation of Intellectual Structure on Data Papers Published in Data Journals in Web of Science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1, 2020년, pp.153 - 177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픈과학의 흐름에서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은 중요한 연구자의 활동이 되어가고 있다. 데이터 공유와 재이용에 관한 여러 논의 중에서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논문의 발간이 가시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데이터학술지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발간되고 있으며, 논문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논문은 데이터 자체와는 다르게 인용을 주고 받는 활동이 포함되어, 따라서 이들이 형성하는 고유한 지적구조가 생겨나게 된다. 본 연구는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논문이 학술커뮤니티에서 구성하는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Web of Science에 색인된 14종의 데이터학술지와 6,086건의 데이터논문과 인용된 참고문헌 84,908건을 분석하였다. 저자사항과 함께 동시인용분석과 서지결합분석을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여 데이터논문이 형성한 세부 주제 분야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저자, 저자소속기관, 국가를 추출하여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전통적인 학술지 논문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터의 생산이 용이한 기관과 국가에 주로 데이터논문을 출간하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동시인용분석와 서지결합분석 모두 분석도구, 데이터베이스, 게놈구성 등이 주된 세부 주제 영역으로 나타났다. 동시인용분석결과는 9개의 군집으로 형성되었는데, 특정 주제 분야로 나타난 영역은 수질과 기후 등의 분야이다. 서지결합분석은 총 27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었는데, 수질, 기후 이 외에도 해양, 대기 등의 세부 주제 영역이 파악되었다. 특기할만한 사항으로는 사회과학 분야의 주제 영역도 나타났다는 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ntext of open science, data sharing and reuse are becoming important researchers' activities. Among the discussions about data sharing and reuse, data journals and data papers shows visible results. Data journals are published in many academic fields, and the number of papers is increasing....

Keyword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통적인 학술지 논문과 같이 참고문헌을 지니는 데이터논문의 특성을 활용하여 인용을 기반으로 하는 분석인 서지결합분석과 동시인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여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논문이 형성하는 상세 주제 영역을 제시하여 지적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논의의 흐름이 이어져서 데이터논문과 데이터학술지의 출간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학술지와 데이터 논문 관련 연구를 주요한 이해관계자인 연구자와 데이터 관리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총 6,086건의 데이터 논문에 대하여 서지정보와 인용정보는 3단계의 분석 과정을 거쳤다. 첫 번째 분석은 데이터논문의 일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저자사항, 저자의 소속기관, 저자의 국가를 별도로 추출하여 Bibexcel2)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 두 번째 단계는 데이터논문의 동시인용분석을 수행하여 네트워크로 시각화하였다. 이를 통해서 데이터논문이 동시에 인용된 문헌의 빈도수를 기반으로 구현된 지적구조를 살펴볼수 있다. 그러나 논문이 인용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최신의 현황을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 사회과학 분야가 서지결합분석에서 나타난 현상은 최근의 데이터논문이 생물학 중심의 자연과학에서 사회과학으로 확정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데이터논문이라는 새로운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장이 구성하는 지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데이터학술지에 발행되는 모든 논문이 데이터논문은 아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분석한 14종의 데이터학술지가 제시하는 지적구조라 이해하기에 는 제한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스칼라십은 어떤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인가? 데이터 스칼라십(Borgman, 2015)은 오픈과학의 중요한 연구자 활동으로 여겨진다. 데이터 스칼라십은 연구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가 다른 연구자에게 공유되어 재이용되는 선순환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이다. McKiernan 외(2016)는 데이터와 같은 연구성과물을 공개하고 재이용하게 하는 활동이 실제로 연구자에게 유익한 활동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데이터논문에서 공통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기술항목은? Candela, Castelli, Manghi, Tani(2015)가 밝힌 바와 같이, 데이터학술지마다 조금씩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데이터논문에서 공통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기술항목은 10가지 정보이다. DOI 혹은 URI와 같은 접근점을 제공하는 이용가능성, 데이터 셋 관련한 경쟁관계의 이해관계, 시공간적 데이터의 범위, 실제적인 데이터 재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요소인 형태로써 인코딩이나 언어 등의 정보, 데이터 이용을 관장하는 정책 정보를 제공하는 라이선스, 데이터논문의 저자 기여도 표기, 데이터 생산을 주도한 프로젝트 정보, 데이터 생산을 이끈 방법론이나 도구에 대한 정보 제공, 데이터의 품질에 대한 정보, 데이터 재이용을 촉진하는 정보로 구성되었다.
신경 영상 분야의 데이터논문이 갖추어야 하는 요소는? 이를 위해서 신경 영상 분야의 데이터논문이 갖추어야 하는 요소로는 최소 6가지 항목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우선, 전체 연구 개요, 연구 참여자 사항, 실험 설계, 표현형 평가 프로토콜, 스캔 상세 정보, 연구데이터 배포 정보 등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데이터논문의 출간을 통해서 해당 연구자가 데이터의 품질을 심사할 수 있는 논문 심사 과정이 포함되기 때문에 질좋은 연구데이터의 공유와 재이용에 있어서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순기능으로 지적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Ji Hyun (2019).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ta journals and the establishment of data journal policies.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 Lee, Jae Yun (2006). WNET Software Package. 

  3. Chung, EunKyung (2019). An investigation on scientific data for data journal and data pap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6(1), 117-135.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117 

  4. Akers, K. G., & Doty, J. (2013). Disciplinary differences in faculty research data management practices and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8(2), 5-26. https://doi.org/10.2218/ijdc.v8i2.263 

  5. Belter, C. W. (2014). Measuring the value of research data: A citation analysis of oceanographic data sets. PLoS One, 9(3), e9259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92590 

  6. Borgman, C. L. (2015). Big data, little data, no data. Cambridge, MA: MIT Press. 

  7. Borgman, C. L. (2016). Data citation as a bibliometric oxymoron. In Sugimoto, C. (Eds), Theories of informetrics and scholarly communication (pp. 93-116). Berlin: De Gruyter Mouton. 

  8. Candela, L., Castelli, D., Manghi, P., & Tani, A. (2015). Data journals: A survey.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6(9), 1747-1762. https://doi.org/10.1002/asi.23358 

  9. Castelli, D., Manghi, P., & Thanos, C. (2013). A vision towards scientific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International Journal on Digital Libraries, 13(3-4), 155-169. https://doi.org/10.1007/s00799-013-0106-7 

  10. Chavan, V., & Penev, L. (2011). The data paper: a mechanism to incentivize data publishing in biodiversity science. BMC bioinformatics, 12(15), S2. https://doi.org/10.1186/1471-2105-12-S15-S2 

  11. Costello, M. J., Michener, W. K., Gahegan, M., Zhang, Z. Q., & Bourne, P. E. (2013). Biodiversity data should be published, cited, and peer reviewed.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8(8), 454-461. doi.org/10.1016/j.tree.2013.05.002 

  12. Goodman, A., Pepe, A., Blocker, A. W., Borgman, C. L., Cranmer, K., Crosas, M., ... & Hogg, D. W. (2014). Ten simple rules for the care and feeding of scientific data. PLoS Computational Biology. 10(4). https://doi.org/10.1371/journal.pcbi.1003542 

  13. Gorgolewski, K., Margulies, D. S., & Milham, M. P. (2013). Making data sharing count: a publication-based solution. Frontiers in neuroscience, 7, 9. https://doi.org/10.3389/fnins.2013.00009 

  14. Huang, X., Hawkins, B. A., & Qiao, G. (2013). Biodiversity data sharing: Will peer-reviewed data papers work?. BioScience, 63(1), 5-6. https://doi.org/10.1525/bio.2013.63.1.2 

  15. McKiernan, E. C., Bourne, P. E., Brown, C. T., Buck, S., Kenall, A., Lin, J., ... & Spies, J. R. (2016). Point of view: How open science helps researchers succeed. Elife, 5, e16800. https://doi.org/10.7554/eLife.16800 

  16. Pampel, H., Vierkant, P., Scholze, F., Bertelmann, R., Kindling, M., Klump, J., ... & Dierolf, U. (2013). Making research data repositories visible: the re3data. org registry. PloS one, 8(11), e7808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78080 

  17. Silvello, G. (2018). Theory and practice of data cita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9(1), 6-20. https://doi.org/10.1002/asi.2391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