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istic Literacy and Empathy Abilit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35 - 43  

강숙 (조선간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 대인관계 간의 관계 및 대인관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총 177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 4일부터 14일까지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t-test, one-way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문학적 소양은 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는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인관계는 인문학적 소양, 공감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인관계에 대한 영향요인은 공감능력으로 총 변화량의 2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humanistic literacy, empathy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77 nursing students from March 4 to 14, 2019. Data w...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를 확인하고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 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에게 보다 효과적인 대인관계 중재 전략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특히 간호교육에서 인문교육이 강조되고 있어 인문학적 소양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공감능 력이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 대인관계 간의 관계 및 대인관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실무현장에서 제시하는 간호대학 졸업생의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간호학생은 대학에서 인간의 생명을 다룰 수 있는 기 본적인 소양과 간호학 전공과 관련된 전문지식을 습득 하고 졸업 후 임상현장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1]. 간호실무현장에서 간호대학 졸업생의 핵심역량으로 ‘인문학적 간호역량’, ‘관계적 간호역 량’, ‘인성적 간호역량’, ‘치료적 간호역량’, ‘전문직적 간호역량’, ‘행정적 간호역량’을 제시하였다[2].
간호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 공감능력, 대인관계 간의 관계 및 대인관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을 때 그 결과는? 자료분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문학적 소양은 경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는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인관계는 인문학적 소양, 공감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인관계에 대한 영향요인은 공감능력으로 총 변화량의 2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간호학생이 대학에서 갖춰야할 역량은? 간호학생은 대학에서 인간의 생명을 다룰 수 있는 기 본적인 소양과 간호학 전공과 관련된 전문지식을 습득 하고 졸업 후 임상현장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1]. 간호실무현장에서 간호대학 졸업생의 핵심역량으로 ‘인문학적 간호역량’, ‘관계적 간호역 량’, ‘인성적 간호역량’, ‘치료적 간호역량’, ‘전문직적 간호역량’, ‘행정적 간호역량’을 제시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H. S. Park & K. S. Jeong. (2013).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49-557. DOI : 10.5977/jkasne.2013.19.4.549 

  2. S. K. Lee, S. N. Park & S. H. Jeong. (2012). Nursing core competencies needed in the fields of nursing practice for graduate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4), 460-473. DOI : 10.11111/jkana.2012.18.4.460 

  3. Y. J. Oh. (2017).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307-317. DOI : 10.14400/JDC.2017.15.7.307 

  4. D. L. Miller. (2001). Reexamining team work KSAs and employee performance. Small Group Research, 32(6), 745-766. 

  5. M. Jung. (2015). Influence of ego states, self-esteem, and empath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4614-4620. DOI : 10.5762/KAIS.2015.16.7.4614 

  6. H. I. Lee. (2010).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2), 109-118. 

  7. Y. S. Kim & M. Y. Han. (2015).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index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5), 501-510. DOI :10.11111/jkana.2015.21.5.501 

  8. H. S. Jeong & K. L. Lee. (2012).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5), 2635-2647. 

  9.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manual with interpretive guidelines for four-year nursing program[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9 [cited 2019 May]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new/new03_02.php 

  10. E. K. Jeong. (2016). A study on the way of diffusion and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Korean Literature, 63, 365-384. 

  11. E. T. Duran & E. Cetinkaya-Uslusoy. (2015). Opinions of nursing students on the art of nursing: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8(2), 308-316. 

  12. J. Ward, M. Schaal, J. Sullivan, M. E. Bowen, J. B. Erdmann & M. Hojat.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7(1), 73-88. DOI : 10.1891/1061-3749.17.1.73 

  13. S. S. Sim & M. R. Bang.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justment to a colleg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2), 634-642. DOI : 10.5762/KAIS.2016.17.1.2634 

  14. M. J. Bae & H. I. Cho.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self-esteem, cognitive/affective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5(6), 2417-2435. DOI : 10.15703/kjc.15.6.201412.2417 

  15. B. H. Kong. (2001). Aesthetical-ethical paradigm of care ethic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3), 364-372. 

  16. B. L. Carper. (1978). Fundamental pattern of knowing in nursing. Advances Nursing Science, 1(1), 13-18. 

  17. M. L. Hoffman. (2000).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caring and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S. Brunero, S. Lamont & M. Coates. (2010). A review of empathy education in nursing. Nursing inquiry, 17(1), 65-74. DOI : 10.1111/j.1440-1800.2009.00482.x. 

  19. J. H. Yoo & H. J. Choi. (201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ping,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3), 553-561. DOI : 10.5762/KAIS.2019.20.3.553 

  20. S. J. Kim. (2019).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8(2), 103-113. DOI : 10.12934/jkpmhn.2019.28.2.103 

  21. J. O. Jeong & S. Kim. (2019). The effect of an empathy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empathy 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and car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5(3), 344-356. DOI : 10.5977/jkasne.2019.25.3.344 

  22. E. J. Song. (2006).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3), 467-473. 

  23. J. H. Oh & Y. H. Hwang. (2019). The effect of empath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3), 196-203. https://doi.org/10.7586/jkbns.2018.20.3.196 

  24.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of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DOI : 10.3758/bf03193146 

  25. Y. I. Kim. (2014). The study of resilience of the gifted in science: related with humanistic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26. M. H. Davis.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ournal Supplement Abstract Service(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 p.85. 

  27. I. Kang, S. W. Kee, S. E. Kim, B. S. Jeong & J. H. Hwang et al.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of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8(5), 352-358. 

  28. S. Schlein, B. Gureney & L. Stover. (197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University, Pennsylvania, USA. 

  29. S. M. Moon. (1980).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 195-204. 

  30. M. J. Kim. (2016). Influence of humanities and empathy on ethic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6), 1865-1874. DOI : 10.13000/JFMSE.2016.28.6.1865 

  31. Y. S. Kim. (2019). Emotional intelligence and humanistic knowledge and empathic ability of nurs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3), 337-348. DOI : 10.21742/AJMAHS.2019.03.33 

  32. J. Y. Ha & S. Y. Jeon. (2016). The effects of humanistic knowledg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communication skills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3), 264-273. DOI : 10.5977/jkasne.2016.22.3.264 

  33. Y. J. Jeong & S. Y. Joo.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umanistic style measurement too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5), 453-472. DOI : 10.22251/jlcci.2019.19.15.453 

  34. C. S. Yoo, J. H. Kim, M. Y. Kim, S. J. Kim. Y. S. Kim et al. (2012).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2), 239-250. DOI : 10.22650/JKCNR.2012.18.2.239 

  35. S. K. Hong. (2017). Influence of humanistic knowledge and resilience on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2(2), 189-200. 

  36. E. J. Lim & M. H. Lee. (2019). Convergence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e, clinical stress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5), 279-286. DOI : 10.14400/JDC.2019.17.5.279 

  37. J. S. Ju. (2006). The effects of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