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다문화청소년들의 폭력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in Korean Multicultural Youth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51 - 59  

박지연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다문화청소년의 폭력 피해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정신건강증진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8년도 청소년건강행태조사결과를 기초자료로 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며, 우리나라 다문화청소년 8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IBM 25 ver. SPSS를 이용하였으며 복합표본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정신건강 특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폭력피해경험, 성별, 주관적 건강인지이며, 폭력피해 경험이 있고, 여학생이며 주관적 건강인지가 나쁠수록 슬픔, 절망감 경험, 자살사고, 자살계획,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폭력피해와 정신건강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으나 전국적 규모의 청소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대표성을 가지며,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damag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of multicultural youths in Korea, and to use it as a basic data in developing mental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for multicultural youths.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based 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들의 피해사례를 살펴보고 그들의 우울, 스트레스등을 살펴본 연구는 있으나 이들이 느끼는 극심한 좌절로 인해 정신건강 중, 특히 자살관련 변수와의 관계를 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표성 있는 청소년건강행태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다문화 청소년의 폭력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폭력피해 경험에 따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구성이 통합적,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 청소년들의 폭력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14차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대표 표본인 청소년건강 행태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다문화청소년 의 폭력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 석결과 슬픔·절망감 경험의 관련요인은 폭력피해 경험, 성별, 어머니 학력수준, 주관적 건강인지 및 스트레스 인지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원시자료에서 아버지의 한국국적여부를 묻는 ‘아버지는 한국에서 태어났습니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청소년의 정신건강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다문화청소년의 정신건강 특성에 따른 폭력피해 경험 의 차이에서는 슬픔, 절망감 경험, 자살사고, 자살계획, 자살시도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다문화청소년의 정신 건강상태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다문화청소년의 폭력피해의 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는 청소년 보호를 위해 여러 가 지 법안이 통과되고 예방 및 캠페인등이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으나 다문화청소년은 여전히 보호구역 외에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폭력피해의 유의한 특성으로 경제 적 수준, 어머니 아버지의 국적, 학업성적, 주관적 건강 인지 및 스트레스 인지로 드러나 다문화가정이 우리나 라에서 적응하면서 겪게 되는 문제들과도 거의 유사하 게 나타났다[3,4].
다문화청소년의 정신건강 특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SPSS를 이용하였으며 복합표본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정신건강 특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폭력피해경험, 성별, 주관적 건강인지이며, 폭력피해 경험이 있고, 여학생이며 주관적 건강인지가 나쁠수록 슬픔, 절망감 경험, 자살사고, 자살계획,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폭력피해와 정신건강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으나 전국적 규모의 청소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대표성을 가지며,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Y. Lee & Y. S. Kim. (2015) multicultural population dynamic statistics. Statistics Korea News[Internet]. 2016 November 16:1-4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57477&pageNo&rowNum10&amSeq&sTarget&sTxt 

  2. J. W. Whang. (2016). Status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 Education Development, 9(197), 117-121. 

  3. J. Y. Kim. (2017). Who am I? A case study of a multicultural boy's identity.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10(2), 125-145. 

  4. L. H. Lee & H. L. Chang. (2018). The influences of closeness with parents and awareness of internet policie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1-25. 

  5. W. R. Lee. (2013). A review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9(3), 409-431. 

  6. D. H. Jang & H. S. Shin. (2010).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chool mal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3), 123-147. 

  7. S. A. Jung, J. Y. Yang & E. S. Choi. (2014). The effect of emotional and socialskill improvement program on self-esteem, peer relational skill and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for multicultural children.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8(3), 49-67. 

  8. H. J. Kang. (2016). A Study on the case and confrontation plan of the school violence to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Studies, 5(2), 121-144. 

  9. The 14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8).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0. J. S. Nam. (2014). The effects of a fine art cure program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multipleculture families: quantitative study.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2(2), 107-118. DOI : 10.15205/kschs.2014.2.2.107 

  11. J. S. Kim & K. H. Lee. (2011). An effect of dance and movement therapy (DMT)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7(4), 57-73. 

  12. J. S. Jeong.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e-associated art therapy program for multicultural children'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12(2), 23-48. 

  13. S. H. Yeum, H. Shin & S. Oh. (2010).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grouptraining program on social skills,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stress in international couples' childre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3), 853-873. DOI : 10.15842/kjcp.2010.29.3.012 

  14. E. M. Park. (2015).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youth resilience improvement program on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2(1), 37-54. DOI : 10.15284/kjhd.2015.22.1.37 

  15. S. Y. Yoon & K. S. Kang. (2016). The effects of song psychotherapy on the acculturation stress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ilot study.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18(2), 119-138. DOI : 10.21330/kjmt.2016.18.2.119 

  16. H. Lee, K. Park K & M. Song. (2016). Effect of formative artistic activities using objets on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 & Design, 19(2), 87-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