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성별 및 전공계열에 따른 요구의 차이
Differences in the Needs According to Gender or Major for Development of the Prevention Program for Dating Violence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178 - 186  

김래은 (유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구상미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대학생의 성별 및 전공에 따라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요구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인문사회계열 및 보건계열 학생들로, 남학생 220명, 여학생 131명, 총 35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데이트폭력에 대한 교육시기,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에 대한 설문을 제작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성별 및 전공에 따라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교수법의 요구는 오픈 카카오톡을 활용한 개인 상담과 체험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모든 하위요인 내용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교수법의 요구는 오픈 카카오톡을 통한 개인 상담과 체험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건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보다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모든 하위요인 내용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needs of the prevention program for dating violence according to the gender and major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health care students in U university, which inc...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면, 데이트폭력 인식이나 가해경험,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7], 전공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연구는 없었으나, 보건계열과 인문사회계의 교과과정과 실습경험에 따라 선행지식이 다르며, 교육에 대한 요구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성별 및 전공의 차이를 토대로 데이트폭력 예방프로그램에 반영하고자 한다. 이는 예방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상자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데이트폭력에 대한 비합리적이며 왜곡된 인식 및 신념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재구성하여 심각성과 민감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특성에 따라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요구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위한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성별 및 전공에 따른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성별 및 전공의 차이를 토대로 데이트폭력 예방프로그램에 반영하고자 한다. 이는 예방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상자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데이트폭력에 대한 비합리적이며 왜곡된 인식 및 신념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재구성하여 심각성과 민감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생에게 있어 데이트 폭력의 경험은 스트레스 증가, 대학생활 부적응 및 학업지장, 원치 않는 임신 등 인생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 프로그램이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 최근 들어 대학생들의 데이트폭력 발생과 그 심각성이 증가되고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국가정책적으로도 크게 이슈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성별 및 전공에 따른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달 단계 상 성인초기에 속하는 대학생에 있어 건강한 데이트 경험이 중요한 이유는? 이성 교제 중 데이트는 미혼남녀에게 있어 너무나 자연스럽고 흔한 경험으로 대학생은 데이트관계를 통해 친밀감을 경험하고 낭만적인 사랑을 기대한다. 발달 단계 상 성인초기에 속하는 대학생에 있어 건강한 데이트 경험은 전반적인 대인관계를 하는데 자신감을 갖게 하며, 미래의 배우자를 만나 결혼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매우 중요하다[1-3]. 데이트 경험은 강한 정서적 유대감과 상대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성간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은 관계이므로[3] 그만큼 불일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많고, 심한 갈등이 일어날 확률이 높다.
데이트 폭력은 무엇인가? 이러한 과정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갈등이 해결되지 않으면 분노와 좌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면 폭력적인 행동을 유발할 확률이 높아진다. 데이트 폭력(Dating violence)은 데이트관계에 있는 남녀가 서로 간에 합의 없이 한 사람이 일방적으로 파트너에게 해를 끼칠 의도를 가지고 행하는 신체적, 언어적, 성적폭력을 말한다[4].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은 폭력으로 인지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인지한다고 하더라도 가해자와의 관계성으로 인하여 문제화하기 어렵다[5].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대학생의 성별 및 전공에 따라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요구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진행했을 때 그 결과는? 자료분석은 성별 및 전공에 따라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교수법의 요구는 오픈 카카오톡을 활용한 개인 상담과 체험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모든 하위요인 내용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교수법의 요구는 오픈 카카오톡을 통한 개인 상담과 체험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건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보다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모든 하위요인 내용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 J. Ha & M. K. Seo. (2014). A study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Social Science Research, 30(4), 79-103, 

  2. C. Y. Lim, M. S. Lee & S. Y. Jung. (2010). The effects of violence perception on dating viol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5, 147-179. 

  3. H. J. Lee, M. S. Yoon, Y. E. Kim & S. Y. Lee.(201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tolerance and recognition of dating viole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115-125. 

  4. M. A. Straus. (2004). Prevalence of violence against dating partners b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orldwide. Violence Against Women, 10, 790-811. 

  5. S. H. Bae.(2015). An analysis of reality and Discourse about sexual violence on dationg relation ships: Korean Case. Gender Research, 20, 57-69. 

  6. H. Y. Kang & S. J. Park.(2017). Survey on the date violence damage of women in seoul. Seoul Women's Family Foundation. 

  7. H. M. Nam.(2003). Study on predicting date rape among university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Ehwa University, Seoul. 

  8. S. K. Kim. (2019).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addiction tend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dating violence; in accordance with sex. Master dissertation. Jeju University, Jeju. 

  9. Y. H. Jin. (2018).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rejective rearing attitude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Master dissertation. Kwnagwoon University, Seoul. 

  10. D. K. Kim & E. H. Shagong. (2007). A study on effect of school violence on dating violence and the moderate effe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5), 99-124. 

  11. K. H. Seo, S. D. Choi & I. H. Kim.(2007). Influences of fa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domestic violence on dating relationship and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1), 153-170. 

  12. J. Yoon, S. Y. Yang & B. K. Park. (2012). The influence of domestic violence, patriarchal gender role attitude, and inferiority complex on acceptability of college dating viol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6), 79-107. 

  13. S. Y. Jung, C. Y. Lim & M. S. Lee. (2011). The effects of prejudice on dating viol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violence acceptability and relationship conflict. Social Science Research, 27(4), 127-151. 

  14. K. S. Son & S. M. Jeong. (2016). The mediation effects of sexual assertiveness between gender-role stereotypes and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1(3), 441-457. 

  15. J. Y. Kang. (2019). The mediation effects of sexual assertiveness betwee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Jeju University, Jeju. 

  16. H. Y. Jung & H. S. Min. (2013). Development & evaluation of web-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627-639. 

  17. A. R. Koh. (2018). A survey of awareness of dating viol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Kimhae. 

  18. S. A. Jang & K. S. Lee. (2019).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teen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youth.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1). 789-819. 

  19. Cheongju University Gender Equality Counseling Center. (2015). Survey on sexual consciousness in Cheongju university in 2015. 1-35. 

  20. J. S. Lee. (2003).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experience in sex and the needs of sex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nd non-nursing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21. Y. S. Bang. (2010). Survey on sexual consciousness in Cheongju university in 2010. Student Life Research, 32, 115-139. 

  22. M. H. Choi. (2004).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among women college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3. K. H. Jung & M. K. Kang. (2018).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dating violence experience, violence tolera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33-42. 

  24. H. S. Kang & E. S. Lee. (2014). Predictive factors for perpetrations of dating violenc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3(4), 288-29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