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데이트폭력 인식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Harassment Behavior an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ccording to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7, 2020년, pp.244 - 254  

김래은 (유원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부) ,  구상미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  최선미 (유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데이트폭력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도구로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은 CTS2를 김정란(1999)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데이트폭력 인식은 정하윤(2013)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체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정서적 폭력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난 반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적 폭력은 더 높게 나타났다. 보건계열 전공 학생이 인문사회계열 전공 학생보다 전체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정서적 폭력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성경험 유무에 따라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정서적 폭력에서만 성별과 성 경험 유무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데이트폭력 인식 및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보건계열 전공학생이 인문사회계열 전공 학생보다 데이트폭력 인식 및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성경험이 없는 학생이 있는 학생보다 전체 데이트폭력 인식, 성적 폭력, 신체적 폭력 및 사이버 폭력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dating violence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As a research tool, CTS2 was used as a measure of dating violence, a measure developed by Kim(1999) was used, and a measure of dating violence by Jeong(2013) w...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인문사회계열 학과와 보건계열 학과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특성 즉, 성별, 전공 및 성경험 유무에 따른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데이트폭력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대학생활에서의 건강한 이성교제 경험은 상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감을 획득하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대학생의 이성교제에 대한 상담과 지도, 데이트폭력 예방에 대한 실천적 개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대학생의 주요 특성으로 이전에 다루어지지 않았거나 잠재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여지는 성별, 전공 및 성경험 유무를 포함하여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데이트폭력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인식에 대한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트폭력이란 무엇인가? 데이트폭력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데이트폭력은 이성 관계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폭력을 뜻한다[1]. 남녀 간의 데이트폭력은 신체적, 정서적 상처뿐만 아니라 정신적 트라우마까지 겪게 하는 등 결국 피해자의 사회부적응까지 초래하고 있다 [3,4].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행동 예방 및 인식 개선이 시급한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이성교제 및 남녀 간의 사랑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대학생 시기에 겪게 되는 데이트폭력 행동은 결혼 후 부부폭력 행동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된다. 16개국 31개 대학의 남녀 대학생에게서 유사하게 높은 폭행비율이 나타났으며 [5], 부부관계보다 미혼 남녀 간의 사적인 데이트 관계에서 오히려 더 많은 폭력이 발생하고 있으며, 친밀한 남녀 관계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영향이 사회적으로 매우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는다고 하였다[6,7]. 또한, 부부 폭력행동과 달리 데이트폭력은 법적인 보호망의 밖에 있으며 [6], 사적인 남녀 관계에서 행해지므로 피해자가 상대방의 폭력행동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폭력 가해 행동을 폭력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이게 되고[7], 폭력에 대한 낮은 인식은 폭력 관계를 지속시키게 하는[8] 등 이러한 심리적 특성이 더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행동의 예방 및 데이트폭력에 대한 인식 개선은 대학교육에 있어서 보다 시급한 과제이며 대학의 제도적, 교육적 측 면을 포함하여 사회⦁정책적 개입이 필요한 이슈이다.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을 살펴본 연구 결과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관련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편견 [7], 대상관계 수준[10], 성폭력 피해경험과 음주습관[11] 등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이 있었다.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을 살펴본 연구들로는 [12,13]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적 폭력 및 성적 폭력을 더 많이 행사한다고 하였고, [9]에서는 심리적, 신체적 폭력의 피해경험, 아동기 신체적 학대, 성경험이 있는 경우가 데이트 폭력의 예측 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데이트폭력의 발생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가해행동과 관련된 대상자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은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예방을 위한 전략마련에 기초가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 J. Ha, M. K. Seo, "A study of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dating violenc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30, No.4, pp.79-103, 2014. 

  2. J. Yoon, S. Y. Yang, B. K. Park. "The influence of domestic violence, patriarchal gender attitude, and inferiority complex on acceptability of college dating viol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9, No.6, pp.79-107, 2012. 

  3. S. M. Jackson, F. Cram, F. W. Seymour. "Violence and sexual coercion in high school students'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 15, No.1, pp. 23-36, Mar, 2000. 

  4. S. A. Kaura, B. J. L. Lohman, "Dating violence victimiza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mental health problems, and acceptability of violence: a comparison of men and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Vol. 22, No.1, pp. 367-381, 2007. DOI: https://doi.org/10.1007/s10896-007-9092-0 

  5. M. A. Straus, "Prevalence of violence against dating partners b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orldwide", Violence Against Women, Vol.10, No. 7, pp.790-811, 2004. DOI: https://doi.org/10.1177/1077801204265552 

  6. C. Y. Lim, M. S. Lee, S. Y. Jung, "The effects of violence perception on dating viol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35, No. pp.147-179, 2010. 

  7. S. Y. Jung, C. Y. Lim, M. S. Lee, "The effects of prejudice on dating viol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violence acceptability and relationship conflict",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27, No.4, pp.127-151, 2011. 

  8. R. Lundgren, A. Amin, "Address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mong adolescents: emerging evidence of effectivenes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56, No.1, pp.42-50, 2015. DOI: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4.08.012 

  9. H. S. Kang, E. S. Lee. "Predictive factors for perpetrations of dating violenc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3, No.4, pp. 288-298, 2014.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4.288 

  10. J. Y. Jang, J. H. Kang, "The mediation effect of cling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relation level and the dating violence of colleg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8, No.1, pp.307-327, 2017. DOI: https://doi.org/10.15703/kjc.18.1.201702.307 

  11. S. R. Shin. "How does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f sexual abuse and alcohol abuse affect offence of dating violence? : focused on mediate of criminal history",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Vol.19, No.6, pp.197-205. 2017. 

  12. J. M. Park, N. Y. Shin, H. S. Park, "A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media violence acceptance and violence perception on dating violenc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0, No.4, pp.237-246. 2019. 

  13. H. J. Lee, M. S. Yoon, Y. E. Kim, S. Y. Le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tolerance and recognition of dating viole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8, No.3, pp.115-125. 2018. DOI: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3.115 

  14. J. Y. Lee, E. S. Lee, "The explanatory models of dating violence and victimization with dating partners amo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17, No.2, pp.419-436, 2005. 

  15. N. E. Werner, C. I. Nixon, "Normative beliefs and relational aggression: an investigation of the cognitive bases of adolescents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ts, Vol.34, No.3, pp.229-243. 2005. OI: https://doi.org/10.1007/s10964-005-4306-3 

  16. B. M. Kim,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male university students' dating sexual assault recogni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6, pp.525-533. 2017.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6.525 

  17. M. A. Straus, S. L. Hamby, S. Boney,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 (CTS2)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Journal of Family Issues, 1, Mar, 1996. DOI: https://doi.org/10.1177/019251396017003001 

  18. J. R. Kim, College Students' Dating Violence and Coping Behavior, Ph.D dissertation, Cheo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pp.31-35, 1999. 

  19. H. Y. Jeo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REBTbased Dating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Ph.D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Pusan, Korea, pp.45-46, 2013. 

  20. R. Savasuk-Luxton, F. Adler-Baeder, M. L. Haseleschwerdt, "Understanding change in violence-related attitudes for adolescents in relationship education", Journal of Adolescence, Vol.63, pp.153-164, Feb, 2018. DOI: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7.12.012 

  21. M. O'Keefe, "Teen dating violence: a review of risk factors and prevention efforts", National Electronic Network on Violence Against Women, pp.1-13. 2005. DOI: https://doi.org/10.1177/1524838007309804 

  22. O. J. Kwon, Y. E. Jang, "The effects of exposure to parental violence on dating violence in colleg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gender sensitivity", Locality and Globa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43, No.1, pp.235-263, 2019. DOI: https://doi.org/10.33071/ssricb.43.1.201904.235 

  23. W. Y. Cho, K. H. Kim, "The effects of childhood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on dating violence moderating effects of adult attachment style",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49, pp.71-96, 2015. 

  24. Y. H. Oh, S. M. Lim, "Perceived motives for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of college students: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58, No.1, pp.49-77, 2019. DOI: https://doi.org/10.22418/Jss.2019.6.58.1.49 

  25. H. S. Kang, E. S. Lee, "Factors influencing the perpetrations of sexual violence while dating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7, No.3, pp.77-86, 2010 

  26. R. Luthra, C. A. Gidycz,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men and women: evaluation of a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21, No.6, pp.717-731, 2006. DOI: https://doi.org/10.1177/0886260506287312 

  27. M. R. Hong, Gender sensibility and violence against wives in everyday life: how do the victims realize and resist common violence,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Seoul, Korea, pp.117-121, 2005. 

  28. E. J. Koo, M. J. Kwon, S. R. Ryu, Y. S. Shin, J. Y. Yoo, H. A. Jang et al.,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emotional dating violence 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s", Health and Nursing, Vol. -, No.53, pp.44-48. 2019. 

  29. A. R. Ko, A Survey of Awareness of Dating Viol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Kimhae, Korea, pp.38-39, 2018. 

  30. G. H. Jung, M. K. Kang,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dating violence experience, violence tolera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9, No.2, pp.33-42. 2018.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8.9.2.03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