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liefs and Total Body Health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 2020년, pp.211 - 218  

최유진 (영산대학교 치위생학과) ,  엄숙 (대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본 연구는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로 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성인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신념은 평균 3.75점, 구강건강신념의 구성요인 중 민감성 3.41, 심각성 3.73, 중요성 4.22, 유익성 4.19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은 3.77점, 전신건강은 3.06점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은 부의 상관(r=-0.54, p<0.001)을 가지며, 구강건강신념과 전신건강도 부의 상관(r=-0.30, p<0.001)을 가지며, 주관적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은 정의 상관(r=0.47, p<0.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건강신념은 주관적 구강건강을 완전 매개하여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인의 구강건강신념 대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구강건강관리를 포함한 포괄적 개념의 전신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49 adult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ral health beliefs on total body health by mediating subjective oral heal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s oral health belief averaged 3.75 points, the component of oral health belief was 3.41, the severity 3.73, the imp...

Keyword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들의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로 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갖게 하고, 이로 인해 구강을 건강하게 만들어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을 함께 관리하는 융복합 토탈 헬스케어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들의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로 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갖게 하고, 이로 인해 구강을 건강하게 만들어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을 함께 관리하는 융복합 토탈 헬스케어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는 구강건강을 관리하는데 있어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며 결국 전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구강건강신념이 구강건강과 전신전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구강을 포함한 포괄적 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의미 있는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 구강건강신념이 구강건강을 매개로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인 249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하였으며 구강건강을 포함한 통합적 건강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구강건강신념은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개개인의 태도와 신념으로정의하였다. 치아가 나빠질 위험요인이 얼마나 많은지에 대한 인식인 민감성, 치아가 나빠지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초래할 것이라고 인식하는 심각성, 구강건강은 지켜야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인식하는 중요성, 구강건강증진행위를 함으로써 치아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는 유익성을 포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질환의 종류는? 구강질환은 치면세균막 질환인 치아우식증 및 치주병, 감영성 질환, 면역성 질환, 발육장애, 유전성질환, 종양, 외상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들 중 치아발거로인해 구강건강을 파탄시키는 가장 큰 요인을 중대구강병이라 하며 중대 구강병에는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이 있다[5].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로 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성인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본 연구는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로 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성인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신념은 평균 3.75점, 구강건강신념의 구성요인 중 민감성 3.41, 심각성 3.73, 중요성 4.22, 유익성 4.19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은 3.77점, 전신건강은 3.06점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은 부의 상관(r=-0.54, p<0.001)을 가지며, 구강건강신념과 전신건강도 부의 상관(r=-0.30, p<0.001)을 가지며, 주관적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은 정의 상관(r=0.47, p<0.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건강신념은 주관적 구강건강을 완전 매개하여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인의 구강건강신념 대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구강건강관리를 포함한 포괄적 개념의 전신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전신질환과 구강질환을 연결시켜 확인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했는데 치주질환으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는? 특히 양대 구강질환 중 하나인 치주질환은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이환 되는 만성질환 가운데 하나이다. 최근 몇 년 사이에 전신질환과 구강질환을 연결시켜 확인하려는 시도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었으며[6], 그 결과 치주질환은 동맥경화를 촉진시키고, 심혈관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7]. Kim 등[8]의 연구에서는 고혈압과 치주질환의 발생과의 연관성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하였고, Ahn[9]의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에서의 치주질환이 동맥경화를 발생시키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 S. Park. (2011). The effect of oral health behavior by oral health belief of student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college student in Seoul.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1(2), 107-119. 

  2. J. S. Choi. (2008).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reported oral health status and hemoglobin alc level among diabetic patients. Korean JoutnalJ of Health Education and Primotion, 25(1), 55-69. 

  3. Y. J. Choi. (2012).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the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and oral health management capacity : focused on the patients visiting a dental clinic,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4. E. A. Kim. (2008). Study on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S. A. Kim et al. (2011), Contemporary preventive dentistry, Seoul. Danhannarae publishing. 

  6. G. J. Seymour, P. J. Ford, M. P. Cullinan, S. Leishman & K. Yamazaki. (2007). Relationship betweenperiodontal infections and systemic disease.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13(s4), 3-10. DOI : 10.1111/j.1469-0691.2007.01798 

  7. J. D, Beck et al. (2005). Periodontal disease andcoronary heart disease: a reappraisal of the exposure. Circuration. 112(1), 19-24. 

  8. H. D. Kim, D. M. Paik, D. H. Kho & D. I. Paik. (2006). Influence of cardiovascular related disea se on periodont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0(1), 46-55. 

  9. Y. B. Ahn. (2016). Association of periodontitis with subclinical atherosclerosis and peripheral arterial disease in Korean adults. Master's thesis. Seoul Nat ional University. Seoul. 

  10. FDI World Dental Federation, Oral health and the United Nations Political Declaration on NCDs, FDI World Dental Federation, 2012. 

  11. C. S. Kim & Y. K. Choi. (2017). Survey of adults' perceptio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7(1), 12-19. DOI : 10.17135/jdhs.2017.17.1.12 

  12. H. H. Son. (2004). An ecological approach to stud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in Kangseo-ku, kangnam-gu, Seoul.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2), 77-92. 

  13. Y. B. Oh, H. S. Lee & S. N. Kim. (1994). Children′ s dental health behavior in relation to their mothers′socioeconomic factors and dental health beliefs. Journal of Korean Academy Dental Health, 18(1), 62-83. 

  14. B. J. Jang. (2008). Study on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liefs and dental health behavior in the hig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8(3), 163-168. 

  15. S. S. Kegeles. (1963). Why people seek dental care: a test of conceptual formulatio. Journal of Health Hum Behav, 4, 166-173. 

  16. M. H Hong. (2011). A study on the level of oral health by the life-long process. Docto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7. J. E, Ware & C. D. Sherbourne.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6), 473-83. 

  18. S. J. Kwon & E. J. Lee. (2013).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use of dental service of students of health and medical department of universiti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3), 83-93. DOI : 10.12811/kshsm.2013.7.3.083 

  19. S. A Lim. (2019). Convergence study on correlation about oral health beliefs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perception factor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9), 201-209. 

  20. H. M. Park. (2016). Effect of oral health belief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oral health behavior o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0(2), 133-144. DOI : 10.12811/kshsm2016.10.2.133 

  21. K. A Jang & S. E Heo. (2019). Convergenc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belief and OHIP-14 based on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in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ty, 10(10), 59-66. 

  22. T. Dietrich, I. Webb, L. Stenhouse, A. Pattni, D. Ready, K. Wanyonyi, S. White & J. Gallagher. (2017). Evidence summary: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British Dental Journal, 222(5). 381-385, 

  23. H. R. Kang et al. (2018). Risk factors of asthma exacerbation based on asthma severity: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observational study in South Korea, BMJ Open. 2018(3), e020825. DOI : 10.1136/bmjopen-2017-020825 

  24. B. M. Shin. Y. K. Choi. S. M Bae & H. J Lee. (2018). Factors related to awareness and education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systemic disease and oral health among dental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8), 607-615. DOI : 10.5392/JKCA.2018.18.08.607 

  25. S. E. Heo. (2017).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determinants of oral health practice in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161-174. DOI : 10.15207/JKCS.2017.8.9.161 

  26. J. H. Ji & S. E. Heo. (2019). The effects of work value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6), 183-193. DOI : 10.22156/CS4SMB.2019.9.6.18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