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어촌마을 개발을 위한 중요 요소 분석
Analysis of Important Factors for Sustainable Fishing Village Development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6 no.1, 2020년, pp.23 - 38  

이찬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 ,  박지훈 ((주)지역활성화센터플러스) ,  강현경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the deduction of the important priority factors by setting the comprehensive rate in each of the economy, sociability and environmental area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As the research methods, review of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 and Delphi q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전문가 설문을 통해 경제, 사회,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이루면서 어촌마을에 가장 큰 효과를 발현시킬 수있는 우선적인 요소들을 도출, 계획 방향성을 제안하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적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촌마을 계획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 항목별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함으로서 어촌마을 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어촌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 개발을 토대로한 지표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어촌개발에 우선할 수 있는 중요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향후 ‘어촌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어촌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경제,사회, 환경 각 분야에서의 우선적 중요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어촌지역의 폐쇄적 특성인 격절성(隔絶性), 환해성(環海性), 고립성(孤立性)으로 인해 농산촌보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입지 조건에 있다.
  • 본 연구는 어촌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외 지속가능지표 관련 문헌을 토대로 한 50개의 요인을 도출하고 전문가 델파이조사, 분석을 통해 총 28개 항목을 추출하였다.각 28개 요인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값을 산출하였으며 0.
  • 본 연구는 폐쇄적 공간 특성을 가지고 있는 어촌마을의 계획시, 지속가능한 중요 요소 도출을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즉 수산업 쇠퇴, 초저출산, 인구유출, 취약한 공공서비스 등 낙후되거나 사각지대로 방치된 항⋅포구와 어촌의통합적 접근에 있어 균형발전, 지역재생(Park, 2019)을 핵심적 가치로 하여 경제, 사회, 환경적 측면에서의 중요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어촌사회의 경제적위기 및 물리, 사회적 쇠퇴, 대규모 간척, 매립 등의 생태환경의 파괴 등에 대응한 ‘어촌의 지속가능한 계획과 개발’이라는 개념 아래 우선적으로 중요한 요소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어촌 지역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경제적으로 건강한계획과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어촌관광 및 활성화 방안이 대부분이었으며 어촌의 지속가능한 경제 및 사회 발전, 건전한 환경 유지를위한 종합적 중요 요소 추출 및 적용방안은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어촌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경제, 사회, 환경 각 분야에서의 포괄적범위를 설정, 우선적 중요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 설문을 통해 경제, 사회,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이루면서 어촌마을에 가장 큰 효과를 발현시킬 수있는 우선적인 요소들을 도출, 계획 방향성을 제안하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적 의의를 갖는다.
  • 어촌지역의 폐쇄적 특성인 격절성(隔絶性), 환해성(環海性), 고립성(孤立性)으로 인해 농산촌보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입지 조건에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어촌지역의 자생적 회복력을 위한 지속가능성, 발전가능성, 커뮤니티성 등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에 필요한 우선적 요소를 도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즉 수산업 쇠퇴, 초저출산, 인구유출, 취약한 공공서비스 등 낙후되거나 사각지대로 방치된 항⋅포구와 어촌의통합적 접근에 있어 균형발전, 지역재생(Park, 2019)을 핵심적 가치로 하여 경제, 사회, 환경적 측면에서의 중요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촌지역의 폐쇄적 특성은 무엇을 방해하고 있는가? 반면에 폐쇄적인 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도서를 포함한 어촌지역은 훼손되지 않은 건전한 생태환경과 역사ㆍ문화자원을 보존하고 있는 반대급부적 이익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폐쇄적 공간적 특성은 경제적 경쟁을 단절시킴으로써지역과 지역 간의 긍정적인 환류과정을 방해하고 있다. Korea Fisheries Association(2019)에 의하면 어촌지역은 지리적 특성상 많은 섬 지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적접근성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인구를 구성하는 세대 순환이원활하지 않아, 인구 소멸의 위험도가 매우 높다고 보고하였다.
Korea Fisheries Association(2019)에 의하면 어촌지역은 무엇 때문에 인구 소멸의 위험도가 매우 높다고 보고되었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폐쇄적 공간적 특성은 경제적 경쟁을 단절시킴으로써지역과 지역 간의 긍정적인 환류과정을 방해하고 있다. Korea Fisheries Association(2019)에 의하면 어촌지역은 지리적 특성상 많은 섬 지역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적접근성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인구를 구성하는 세대 순환이원활하지 않아, 인구 소멸의 위험도가 매우 높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어촌지역과 관련된 정책은 1960년대 후반부터 중앙부처가 별도 계획을 수립한 후, 추진되어 왔으며어촌지역이 가지고 있는 폐쇄성을 해결하고 새로운 관광산업기지로 탈바꿈시키고자 1986년 도서개발촉진법을 제정하여 “매력있고 살기 좋은 섬” 창출을 목표로 어촌종합개발사업을 추진하여 왔다(Park and Oh, 2014; Park et al.
어촌지역의 폐쇄적 특성은 무엇으로 인한 영향으로 열린 공간적 특성을 가진 농촌,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공간적 조건을 가지고 있는가? 어촌지역의 폐쇄적 특성은 격절성(隔絶性), 환해성(環海性), 고립성(孤立性)으로 인한 영향으로 열린 공간적 특성을 가진 농촌,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공간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Park et al., 2013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hn, G. B. 2010. A study on the revitalize fishing villages through the analysis of amenity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6(4): 147-156. 

  2. Ahn, Y. W., Rho H. K., Kim, M. K. 1997. A study on structural improvement and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Chuja-do fishing village.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9(1): 57-70. 

  3. An Y. G. 2006. Regenerating a tourist fishing village with a community concept -A case of Byeonsan Daehang-ri-,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4. Choi, J. U. 2008. A study for physic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Dangsan forest in rural and coastal villag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4): 131-133. 

  5. Choi, S. A., Park S. W., Kim B. T. 2007. A study of an appeasement scheme for bipolarization in fishing communities, Korea Maritime Institute. 

  6. Choi, S. A., Park S. W., Kim B. T. 2009. Strategies by fishing village type to increase fishing income. Korea Maritime Institute. 

  7. Gwak, H. G., Kim N. O., Kim, J. I. 2008. Study on developing ecological tourism program in ocean resources: Case study on tideland in Jeonnam province and marine village,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2(2): 227-243. 

  8. Han, S. H., Yun, C. W., Song, J. H., Kim, H. J., Lee, J. E., Yun, I. S., Yoo, Y. S., Lee, S. H. 2019.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by micro-topographies of beech forest in Ulleung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 and Ecology, 33(6): 686-694. 

  9. Kang, H. K. Lee, S. D., Cho, H. S. 2009. The basic of ecology status of the uninhabited islands of fishing village in Namhae-gu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5(2): 81-96. 

  10. Kim, D. C. and Choi, W. Y. 2013.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fishing experience villages for the revitalzation of eco experience touris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6): 29-42. 

  11. Kim, D. S. and Lee, C. W. 2005. The analysis of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and fishing ports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17(2): 218-227. 

  12. Kim, J. H. and Cho, E. J. 2014. A study on the types of visitors to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 Focused on the case of Tae an-gun on Ch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3): 45-53. 

  13. Kim, J. T. 2012. Rural standard services condition in rural fishing area and the improvement of checking methods for implementation perfp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3): 91-101. 

  14. Kim, S. D. and Park, I. H. 2019.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and no. of acorns/tree allometric equations of Quercus acuta Thunb. in Wando Isl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 and Ecology, 33(4): 440-446. 

  15. Kim, S. G. 1999. Sustainable fishing village tourism development. Monthly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174: 1-7. 

  16. Kim, S. G. 2004.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main fishing village. Monthly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34: 79-91. 

  17. Kim, S. G., Hong, J. W., Park, S. W. 200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 tourism types. Korea Maritime Institute. 

  18. Kim, Y. P. 2006. A study on urban type fishing port development model considering functional optimization. Doctoral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9. Korea Fisheries Association. 2019. Population extinction crisis and countermeasures of fishing villages. Korea Fisheries Association Policy Forum. 

  20. Lee, C., Lee D. H., Kang H. K., An K. J. 2013. An establishment specialization the planning of fishing villages Biando via analysing amenity reso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1): 209-220. 

  21. Lee, G. G., Lee, S. D., Kim, J. S., Cho, B. G. 2019.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 of the evergreen forest, Cheonjangsan(Mt.) at GeoJae.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 and Ecology, 33(6): 708-721. 

  22. Lee, G. O. and Choi, H. 2015. A study of extracting obstacle factors to activate fishery village: By using FGI of operators of fishery village.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9(11): 209-220. 

  23. Lee, J. H. 2011. A study on the strategics of tourism revitalization based on motive of tourist to seaside in Jeju l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7(3): 43-53. 

  24. Lim, Y. K., Lee, S. B., Lee, S. G. 2004.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 of national tourism in fishery communities.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18(2): 309-322.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Sustainable development committee, 2018 Sustainability report. 

  26. OECD. 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27. Park, H. E.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 participatory education program in fishing village - Focused on improvement of community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1): 137-147. 

  28. Park, J. H., Choi, S. M., Cho, E. J. 2013a. Demographic transition in Eup/Myon-level island area in rura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1): 11-21. 

  29. Park, S. U. and Choi, J. S. 201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silience of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island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15(3): 129-150. 

  30. Park, S. W. 2019. The direction of the fish village new deal 300 Project,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Balanced Development Research Center. 

  31. Park, Y. J., Choi, S. M., Cho, E. J. 2013b. Structural differentiation of rural service Industries in Korean Island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1): 1-10. 

  32. Park. J. K. and Oh, E. J. 2014. Feasibility study for the 3rd 10th year('08-'17) of comprehensive island development pla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33. Saaty, T. L. 199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34. Song, J. J. 2008. Statistical analysis method of SPSS/AMOS for the preparation of a thesis, 21st Century Publishing House. 

  35. United Nations. 2006.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uidelines and methodologies 2rd edition, United Nations. 

  36. United Nations. 2007.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uidelines and methodologies 3rd edition, United Nations. 

  37. Yoo, S. D., Park, Y. H., Park, Y. S. 1999.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bout tourist's activities, motivation pre, expectation post,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Focused on the tourists visiting to the beach villages in Kangwon Province. Journal of Travel Study, 10: 123-139. 

  38. https://ec.europa.eu/eurostat/web/sdi/indicators. 

  39. https://sdg.data.gov/. 

  40. https://www.gov.uk/government/statistics/sustainabledevelopment-indicators-sd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