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의 관계: 외로움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NS Addiction Tendency, Smartphone Game Addiction by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Lonelines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4, 2020년, pp.300 - 310  

고민정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하정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남녀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 SNS중독경향성,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 관계를 살펴보고, 남녀중학생의 외로움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A지역 중학교의 남녀청소년 259명을 대상으로(남학생 134명, 여학생 125명)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남학생의 경우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이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여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여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이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남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외로움의 수준에 따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가 남녀중학생 모두 유의하게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외로움의 수준에 따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중학생의 스마트폰 게임중독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자 중학생에게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loneliness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NS addiction tendency as well as smartphone game addiction in male and female middle-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259 male and female adolescents enrolle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문제행동이나 인터넷 중독 수준과 게임몰입 정도가 높으며 [19,20,21], 부정적 양육태도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가상의 공간에서 심리적 만족감, 안정, 정서적 지지를 충족하며 중독을 높이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22,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요인으로 알려진 부모요인에 관심을 두고 이들 가운데 하나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상정하였다.
  • 추가로 남아가 여아보다 외로움을 더많이 느낀다는 연구결과[55,56]와 여아가 남아보다 외로 움을 더 많이 느낀다는 연구결과[57]로 미루어 보아 성차에 대한 결과가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성별에 따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서로 다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고려하여, 남녀중학생 각각에서 관계를 밝히고 이러한 관계가 외로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남녀중학생 각각 외로움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과의 관계 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134명, 여자 125명총 25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 또 부모가 심리적 통제를 높게 사용할수록 컴퓨터 몰입정도가 높으며[20]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31]. 이러한 관련성을 전제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에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한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 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과의 관련성을 전제로 할 때 이들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함께 발견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 그러나 지금까지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연구만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매체로한 SNS사용과 게임사용에 대한 차이를 설명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서 주된 예측변인으로 밝혀진 SNS중독과 스마트폰 게임중 독을 상정하여 이들에 영향 미치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가 외로움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 3.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 중학생의 스마트폰 게임중독간의 관계가 외로움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 반면에, 외로움이 스마트폰의 강박적인 사용에 영향이 없다는 이경남, 김희화[45, 46]의 연구에서는 외로움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어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비 일관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로움 수준에 따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 관계가 달라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 중독경향성이란? SNS중독은 최근 떠오른 사회문제로 명확한 개념이나 진단기준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로 알려져 있다[9]. 이에 국내에서는 온라인상의 대인관계에 과도하게 몰입하여 금단과 내성을 경험하고 일상에 지장이 있는 것을 일컫는 개념으로 ‘SNS 중독경향성’이란 용어[10]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즉, SNS의 사용은 대인관계의 확장, 소통의 기회로 친밀감, 유대감을 강화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1].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빠질 위험성이 높은 이유는? 청소년들은 새로운 미디어기기에 대해 빠르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기존의 매체를 대체하려는 경향이 있다[2]. 더구나 스마트폰은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학교 적응, 학업 스트레스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고, 그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자극이 제공되기 때문에 스마트폰 중독에 빠질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3].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을 유발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개인의 환경적, 심리적 요인은? 하지만 모든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환경적, 심리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유발된다. 주로 이용자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 충동성, 자기효능감 등에 대한 개인 심리적 요인이나 부모양육태도,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 등과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띄게 된다[16,17]. 특히 청소년들은 자율성에 대한 욕구가 증가 하는 시기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더욱 민감하게 받아들여 문제 행동을 증가시킬 수있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H. K. Beak, J. W. Yoon,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psychological mindedn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7, pp.389-400, 2014. 

  2. K. W. Shin, D. I. Kim, H. S. Kim, Y. J. Jung, "A Study on Strategies for Intervention and Resolution of Smart Media Addiction",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3. B. Y. Kim, "Mobile Phone and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tress Responses of High School Student: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Depriv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7, No.2, pp.385-398, 2012. 

  4. Survey on smartphone dependency: Youth (10 - 19 years old) Internet dependence scal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rea. 

  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2 Internet addiction survey"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 

  6. Christensen, M. H., Orzack, M. H., Babington, L. M. & Pastsdaughter, C. A, "Computer addiction: When monitor becomes control center.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 Vol.39, No3, pp.40-49, 2001. 

  7. H. I. Jo,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Self-Control as a Mediator", Jon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13, No.4, pp.269-287, 2011. 

  8. Kuss, D. J, "Internet gaming addiction: current perspectives", Psychology research and behavior management, Vol.6, No.125, 2013. DOI: https://doi.org/10.2147/PRBM.S39476 

  9. Kuss, D, Griffiths, M, "Social networking sites and addition: Ten lessons learned.",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4,No.3, pp.311-327, 2017. DOI: https://doi.org/10.3390/ijerph14030311 

  10. S. Y. Jung, J. N. Kim,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9, No.1, pp.147-166, 2014. 

  11. H. M. K, The effect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youth's SNS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anxiety,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tiy, 2016. 

  12. H. Y. Jang, Relation of internet game addiction with teenagers' sociality and urge,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2004. 

  13. J. E. L, Analysis of SNG(Social Network Game) users' flow experience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social influence factors, Master's thesis, Chounang University, 2012. 

  14. Suler, J. R. "Psychotherapy in Cyberspace: A 5-Diensional Model of Online and Computer-Mediated Psychotherapy", CyberPsychololgy & Behavior, Vol.3,No.2, pp.151-159, 2000. DOI:https://doi.org/10.1089/109493100315996 

  15. J. S. Lee, S. H. Mo, "The Effect of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on youth's social development : The mediation of democratic school rule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9, No.9, pp.281-308, 2012. 

  16. S. J. Roh,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and Personal-Psychological Factors, Smartphone Usage Motivation Affecting High-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Media, Vol.19, No.4, pp.659-691, 2013. 

  17. E. J. Lee, J. K. Eo,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and Impuls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on Smartphone Addiction", Family and Family Therapy, Vol.23, No.1, pp.1-22, 2015. 

  18. S. H. Lee,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adolescent's relational aggression :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attachment to the sam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7. 

  19. H. H. Kim, "The Effect of Maternal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on Problem Behavior and Internet Delinquency in Adolesc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0, No.3, pp.133-153, 2003. 

  20. Y. J. Jung, "Children's Personal Characteristics,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Extent of Children's Computer Game Playing", Korean Home Economic Association, Vol.43, No.11, pp.197-210, 2005. 

  21. S. J. Han, Impa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Youth's Smart 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Emotional-Control Strategie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2015. 

  22. Y. M. Yoon, "Youth Internet Use: Developing an Analytical Model", Information Society & Media, Vol.12 No.2, pp.133-153, 2000. 

  23. Y. S. Na, "The Effects of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on the Smartphone Addiction of Small Children",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17, No.3, pp.31-53, 2013. 

  24. Barber, B. K.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Vol.67, pp.3296-3319, 1996. DOI: http://dx.doi.org/10.2307/1131780 

  25. Barber, B. K, Harmon, E. L., "Violating the sel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 15-52, 2002. DOI: https://doi.org/10.1037/10422-002 

  26. S. Y. Jeo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Mediational effects of Emotional Autonom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5, No.6, pp.101-111, 2007. 

  27. Aunola, K., Nurmi, J., E., "The role of parenting style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Vol.76, No.6, pp.1144-1159, 2005. DOI: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5.00840.x-i1 

  28. H. J. Shin, The Influence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Peer Conform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2018. 

  29. H, H. Jung,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martphone addiction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istic motivation, Master's thesis, Shilla University, 2017. 

  30. H. M. Kwon, The effect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n the youth's SNS addi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anxiety,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2016. 

  31. H. J. Ryu,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control and Risk of Internet Game Addictio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32. Heinrich, L. M, Gullone, 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loneliness: A literature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6, No.6, pp.695-718, 2006. DOI: https://doi.org/10.1016/j.cpr.2006.04.002 

  33. O. S. Kim, "Loneliness : Concept Analysis", Health & Nursing, Vol.9, No.2, pp.28.37, 1997. 

  34. Weiss, R. S., Loneliness :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Cambridge, MA: MIT Press, 1973. DOI: https://doi.org/10.4236/ajac.2013.49062 

  35. Griffiths, M., Internet addiction. The Psychologist, Vol.2, No.5, pp. 245-250, 1999. 

  36. Young, K. S.,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 No.3, pp.237-244, 1998. DOI: https://doi.org/10.1089/cpb.1998.1.237 

  37. M. J. Lee, H. S. Jang. "The Affects of Social Anxiety, Loneliness, and alienation on College Students Mobile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6, No.11, pp.71-96, 2009. 

  38. Y. K. Oh,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Korea counseling university, 2012. 

  39. W. J. Seo, M. R. Kim, J. H. Kim, E. Chad, I. S. Jo,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20, No.4, pp.497-512, 2015. 

  40. W. K. Park, "An explorative study on Adolescents' SNS addic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13, No.4, pp.305-342, 2013. 

  41. J. Y. Yeong, S. Y. Kang, D. H. Kim, "The Impact of Attachment Anxiety on Smart Phone Addiction with a Mediating Effect of Impulsivity and Loneliness: Focused on the Group of SNS and GAME",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Vol.22, No.1, pp.47-69, 2014. 

  42. S. Y. Park, K. W.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Oiettolie Traits and Their Risks of Gaming Addict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20, No.3, pp.839-861, 2008. 

  43. J. H. Seo, H. K. Lee, "The Relation Between Game Flow and Game Addiction: Moder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9, No.11, pp.23-44, 2012. 

  44. H. C. Lee, C. Y. Ahn,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nternet Gam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7, No.3, pp.463-486, 2002. 

  45. Park, B. W, Lee, K. G, A Pilot to analysis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and Device Characteristic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Smartphone Users. Communications in Ca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Vol.151, pp.421-427, 2011. 

  46. K. N. Lee, H,. H. Kim,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o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Youth Facilities and Environment, Vol.17, No.3, pp. 27-36, 2019. 

  47. Leung, L., Wei, R. "Who are the mobile phone have-nots? Influences and consequences." New Media & Society, Vol.1, No.2, pp.209-226, 1999. DOI: https://doi.org/10.1177/1461444899001002003 

  48. Ling, R. "The mobile connection: The cell phone's impact on society." Elsevier, 2004. 

  49. Y. H. Kwak, A Correlation Between Motives For Using Moblie SNS and Use Behavoirs-Focusing on Twetter Users-,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2011. 

  50. D. H. Lee, S. H. Son, "Is ther a Gender Difference in mobile Phone Usage?",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20(1), pp.249-284, 2006. 

  51. J. H. Lee, H. Y. Kim, J. S. Kang, "The Effect of Loneliness on SNS Addiction: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and Its Gender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6, No.2, pp.154-164, 2017. 

  52. H. S. Jung, A Study on the effect of SNS Users' Use Motivations and Network Type on the Online Civic Participation,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Sunkyunkwan University, 2014. 

  53. M. H. Im, Gender Differences on The Effects of SNS Use Motivation and Perceived Interactivity and Social Anxiety i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of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2015. 

  54. H. J. Bang, A. M. Cho,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Adolescents' Internet Game-related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Vol.16, No.1, pp.1-22, 2003. 

  55. M. J. Woo, I. J. Park, "Child Bonding Type in Early Stages, Family Functioning, and Children's Lonelin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Perceived Par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Welfare, Vol.6, No.2, pp.25-43, 2001. 

  56. J.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loneliness and self-esteem, peer competence, his/her mother's rearing attitude, Ph.D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2011. 

  57. H. M. Oh, Relation between Children's Loneliness and the Qualities of Sibling Relationships and Friendship,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0. 

  58. S. H. Cho, K. H. Suh,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Related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Focus on Covert Narciss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8, No.1, pp.239-250, 2013. 

  59. D. I. Kim, Y. J. Chung, Y. H. Lee, B. K. Kim, H. J. Jeon, "Develpment and Validation of Youth Smartphone Addiction Self-report Scal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7, No.3, pp.319-335, 2016. 

  60. Russell, D, Peplau, L, A, Cutrona, C. E,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te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9, pp.472-280, 1980.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39.3.472 

  61. Plancherel, B, Bolognini, M, "Coping and mental health in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Adolescence, Vol.18, No.4, pp.459-474, 1995. DOI: https://doi.org/10.1006/jado.1995.1033 

  62. E. J. Jung, W. H. Kim, D. H. Lee, "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Motives for Using SNSs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 Innovation Research, Vol.24, No.1, pp.17-31, 2014. 

  63. Kaufman, G, Uhlenberg, P, "Effect of life course transitions 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0, No.4, pp.924-938, 1998. DOI: https://doi.org/10.2307/353635 

  64. H. Y. No,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Chronic Procrastin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2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