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Mediated by Career Decision Leve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4, 2020년, pp.301 - 308  

고영주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김남석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학과 3,4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β=.54, p<.001), 진로결정수준(β=.23, p=.009)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수준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Z=2.49, p=.006).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을 향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반영한 전략적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ata collected from 108 nursing students in 3rd and 4th grade and analy...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결정수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진로지도프로그램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3.
  • 본 연구는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에 작용하는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이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도되었지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그 사이를 매개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수준이 작용하는 매개효과에 대해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할 수 있는 진로지도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교육이 주목받게 된 사회적 배경은? 2000년대 이후 대학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은 타 학과로 전과 및 편입 등 전공 변경과 자퇴, 휴학 등 학업을 중단하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1]. 이는 개인의 적성이나 흥미와 상관없이 진로를 선택하여 학업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교육이 이러한 문제해결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2].
진로란? 진로란 개인이 삶에서 가지게 되는 일과 관련된 체험을 통한 탐색 과정으로 방향성을 제시한다[3]. 특히, 대학생의 경우는 개인의 적성과 잠재적 재능계발을 통해 전문성과 가치관을 함양하여 사회진출을 준비하는 과정이며, 매우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4].
진로준비행동이란? 진로준비행동이란 진로목표를 위해 직업탐색, 정보수집 등과 같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활동 등을 의미한다[11]. 즉, 자신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계획을 통해 진로준비과정에서 수행하는 행동적인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E. Lim & Y. Y. Kwak. (2011). Female college students' leave of absence types and related facto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0(2), 231-248. 

  2. S. M. Jang. (2013). The beginning and formation of Korean progress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37, 1-29. 

  3. S. J. Kim & S. H. Kim.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ident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3(3), 1425-1441. http://dx.doi.org/10.15703/kjc.13.3.201206.1425 

  4. M. J. Kim & B. W. Kim. (2007). The effect of anxie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 level.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0(1), 13-25. 

  5. E. A. Kim & K. S. Jang. (2012).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12-32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312 

  6. H. T. Shin & H. J. An. (2014). The experience of the stop-out of femal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3(3), 165-175.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3.165 

  7. K. A. Lee & J. H. Kim. (2015).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2(1), 42-49. https://doi.org/10.16952/pns.2015.12.1.42 

  8. L. McKenna, L. McCall & N. Wray. (2010). Clinical placements and nursing students' career planning: A qualitative expl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6(2), 176-182. https://doi.org/10.1111/j.1440-172X.2010.01827.x 

  9. M. J. Chae & H. J. Jung. (2016).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n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0(3), 213-222. http://dx.doi.org/10.12811/kshsm.2016.10.3.21 

  10. A. Rudman & J. P. Gustavsson. (2012). Burnout during nursing education predicts lower occupational preparedness and future clinical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9(8), 988-1001.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03.010. 

  11. B. W. Kim & K. H. Kim. (1997).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9(1), 311-333. 

  12. R. W. Lent, S. T. Brown & G. Hackett.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47(1), 36-49. http://dx.doi.org/10.1037/0022-0167.47.1.36 

  13. N. E. Betz, K. L. Klein. & K. M. Taylor.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103 

  14. S. O. Kim.(2016).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2(2), 210-219.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210 

  15. H. J. Ko. (1992).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er counseling on Korean college students' decision making styles and on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6. S. H. Osipow, C. G. Carney & A. Barak. (1976).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typologic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2), 233-243. 

  17. K. Norwalk, J. M. Norvilitis & M. G. MacLean. (2008). ADHD symptomat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factors associated with college adjustment.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13(3), 251-258. https://doi.org/10.1177/1087054708320441 

  18. J.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Y. K. Choi, & S. H. Kim.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3(5), 2085-2097. 

  20. R. M. Baro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1. N. Kim & Y. J. Ko. (2020).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 211-218. https://doi.org/10.14400/JDC.2020.18.1.211 

  22. H. S. Hyun & Y. Kim. (2018).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4(1), 29-38. https://doi.org/10.5977/jkasne.2018.24.1.29 

  23. M. K. Moon & S. Kim.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Health Information and Statistics, 42(2), 162-169. https://doi.org/10.21032/jhis.2017.42.2.162 

  24. Y. A. Son, S. J. Sin & E. Y. Son. (2014). Valuables affecting to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7(1), 109-125. 

  25. K. J. Moon & E. J. Cho. (2017). Exploring correlate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career resilie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2(2), 127-135. https://doi.org/10.21032/jhis.2017.42.2.127 

  26. H. Y. Koo, O. K. Park & K. W. Jo. (2017). Experience of career decision of Korean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2), 168-178. https://doi.org/10.4094/chnr.2017.23.2.168 

  27. J. E. Choi & Y. Cho. (2019). Influences of worker's job mentoring progra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 581-601.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2.581 

  28. K. Bae. (2019). Relationship of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self-r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case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7), 515-525. http://dx.doi.org/10.35873/ajmahs.2019.9.7.046 

  29. T. J. Jang & M. Moon. (2014).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4), 344-352.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4.344 

  30. R. W. Lent, S. D. Brown & G. Hackett.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22. http://dx.doi.org/10.1006/jvbe.1994.1027 

  31. J. Lee & W. Choi. (2010).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variable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career choice action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3(2), 101-121. 

  32. H. Y. Koo, O. K. Park & S. Y. Jung. (2017). Path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1), 10-18. https://doi.org/10.4094/chnr.2017.23.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