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학습민첩성을 매개로 다양성수용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on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195 - 201  

이효선 (극동대학교 항공운항서비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다양성수용도, 학습민첩성, 진로결정수준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다양성수용도가 학습민첩성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대학교육 관점에서의 진로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소재 4년제 대학의 항공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215부의 설문응답을 최종표본으로 사용하여 SPSS 23.0, AMOS 23.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 수용도는 학습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민첩성은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민첩성은 다양성수용도와 진로결정수준의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다양성수용도는 학습민첩성과 함께 고려될 때 진로결정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의 진로교육에 다양성수용도와 학습민첩성을 증진시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on learning agil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15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airline cabin service m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성수용도 대학생의 창의성, 진로준비행동, 협동학습 등 다양한 변인과의 연구를 통해 영향관계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학습민첩성 역시 진로준비행동 및 혁신행동, 자기주도학습능력 등의 변인과 함께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학생에게 중요하다고 인식되어지는 다양성수용도, 학습민첩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고 다양성수용도가 학습민첩성을 매개로 할 때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모형은 Fig.
  • 따라서 추후에는 대학의 범위를 확대함과 동시에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대학의 진로교육에 필요한 효과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와 관련된 변인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대학생의 진로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학생의 전공 별로 전공에 대한 만족도, 대학의 지원, 교수-학생 간의 관계 등의 변인들과 함께 진로 관련 연구를 진행한다면 대학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이나 정책을 수립하여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진로를 결정해야하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필요한 변인으로 다양성수용도와 학습민첩성을 제시하였고 학습민첩성이 다양성수용도와 진로결정수준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북소재 4년제 대학의 항공계열 학생들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진로결정수준은 진로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등의 여러변인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대학생의 다양성수용도와 자기인식, 성찰 추구 등을 포함하는 학습민첩성이 진로결 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대학의 진로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설 및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다양성수용도는 학습민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성수용도란 무엇을 말하는가? 다양성수용도는 자신과 다른 인종을 비롯하여 가치관, 문화 등 모든 부분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자 태도를 말한다[10]. 다양성에 관한 관심은 1960년대에 미국으로부터 시작되어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소수자들의 권리와 관련된 문제점을 부각했다.
진로를 결정해야하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필요한 변인으로 다양성수용도와 학습민첩성을 제시하였고, 다양성수용도와 학습민첩성이 진로결정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무엇을 시사하고 있는가?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성수용도는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직업의 세계가 급변하는 현시점에 대학생들이 꼭 갖추어야 할 역량이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성수용도가 학습민첩성과 함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간의 연구들[7, 25]을 통해 다양성수용도가 폐기학습역량, 협동학습역량, 창의성, 진로준비행동 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된 것은 대학생들에게 다양성에 대한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 등을 마련할 때에 다양성을 이해하고 받아들일수 있는 교육의 포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습민첩성은 주로 기업의 핵심인재 육성과 관련된 변인으로 연구되어왔으나 이 연구에서 대학생들의 다양성수용도, 진로결정수준과의 영향관계가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학습민첩성의 하위요인이 자기인식, 성장지향, 유연한사고, 성찰추구, 행동변화 등임을 살펴보면 모든 요인이 대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생 시절에 학습민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을 받게 된다면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결정하고, 준비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생 진로교육의 핵심은 무엇인가? 대학생 진로교육의 핵심은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준비와 함께 이에 어울리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다. 이러한 역량의 하나로 다양성을 수용하는 자세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 K. Kim.. (2020. 2. 4). The 4th Industrial Renovation will cause Job-Bigbang: Educational Innovatiotion for Survival. Hankookilbo, p. 28. 

  2. J. Y. Park. (2019).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Decision Mak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Journal of Education Studies, 50(4), 257-274. 

  3. L. B. Griggs. (1995). Valuing diversity: Where from...where to? In L. B. Griggs. & L-L. Louw(Eds.), Valuing diversity (.1-14). McGraw-Hill. 

  4. O. O. Sawyerr., J. StrausS & J. Yan. (2005). Individual Value structure and diversity attitudes: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Gender, Race, and Religiosit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5-6), 498-521. 

  5. Y. Fujimoto, C. E. J. Hartel & G. E. Hartel. (2004). A Field Test of the Diversity-Openness moderator Model in Newly Formed Group: Openness to Diversity Affects group Decision Effectiveness and Interaction Patterns. Cross Cultual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1(4), 4-6. 

  6. W. Watson., K. Kumar & L. K. Michaelsen. (1993). Cultural Diversity's Impact on Interaction Process and Performance: Comparing homopeneous and Diverse Task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 560-602. 

  7. H. S. Lee. (2014).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on Creativity: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Unlearning Competency. Ph. D. thesis. Jungang University, Seoul. 

  8. Y. J. Kim & A. J. Hong. (2018). Effect of College Student's Reflective Learning on Openness to Diversity and Mediating Effect of Collaborative Learning Competenc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4), 563-584.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563 

  9. R. B. Slaney. (1988). The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W. B. Walsh & S. H. Osipow(Eds.), Career Decision Making (pp. 33-76).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 E. T. Pascarella., M. Edison., A. Nora., L. S. Hegedorn & P. T. Terenzini. (1996). Influences in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and Challenge in the First Year of Colleg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7(2), 1487-195. 

  11. L. L. Bierema. (2010). Resisting HRD's Resistance to Diversity.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34(6), 565-576. 

  12. D. McPhee., J. C. Kreutzer & J. J. Fritz. (1994). Infusing Diversity Perspective into Human Development Course. Child Development, 65(2), 699-715. 

  13. S. H. Osipow. (1999). Assessing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5, 147-154. 

  14. B. W. Kim & K. H. Kim (1997).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9(1), 311-333. 

  15. S. H. Osipow. C. G. Carney. J. Winer. B. Yanico & M. Koschier. (1980). The Career Decision Scale (3re rev.). Columbus, OH: Marsthon Consulting and Press. 

  16. K. L. Jones. (1989). Measuring a three-dimensional Construct of Career Indecision Over Time: Links with Personality, Barriers,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1, 122-133. 

  17. H. Y. Ryu & H. S. Oh. (2016). Learning Agility: Issues and Challeng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8(4), 119-145. 

  18. M. M. Lombardo & R. W. Eichinger. (2000). High potentials as high leaders. Human Resource Management, 39(4), 321-329. 

  19. C. H. Im., Y. E. Wee & H. S. Lee.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Agili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9(2), 81-108. 

  20. M. London & T. Maurer. (2004). Leadership Development: A Diagnose Model for Continuous Learning in Dynamic Organizations.. In J. Antonakis, A. Cianciolo, & R. Sternberg (eds.), The Nature of Leadership (222-245).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21. C. McCaulley. (2001). Leader Training and Development. In S. Zacuuaro & R. Klimoski (eds.),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leadership.: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Imperatives Confronting today's leaders (347-383). San Fransisco, CA: Jossey-Bassey. 

  22. E. T. Pascarella, M. Edison, A. Nora, L. S. (1996).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and Challenge in the First Year of Colleg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7(2), 147-195. 

  23. J. P. Woo. (2015). The Item Placing Bias of Multi-Dimensionality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Korea Management Review, 44(4), 1131-1147. 

  24. C. Fornell & D. F. Larcker. (1981). Structural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82-388. 

  25. H. S. Lee. (2018).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Unlearning.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205-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