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 직무특성 및 개인 학습민첩성과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Learning Ag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6, 2020년, pp.197 - 210  

최순원 (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  전기석 (충남대학교 국가안보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습민첩성은 새로운 환경과 경험 속에서 빨리 학습하여 생각과 행동을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의지와 능력이고, 위기를 극복하고 조직의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역량이며, 언제든지 개발 가능하기 때문에, 군(軍)과 같은 조직 집단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육군 간부의 직무특성과 개인학습민첩성이 학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원사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받아 SPSS 24.0을 이용하여 측정변인에 대한 신뢰도과 타당도를 검증하고, 가설에 대해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직무특성 하위항목 일부(업무과부하)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 학습민첩성 하위항목 일부(자기인식, 적극적 변화추구)는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군 사이버교육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야전에서 업무가 과부하되지 않도록 조치하고, 군 조직에서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인식 및 피드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개인 학습민첩성을 개발해야 함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rning agility is the will and ability to flexibly change thoughts and behaviors by quickly learning in new environments and experiences, and is a core competency to overcome crisis and solve organizational problems. It is a concept that can be used in the same organization group. Based on the pre...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51)

  1.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용어사전, 교육과학사, 2005. 

  2. 김세용, 위진우, 김익현, "과정이수형 원격교육 효과 및 시행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군사학논집, 제75권, 제1호, pp.181-209, 2019. 

  3.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Easy of Use, and the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4. Hassan M. Selim,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learning acceptance: Confirmatory factor models," Computers & Education, Vol.49, pp.396-413, 2007 

  5. M. M. Lombardo and R. W. Eichinger, "High potentials as high learners,"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9, No.4, pp.321-329, 2000. 

  6. 황규대, 인적자원관리, 박영사, 2004. 

  7. 이찬, 리상섭, 신제구, 이성엽, 전기석, 인적자원개발론, 양서원, 2017. 

  8. 김도헌, 임상훈, "디지털 미디어 기반 통일교육 활성화 전략 탐색 : 통일교육원 컨설팅 사례," 교육문화연구, 제25권, 제6호, pp.713-734, 2019. 

  9. 이성춘, 김석주, "군조직의 이러닝 (e-Learning) 영향 요인과 학습성과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제10권, 제3호, pp.119-143, 2013. 

  10. 문병무, 신용태, 천양하, "군 이러닝 학습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조직학회지, 제13집, 10호, pp.109-117, 2015. 

  11. J. R. Hackman and G. R. Oldham, Work redesign, Reading, MA: Addison-Wesley, 1980. 

  12. 정봉영,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분석-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0권, 제3호, pp.127-150, 2004. 

  13. 김보나, 우종정,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213-219, 2011. 

  14. 박미숙, 교육행정직의 직무특성, 목표지향성, 학습조직준비도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5. 정두진, 중소기업 근로자의 개인학습과 학습동기, 직무특성 및 조직문화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6. 윤세훈, 나승일,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메타인지, 학습동기, 직무특성 및 조직의사소통개방성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7권, 제3호, pp.203-230, 2015. 

  17. 이승재, 박운서, "호텔 종사원의 직무특성이 무형식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제16권, 제4호, pp.23-38, 2017. 

  18. 전정호, "직무특성이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경력성장기회와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 HRD 연구, 제22권, 제1호, pp.29-53, 2020. 

  19. 윤경신, 중소기업 근로자의 직무몰입과 업무부하, 무형식학습 및 직무효능감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0. M. W. McCall, M. M. Lombardo, and A. Morrison, Lessons of experience: How successful executives develop on the job, New York: The Free Press.1988. 

  21. Kenneth P. De Meuse, Guangrong Dai, Robert W. Echinger, Ronald C. Page, Lawrence P. Clark, and Selamawit Zewdi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 assessment of learning agility,"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onference, Chicago, Illinois. 2011. 

  22. C. L. Bedford, "The role of learning agility in workplace performance and career advance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Educational Psychology, 2011. 

  23. DeRue, D. Scott, Susan J. Ashford, and Christopher G. Myers, "Learning agility: In search of conceptual clarity and theoretical grounding,"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5, No.3, pp.258-279, 2012. 

  24. De Meuse, Kenneth P. "Learning agility: Its evolution as a psychological construct and its empirical relationship to leader success," Consulting Psychology Journal: Practice and Research, Vol.69, No.4, pp.267-295, 2017. 

  25. 임창현, 위영은, 이효선, "학습민첩성 (Learning Agility) 측정도구 개발 연구," HRD 연구, 제9권, 제2호, pp.81-108, 2017. 

  26. 김미애, 제조업 근로자의 개인 및 직무 변인과 학습 민첩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실책관리 문화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27. 박정열, 김진모, "지식근로자의 일터학습민첩성 진단 도구 개발," HRD 연구, 제21권, 제4호, pp.115-152, 2019. 

  28. 김남희, 조직 구성원의 성장잠재력으로서 학습민첩성 영향요인 및 성과요인 규명,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19. 

  29. 김영일, 중등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민첩성,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0. 김정민, 송영선, "비수도권 대학생의 스트로크와 학습 민첩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pp.465-483, 2019. 

  31. J. R. Hackman and G. R. Oldham,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 Test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Performance, p.256, 1976. 

  32. 이승연, 박수경,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검증: 정부출연연구소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22권, 제1호, pp.85-118, 2019. 

  33. 이정수, 군조직 구성원의 욕구속성과 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직무몰입, 조직전념도, 직무성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4. 주현식, 윤승현, 김화경, "컨벤션센터 종사원의 직무 특성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1권, 제4호, pp.43-60, 2007. 

  35. Mark C. Bolino and William H. Turnley, "The personal costs of citizenship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initiative and role overload, job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 No.4, pp.740-748, 2005. 

  36. R. Cousins, C. J. Mackay, S. D. Clarke, C. Kelly, P. J. Kelly, and R. H. McCaig. "'Management Standards' and work-related stress in the UK: Policy background and science," Work & Stress, Vol.18, No.2, pp.91-112, 2004 

  37. T. A. Beehr, J. T. Walsh, and T. D. Taber, "Relationship of stress to individually and organizationally valued states: Higher order needs as a moderat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1, No.7, pp.41-47, 1976. 

  38. 최병권, "업무과부하,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권, pp.145-170, 2013. 

  39. Anja J. Doornbos, Robert-Jan Simons, and Eddie Denessen, "Rel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practices and types of informal work­related learning: A survey study among Dutch Poli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9, No.2, pp.129-151, 2008. 

  40. 문세연,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학습전략, 대인관계 및 직무특성의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1. Gretchen M. Spreitzer, Morgan W. McCall, and Joan D. Mahoney, "Early identification of international executive potentia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2. No.1, pp.6-29, 1997. 

  42. Wolman, Benjamin B.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Academic Press, 1989. 

  43. 이성춘, 김석주, "우리나라 군조직의 e-Learning 활성화 방안," 한국균형발전연구, 제2권, 제1호, pp.1-24, 2011. 

  44. 강현철,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43권, 제5호, pp.587-594, 2013. 

  45. 이학식, 임지훈, (사회과학 논문작성을 위한)연구방법론 : SPSS 활용방법, 학연사, 2017. 

  46. 민진,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제8권, 제3호, pp.91-121, 2009. 

  47. 대한민국 육군, 육군비전 2050, 2020. 

  48. 김보나, 우종정,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213-219, 2011. 

  49. 김종숙, 윤지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성과 및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dragogy Today, 제17권, pp.179-204, 2014. 

  50. 소유섭, 박종우, 서용선, "일-학습상호작용이 학습만족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제16권, pp.99-116, 2019. 

  51. 김윤정, 함아진, "노인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연령, 학습동기, 학습만족의 구조적 관계: 성별 및 학력 다중집단 분석 적용," Andragogy Today, 제22권, pp.27-54,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