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남성의 구강건강행위와 삶의 질 및 우울증상과의 융합적 관련성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Adult Me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295 - 301  

유지수 (구미대학교 치위생과) ,  황수현 (춘해보건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2016년)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남성의 구강건강행위와 삶의 질 및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만 19세 이상의 남성 2,64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강건강행위는 삶의 질(EQ-5D)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0.142, p<0.01)가 있었으며, 우울증상(PHQ-9)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0.347, p<0.01). 즉, 구강건강행위 실천률이 높은 사람일수록 삶의 질이 높고, 우울증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강건강행위의 실천 수준이 성인 남성의 삶의 질 및 우울증상과의 관련성 있으며, 향후 성인 남성 대상의 구강건강 및 일반적인 건강향상을 위한 보건정책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s,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adult men using data of the first year (2016)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2,647 of above the age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표성이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1차년도(2016)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남성의 구강건강행위와 삶의 질 및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성인 남성의 구강건강 및 일반적인 건강향상을 위한 보건정책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19세 이상의 성인 남성 2,647명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성이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남성의 구강건강행위와 삶의 질 및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성인 남성의 구강건강 및 일반적인 건강향상을 위한 보건정책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따라서 구강건강은 일반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이며, 이는 결국 일반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성의 구강 건강행위와 삶의 질 및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청장년층(만19-44세)이 4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S. Cho, S. R. Lim & H. R. Hwang. (2011).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QoL) and oral health outcome in adults over 50 years old.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1(4), 305-310. 

  2. E. S. Choi, J. Y. Lyu & H. Y. Kim. (2015).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quality of life(EuroQoL-5 Dimensio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5(4), 480-487. DOI : 10.17135/jdhs.2015.15.4.480 

  3. S. R. Baker. (2009). Applying Adersen's behavioural model to oral health : what are the contextual factors shaping perceived oral health outcome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37(6), 485-494. 

  4. S. M. Hunt, S. P. McKenna, J. McEwen, E. M. Backett, J. Williams & E. Papp. (1980). A quantitative approach to perceived health status: a validation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34(4), 281-286. DOI : 10.1136/jech.34.4.281 

  5. D. Locker & F. Allen. (2007). What do measure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35(6), 401-411. DOI : 10.1111/j.1600-0528.2007.00418.x 

  6. P. F. Allen. (2003). Assessment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Quality of Life Outcomes, 1(1), 40. DOI: 10.1186/1477-7525-1-40 

  7. E. S. Park & J. S. Choi. (2012).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general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2(6), 624-633. 

  8. E. S. Ahn & K. E. Kim. (2016).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condition and life quality related to general health using EuroQol-5 Dimensio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6(5), 378-383. DOI : 10.17135/jdhs.2016.15.5.378 

  9. D. Loker. (2007). Disparities i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 population of canadian children.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35(5), 348-356. DOI : 10.1111/j.1600-0528.2006.00323.x 

  10. M. L. McFarland & M. R. Inglehart. (2010). Depression,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An exploration. Oral Health and Dental Management, 9(4), 214-222. 

  11. J. H. Park & K. W. Kim. (2011).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depress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362-369. DOI : 10.5124/jkma.2011.54.4.362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Korea Health Statistic 2013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1). seoul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http://www.cdc.go.kr 

  14. S. J. Shin & S. H. Jung. (2011). A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GOHAI) in elderly populations: validity and reli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5(2), 187-195. 

  15. B. H. Lee. (2019). A convergenc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ntal health determinants on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actice behavi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49-56. DOI : 10.15207/JKCS.2019.10.2.049 

  16. S. H. Yu, Y. I. Kim & H. S. Lee. (2008).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removable dentur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2(4), 575-586. 

  17. H. J. Kwon & M. S. Yoon. (2015). Relationship of Depression, Stress, and self-esteem with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5(6), 825-835. DOI : 10.17135/jdhs.2015.15.6.825 

  18. H. J. Youn & S. S. Kim. (2015). Factor associated with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6), 1117-1123. DOI : 10.13085/jksdh.2015.15.06.1117 

  19. H. N. Kim, I. Y. Ku & S. J. Moon. (2012). Correlation analysis of factors and the geriatic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Gumi.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5), 1039-1048. DOI : 10.13065/jksdh.2012.12.5.1039 

  20. J. T. Bromberger, S. Harlow, N. Avis, H. M. Kravitz & A. Cordal. (2004). Racial/ethnic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middle-aged women: the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SWAN). America Journal of Public Health, 94(8), 1378-1385. DOI : 10.2105/ajph.94.8.1378 

  21. S. S. Ingram et al. (2005).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gene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older male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9), 1504-1509. DOI : 10.1111/j.1532-5415.2005.53452.x 

  22. H. S. Lee & C. M. Kim. (2012). Effect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pers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3(3), 338-346. DOI : 10.12799/JKACHN.2012.23.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