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운동능력믿음, 학업열의 및 자기핸디캡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xercise Ability Beliefs, Academic engagement and Self-Handicap in Physical Education Clas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4, 2020년, pp.303 - 310  

김승용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  송기현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운동능력믿음과 학습열의 및 자기핸디캡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4곳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37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전체연구 단위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운동능력믿음의 증가된 믿음은 학습열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고정된 믿음은 학습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가된 믿음은 자기핸디캡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고정된 믿음은 자기핸디캡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열의는 자기핸디캡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xercise ability beliefs, academic engagement and self-handicap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437 copies of questionnaires as final valid sample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운동능력믿음이 학업성취에 관여되는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능력믿음과 자기핸디캡의 사이에서 학습열의의 역할을 분석하여 학습행동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운동능력믿음과 학습열의 및 자기 핸디캡의 관계를 분석하여 체육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 행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관계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 체육수업 상황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운동능력믿음과 학습열의 및 자기핸디캡의 관계 분석을 위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정된 믿음과 증가된 믿음은 성취 과정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목표성향의 채택은 실패확률이 적은 과제를 통해 성공확신이 과제를 선택하 여 타인으로부터의 능력 인정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행목표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학습기회 및 성장 가능성을 추구하는 숙달목표의 선택을 지향한다[6]. 고정된 믿음과 증가된 믿음은 각각 수행목표와 학습목표 설정의 경향성을 나타냄으로서 성취행동에 관여하게 되는데[2] 개인의 운동능력에 대한 타인의 평가가 불안을 가중시키게 되면 사회적 걱정이 증가됨으로서 체육수업의 소외를 높이게 된다[7]. 특히 유능성의 정보와 관련된 위협지각은 불안을 가중시켜 방어기제를 사용하도록 이끈다[8].
개인의 능력믿음이 무조건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없는 경우는 무엇이 있는가? 개인의 능력믿음이 높을수록 성공-기쁨 경험이 증가될 수 있지만 능력믿음이 낮을수록 실패-좌절 경험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과제 수준이 도전의식을 자극하지 못하는 경우 능력과 무관하게 관여되어 학습열의를 저해할 수 있다.
능력믿음은 어떤 관점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가? 개인의 능력과 관련하여 Dweck[2]은 학업성취의 목표행동을 설명하는 암묵적 이론에 기초하여 학습능력을 증가된 믿음과 고정된 믿음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능력믿음은 고정된 믿음과 증가된 믿음의 두가지 관점에 따라서 귀인양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고정된 믿음은 개인의 능력은 변화될 수 없는 특성으로 내적, 안정적, 통제 불가능으로 귀인 하지만 증가된 믿음은 부단한 노력을 통해 능력이 증진되는 계속적이고, 확장되는 관점으로 내적, 불안정적, 통제가능에 귀인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O. J. Kim, H. S. Min & J. Y. Shim. (2010).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human motivation. Seoul: Shinjeong. 

  2. C. S. Dweck. (1986).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 learning. American Psychologist, 41, 1040-1048. DOI : 10.1037/2F0003-066X.41.10.1040 

  3. C. S. Dweck & E. L. Leggett. (1988).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95, 256-273. DOI : 10.1037/2F0033-295X.95.2.256 

  4. A. J. Elliot & M. Church. (1997).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 218-232. 

  5. J. M. Harackiewicz, K. E. Barron, S. M. Carter, A. T. Lehto & A. J. Elliot. (1997).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achievement goals in the college classroom: Maintaining interest and making the grad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1284-1295. DOI : 10.1037/2F0022-3514.73.6.1284 

  6. B. K. Chung, S. Y. Hyun & B. S. Yoon. (2003).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Seoul: Pakhaksa. 

  7. C. S. Lee, S. W. Nam & J. K. Yeo. (2011). The relationships of subjective recognition of athletic ability on social concerns and alien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6(2), 91-104. 

  8. A. Freud. (1946). The ego and mechanisms of defense.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DOI : 10.4324/9780429481550 

  9. J. Hwang. (2011). Self-handicapping in Physical Education: Implicit Theory of Ability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0(1), 57-69. 

  10. E. E. Jones & S. Berglas. (1978). Control of attributions about the self through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he appeal of alcohol and the role of under achievemen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4, 200-206. DOI : 10.1177/014616727800400205 

  11. D. W. Han & J. Hwang. (2011). Implicit Theory of Ability, Self-Handicapping and Counterfactual Thinking on Athletes in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2(3), 99-112. 

  12. K. H. Song & J. Y. Huh. (2012). Construct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feedback, ability belief, and self-handicapping of students in P.E clas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1(4), 369-379. 

  13. J. H. Choi. (2016).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management, engagement, and happiness.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9(1), 1-19. 

  14. J. Y. Cho & M. S. Kim. (2013). Gender differences of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8(4), 477-497. 

  15. K. G. Lee, S. K. Lee & I. S. Nam. (2017). The Effect of Perceived Learning Environment on Self-regulation Strategies and Academic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2), 709-728. 

  16. W. B. Schaufeli, I. M.. Martez, A. Marques Pinto, M. Salanova & A. B. Bakker.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DOI : 10.1177/0022022102033005003 

  17. J. Y. Lee & S. M. Lee. (201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Academic Engagement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1), 131-147. 

  18. S. Y. Kim, H. M. Lim & K. H. Song. (2019).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and Task-Solving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3), 249-256, DOI : 10.15207/JKCS.2019.10.3.249 

  19. E. A. Skinner, M. J. Zimmer-Gembeck & J. P. Connell. (1998).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development of perceived control.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3, Serial number 254. DOI : 10.2307/1166220 

  20. J. G. Park. (2010). Relationships between sport ability beliefs, 2 $\times$ 2 achievement goals, and motivational regulations: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and grad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1), 113-126. 

  21. S. J. H. Biddle, C. K. J. Wang, N. L. D. Chatzisarantis & C. M. Spray. (2003).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in young people: Entity and incremental beliefs about athletic ability. Journal of Sports Sciences, 21, 973-989. DOI : 10.1080/02640410310001641377 

  22. J. G. Park & K. H. Kim. (2010).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port Ability Belief, Achievement Go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among Student-Athletes: Perspective of Three Different Theories of Motivation.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1(2), 101-129. 

  23. J. Y. Lee & S. M. Lee. (2012).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Academic Engagement Inventory(KAEI).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1), 131-147. 

  24. S. S. Lee & H. S. Cho. (2015). The effect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on the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4(5), 1079-1090. 

  25. O. C. Hwang & J. G. Park. (2010). Relations of perceived competence and fear of failure with approach-avoidance goals and self-handicapping during task-bas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5), 93-108. 

  26. S. Y. Kim & K. H. Song. (2017).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self-monitoring, asking help and self-handicapp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6), 213-225. DOI : 10.23949/kjpe.2017.11.56.6.15 

  27. S. G. West, J. F. Finch & P. J. Curran.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8. J. F. Hair, B. Black, B. Babin, R. E. Anderson & R. L. Tatham.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London: Prentice-Hall. 

  29. S. H. Hong.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30. K. H. Song & S. Y. Kim. (2018). The Mediating Effects of Passion on Relations between Adolescent Athletes Sport Ability Beliefs and Athletic Burnout.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7(6), 315-327 

  31. R. W. Lent & F. G. Lopez. (2002). Cognitive ties that bind: A tripartite view of efficacy beliefs in growth-promo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 256-286. DOI : 10.1521/jscp.21.3.256.22535 

  32. B. C. Patrick, E. A. Skinner & J. P. Connell. (1993). What motivates children's behavior and emotion? Joint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and autonomy in the academic domai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781-791. DOI : 10.1037/0022-3514.65.4.781 

  33. S. Larose, D. U. Robertson, R. Roy & F. Legault. (1998). Nonintellectual learning factors as determinants for success in college.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39, 275-297. DOI : 10.1023/A:1018776917403 

  34. Y. Ommundsen. (2001). Self-handicapping strategi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influence of implicit theories of the nature of ability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2(3), 139-156. DOI : 10.1016/S1469-0292(00)00019-4 

  35. J. S. Kim & S. Y. Im. (2019). Exploring triggers of self-handicapping in youth Football player. Sport Science, 37(1), 25-37. 

  36. I. S. Nam. (2018). The Effect of Perceived Teacher-Trust on Subject Interest and Self-handicapp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4), 817-834. DOI : 10.22251/jlcci.2018.18.4.817 

  37. B. Evans. (2006). I'd feel ashamed': Girls' bodies and sports participation. Gender, Place and Culture, 13(5), 547-561. DOI : 10.1080/096636906008589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