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연구: 학년별 비교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Burnout, Stress, and Social Support by Grad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0 no.2, 2017년, pp.113 - 123  

안민정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강아연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율아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민지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예림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혜원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나예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황윤영 (서울여자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academic engagement, academic burnout, stress, and social support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by grade. Methods: The study is a descriptive comparative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247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nroll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야 하는 간호학의 특성 상 간호대학생은 재학 중 1,000시간 이상의 임상실습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므로, 학업 성취에는 특히 학습자 변인이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9].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으로서 학업열의와 학업소진 및 스트레스를 파악함과 아울러 사회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 정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대학생은 학년별로 대학생활 적응, 전공 입문, 임상실습, 취업 및 졸업 등의 다양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므로, 간호대학생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들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년별로 학습자 변인과 사회적 변인을 파악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간호대학생은 전반적으로 자신의 학업열의 정도는 낮고 학업소진 정도는 높게 인식하였으므로, 학업열의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을 개선하고 소진 정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학업열의,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학년별로 효율적인 중재의 시행 및 상담 프로그램의 적용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는 간호대학생을 교육하고 지도하는 간호학 교수자들에게 효율적인 학생지도 및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학업열의,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학업열의,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를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학업 증진 및 대학생활 적응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또한 이 시기는 전공학습과 임상실습이 시작되며 간호에 대한 실제적인 인식과 예비 간호사로서의 자아가 구체화되는 시기이므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재학생 선배나 졸업 간호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간호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시키며, 간호인으로서의 비전을 수립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년별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열의,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정도 등을 확인함으로써 학년별 학업 관련 특성을 이해하고, 학업증진 및 스트레스 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원과 관심이 요구되는 주 대상 학년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효율적인 학업성취 및 스트레스 관리, 전공 적응 등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자극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간호대학생의 학습성과 달성 및 대학생활 적응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학업열의,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를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학업 증진 및 대학생활 적응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년별 학업열의, 학업소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를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학업 증진 및 대학생활 적응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이 겪는 스트레스 상황에 잘 대처하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간호대학생은 전공과목을 학습하며 만족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과중한 학습량으로 신체적 ․ 정신적인 문제를 호소하며, 때로 학업성적으로 인한 상대적인 열등감과 간호학에 대한 회의를 경험한다[4]. 그리고 이러한 스트레스 상황에 잘 대처할 수 없거나 대응능력이 부족한 경우 불안을 경험하고 우울증에 빠지며, 심한 경우 정신신체 장애를 유발하는 부적응 증상이나 불건강을 초래하게 된다[4]. 스트레스는 생활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이며 삶의 만족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건전한 대학생활의 영위를 위해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가 선결될 필요가 있다[1].
대학생 시기가 갖는 특징은? 청소년 후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은 현재 자신이 누구이며 장래에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동시에 대학생은 학업 및 자신의 선택에 대한 책임과 다양한 생활경험이나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고민하며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시기이기도 하다[1].
간호대학생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은 타 전공 학생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취업률로 안정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하는 반면, 과중한 학업과 임상실습 및 환자 간호에 대한 책임감 등으로 많은 어려움과 스트레스를 경험한다[2]. 실제로 간호대학생은 많은 양의 보고서 작성과 학업에 대한 부담, 지식 및 임상실무 경험의 부족 및 교수와의 관계형성 등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3]. 또한 학우 간의 배타적이고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인간관계의 범위가 축소되며, 소외감과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간호대학생은 전공과목을 학습하며 만족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과중한 학습량으로 신체적 ․ 정신적인 문제를 호소하며, 때로 학업성적으로 인한 상대적인 열등감과 간호학에 대한 회의를 경험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SJ, Yu JH. The meditation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and career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8;22(3):589-607. 

  2. Cho H, Lee KY. Self esteem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006;28(2):136-173. 

  3. Beck DL, Srivastava R.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1;30(3):127-133. 

  4. Bae JI. A experience of the nursing student: A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99;8(2):256-267. 

  5. Kim KH, Kwon HJ, Yeoum SG. A study exhaustion experiences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Nursing. 1997;10(2):241-257. 

  6. Ko CM.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burnout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Nursing. 2015;28(3):239-247. https://doi.org/10.15434/kssh.2015.28.3.239 

  7. Yoo JH, Cho HS, Lee SH. Effects of clinical basic nursing practice of the nursing students on clinical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2;8(1):45-53. 

  8. Rudman A, Gustavsson JP. Burnout during nursing education predicts lower occupational preparedness and future clinical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988-1001.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03.010 

  9. Oh WO. Factors influencing self-directedness in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32(5):684-693. 

  1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11. Schaufeli WB, Martinez IM, Pinto AM, Salanova M, Bakker AB.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002; 33(5):464-481. 

  12. Schaufeli WB, Leiter MP, Maslach C, Jackson SE.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6. p. 19-26. 

  13. Lee YB, Lee SM, Lee JY. Development of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009;15(3):59-78. 

  14. Chon KK, Kim KH. Development of th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 control theory approach. Korea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1;10(1):137-158. 

  15. Chon KK, Kim KH, Yi JS.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0;5(2):316-335. 

  16.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17. Shin JS, Lee YB.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1999;37:241-269. 

  18. Park JW, Ha NS. Nursing students' clinical experi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3;12(1):27-35. 

  19. Newton J, Billett S, Jolly B, Ockerby C. Lost in translation: Barriers to learning in health professional clinical education. Learning in Health and Social Care. 2009;8(4):315-327. https://doi.org/10.1111/j.1473-6861.2009.00229.x 

  20. Michalec B, Diefenbeck C, Mahoney M. The calm before the storm?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013;33(4):314-320. https://doi.org/10.1016/j.nedt.2013.01.026 

  21. Lee HS, Kim EJ. The comparison of stress coping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the grade of nursing college student.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8;14(1):5-13. 

  22. Montgomery P, Killam L, Mossey S, Heerschap C. Third year nursing students' viewpoints about circumstances which threaten safety in the clinical setting. Nurse Education Today. 2014;34:271-276. https://doi.org/10.1016/j.nedt.2013.09.019 

  23. Goh JK. The differences of stressors at grade and ways of coping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10;5(2):79-86. 

  24. Park PN.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type and selfesteem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Nursing. 2016;29(1):1-10. https://doi.org/10.15434/kssh.2016.29.1.1 

  25. Kim JH.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sychological Type and Human Development. 2016;17(1):81-100. 

  26. Cha NH.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3;19(2):177-185.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2.177 

  27. Reeve KR, Shumaker CJ, Yearwood EL, Crowell NA, Riley JB.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Nurse Education Today. 2013;33:419-424. https://doi.org/10.1016/j.nedt.2012.11.009 

  28. Karimi Y, Bashirpur M, Khabbaz M, Hedayati AA. Comparison between perfectionism and social support dimensions and academic burnout in student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4;159:57-63. https://doi.org/10.1016/j.sbspro.2014.12.328 

  29. Lee MR, Cho MK, Chung HS. A model for nursing students'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0;11(2):321-331. 

  30. Gahagan J, Hunter MS. The second-year experience: Turning attention to the academy's middle children. About Campus. 2006;11(3):17-22. https://doi.org/10.1002/abc.1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