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5월~10월 까지 대구, 경북 일부 지역의 치과위생사 245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 관련성 결과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내부역량이 높고 근무환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 및 내부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치과병(의)원의 근무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5월~10월 까지 대구, 경북 일부 지역의 치과위생사 245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 관련성 결과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내부역량이 높고 근무환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 및 내부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치과병(의)원의 근무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and working environment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by 245 dental hygienists in Daegu and some areas of Gyeongbuk from May 2019 to October 2019. Technical statistics, ANOVA, and Pearson's corr...
This study aims to measur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and working environment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by 245 dental hygienists in Daegu and some areas of Gyeongbuk from May 2019 to October 2019. Technical statistic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and relevance to the working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dental hygienists, the higher the individual's empowerment and the better the working environment. The medical institution has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s, and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dental clinic.
This study aims to measur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and working environment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by 245 dental hygienists in Daegu and some areas of Gyeongbuk from May 2019 to October 2019. Technical statistic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owerment and relevance to the working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dental hygienists, the higher the individual's empowerment and the better the working environment. The medical institution has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s, and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dental clinic.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 내부 역량, 근무환경의 관계를 규명하여 치과위생사의 근무환 경 개선과 내부역량 및 조직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을 모색하고, 의료기관의 제도적인 개선과 인적자원 관리 의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치과위생의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을 연구하여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치과위생사가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인의 내부적인 문제와 능력인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자기개발요구도 등에 대한 선행 연구[14,15]는 많이 이우러져 본 연구에서는 치과병(의)원에 근무 중인 치과 위생사 개인의 환경이 아닌 치과병(의)원의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는 일반적인 특성 3문항, 근무특성 6문항, 조직몰입도 15문항, 내부역량 12문항, 근무환경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직몰입도는 연[11]의 선행논문을 참고하였고, 문항별 측정은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에 대한 애착 및 목표 달성감이 높음을 나타내고, 내부역량은 정 등[12] 선행논문을 참고하였으며, 의미성(meaning, 3문항), 역량(competence, 3문항), 영향력(impact, 3문항), 자기 결정력(self-determination, 3문항)을 포함하는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내부역량이 높음을 나타낸다.
조직몰입도는 연[11]의 선행논문을 참고하였고, 문항별 측정은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에 대한 애착 및 목표 달성감이 높음을 나타내고, 내부역량은 정 등[12] 선행논문을 참고하였으며, 의미성(meaning, 3문항), 역량(competence, 3문항), 영향력(impact, 3문항), 자기 결정력(self-determination, 3문항)을 포함하는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내부역량이 높음을 나타낸다. 업무환경은 김 등[13] 의 선행논문을 참고하여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5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총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자는 설문조사 경력이 있는 치위생학과 교수 1인, 치과위생사 1인, 치위생학과 3학년 학생 2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치위생학과 교수 1인이 사전 교육훈련 하였다.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조사자 4인은 1:1에서 1:5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하도록 한 뒤 즉시 회수하였다.
설문조사자는 설문조사 경력이 있는 치위생학과 교수 1인, 치과위생사 1인, 치위생학과 3학년 학생 2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치위생학과 교수 1인이 사전 교육훈련 하였다.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조사자 4인은 1:1에서 1:5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하도록 한 뒤 즉시 회수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대구‧경북 위치한 치과병(의)원에 전화하여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였고 필요시 공문을 발송하였으며 치과위생사의 자발적인 참여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조사자 4인은 1:1에서 1:5까지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하도록 한 뒤 즉시 회수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대구‧경북 위치한 치과병(의)원에 전화하여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였고 필요시 공문을 발송하였으며 치과위생사의 자발적인 참여로 진행되었다.
대상 데이터
대상자의 표본 수는 G*power 3.1.9.2를 이용하여 효과크기=0.5, 유의수준 α=0.05, power=0.95로 정하여 산출한 결과, 필요한 표본 수는 200장 이상이 요구되었으며 설문지 회수를 고려하여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5월 ~ 10월까지 대구, 경북 일부 지역의 치과 병(의)원을 방문하거나, 2019년 5월과 6월 에 대구, 경주에서 실시된 치과위생사 보수교육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를 허락한 치과위생사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즉시 회수하였으며, 연구 참여를 거부하는 대상자는 제외하였다.
95로 정하여 산출한 결과, 필요한 표본 수는 200장 이상이 요구되었으며 설문지 회수를 고려하여 2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서 미응답 문항이 많은 13장을 제외한 232장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데이터처리
일반적인 특성 및 근무환경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근무환경과 조직몰입도의 관계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근무환경과 조직몰입도의 항목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One-way ANOVA에서 통게적 유의성을 보인 집단은 사후 검증은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인 특성 및 근무환경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근무환경과 조직몰입도의 관계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근무환경과 조직몰입도의 항목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One-way ANOVA에서 통게적 유의성을 보인 집단은 사후 검증은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근무환경과 조직몰입도의 항목별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One-way ANOVA에서 통게적 유의성을 보인 집단은 사후 검증은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본 연구는 일반적인 특성 3문항, 근무특성 6문항, 조직몰입도 15문항, 내부역량 12문항, 근무환경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직몰입도는 연[11]의 선행논문을 참고하였고, 문항별 측정은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조직에 대한 애착 및 목표 달성감이 높음을 나타내고, 내부역량은 정 등[12] 선행논문을 참고하였으며, 의미성(meaning, 3문항), 역량(competence, 3문항), 영향력(impact, 3문항), 자기 결정력(self-determination, 3문항)을 포함하는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내부역량이 높음을 나타낸다. 업무환경은 김 등[13] 의 선행논문을 참고하여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5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총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성능/효과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 관련성 결과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내부역량이 높고 근무환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와 내부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업무수행에 대한 지지와 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승진제도, 장기근속포상 등의 기회를 마련하고 다양한 교육지원으로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과위생사들의 근무특성과 조직몰입도의 관계를 살 펴보면 의료기관 유형에서 치과의원은 3.37, 치과병원은 3.56으로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 도가 높게 나타났고 (p<0.05), 직위에서는 평직원 3.36, 팀장 이상 3.84로 팀장 이상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p<0.000).
근무특성과 내부역량의 관계에서 의료기관유형은 치과병원에서 4.86, 직위는 팀장에서 5.37로 높게 나타났고, 임상경력에서는 2년 미만이 4.57, 10년 이상이 5.80으로 연차가 높을수록 내부역량도 높게 나타났다.(p<0.
대상자의 근무환경 영역별 점수는 치과위생사의 지지‧ 지원영역 3.20, 의료기관의 제도적인 영역 3.43, 업무수 행 영역 3.53, 관리자의 능력 및 리더쉽 영역 3.62, 팀워크 영역 3.82로 나타났다. Table 3
대상자의 근무환경 문항별 점수는 ‘의료진과 치과위생사의 팀워크가 잘 이루어진다’가 3.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관리자는 업무능력과 지도력을 잘 갖추었다’가 3.81로 나타났으며, 하위 문항은 ‘치과위생사를 위한 전 문성 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가 3.1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업무수행에 필요한 치과위생사의 수가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의 융합적 관련성 27 충분하다’가 3.23, ‘신입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있다’가 3.2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을 만족시키는 요인은 관리자의 업무능력과 팀워크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치과위생사의 지지‧지원영역이 3.2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개별 문항에서도 ‘치과위생사를 위한 전문성 개 발 및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 ‘업무수행에 필요한 치과위 생사의 수가 충분하다’, ‘신입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있다’ 순으로 낮게 나타나 선행논문[13]과도 일치하였다.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의 결과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내부역량이 높고 근무환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도를 살펴보면 치과병원에서 근무할 경우 3.56으로 치과의원보다 높게 나타났고, 직위에서는 평직원보다 팀장급 이상이 3.84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임상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나 경력이 높을수록 조직몰입도가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이 등 [16]과 김 등[17] 연구와도 같은 결과임을 확인하였고, 김[13] 등의 연구에서는 근무시간이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주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내부역량은 직위, 임상경력, 진료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18,19]와 비교해보면 직위와 임상경력은 일치하였으나 연봉, 학력 등은 일치하지 않았다.
후속연구
선행연구[18,19]와 비교해보면 직위와 임상경력은 일치하였으나 연봉, 학력 등은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직몰입도와 내부역량을 높이기 위한 고려사항으로 직위, 임상경력, 진료영역으로 나타나 치과위생사들의 사직과 이직을 줄이고 좋은 직장이 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업무 수행에 대하여 중요한 의미를 부여해 주고 소속감을 줄 수 있어야 하며 장기근속 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직위에 맞는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하며 임상경력 낮고 진료실에서 근무 중인 치과위생사가 조직의 목표나 목적을 수행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업무에 관련된 의사결정권에 대하여 자율성을 주어야 한다.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근무환경 관련성 결과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가 높을수록 개인의 내부역량이 높고 근무환경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와 내부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업무수행에 대한 지지와 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승진제도, 장기근속포상 등의 기회를 마련하고 다양한 교육지원으로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표본이 일부지역에 국한되어 있고 표본수가 작아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설문문항이 많아 응답편이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조직몰입도, 내부역량 및 근무환경은 서로 상관관계로 나타나 의료기관에서는 조직몰입도와 내부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전문성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몰입도가 높은 구성원의 특징은?
조직몰입도란 개인이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조직이 추구하는 목표와 가치에 대하여 신뢰하고 조직의 구성원으로써 헌신하고자 하는 의지를 의미한다[3]. 조직몰입도가 높은 구성원은 조직에 잔류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조직을 위하여 긍적적인 행동을 하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근이나 이직 등을 자제한다[4]. 또한 조직몰입도는 조직에서 개인의 역할이 모호할 때 오는 갈등과 스트레스를 조절해 줌으로써 개개인의 직무 만족을 향상 시켜 최대의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5].
치과위생사란?
치과위생사란 지역주민과 구강질환을 가진 모든 사람들에게 구강보건교육, 예방치과처치 등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전문인이며, 치과의사와 진료의 협력관계로 구강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1]. 치과위생사는 치과 병(의)원에서 핵심 인적자원으로 최근에는 네트워크 치과병원이 증가함에 따라 병원행정 및 병원 경영에 참여하는 등 업무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치과위생사는 근무환경이 좋아야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자신의 직무에 만족할 수 있다. 권 등[9]의 선행 연구에서 근무환경이 조직몰입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근무환경이 충족되지 못하면 직장이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10].
참고문헌 (24)
M. S. Park et al. (2016). Introduction to Dental Hygiene. Seoul : DH Pub.
H. G. Ryu. (2017).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l . External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5), 735-745. DOI : 10.13065/jksdh.2017.17.05.735
R. T. Mowday, R. M. Steers & L. W. Porter.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2), 224-247.
Y. H. Jeong & Y. S. Sim. (2004). An Empirical study on the difference of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6(2), 95-126.
R. C. King & V. Sethi. (1997). The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Burnout in Information systems professional.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6(2), 86-96.
R. C. Cynthia. A. Christine & C. Sandra. (2003). Staff Empowerment a Prescription for Success. The Permanent Journal, 7(4), 37-41.
H. K. Lee. M. J. Kim &Y. S. Yim. (2010), Dental hygieni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0(4), 645-654.
K. M. Yang. (1999).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the Job-relat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Work performance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5(1), 39-61.
S. J. Kwon & S. K. Bae. (2009). Factors of Affective Commitment in Organization of Dental Hygienist in Busan Area -Focused on Quality of Working Life(QWL).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5), 156-165.
S. S. Hyung & H. I. Lea. (2010).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in part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0(4), 555-565.
M. L. Yon. (2012). The Relationship of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Intention to Change Jobs among Dental Hygienist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Gyeonggi
I. J. Jung et al. (2016). A Comparison of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Registered Nurses of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3), 354-365. DOI : 10.5392/JKCA.2016.16.03.354
N. S. Kim, N. N. Yoon Y. H. Kim, J. H. Park, H. J. Kim & J. H. Lee. (2018). Kim The Effect of Dental hygienist's Wor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Education, 18(2), 153-164. DOI : 10.13065/jksdh.2018.18.02.153
H. R. Jung et al. (2015). Study on self-development needs,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ist. The Korea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231-239. DOI : 10.15207/JKCS.2015.6.6.231
Y. S. Won, S. Y. Park & J. S. Kim.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tress-coping method of dental hygienist. The Korea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5), 909-919.
S. H. Lee et al. (2016). The Convergence Effects of Commitment of Organiz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e on Burnou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335-345. DOI : 10.14400/JDC.2016.14.6.335
I. S. Kim, T. B. Seo, B. N. Kim & A. R. Min, (2015).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11(1), 10-19. DOI : 10.11111/jkana.2015.21.1.10
H. K. Lee, M. J. Kim & Y. S. Yim. (2010). Dental Hygieni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0(4), 645-654.
H. K. Lee. (2010). Impact of the Empowerment of Dental Personn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0(2), 1-17.
Y. J. Doe, M. G. Ji & H. J. Lee. (2019). A Study on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nd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9), 210-218. DOI : 10.22156/CS4SMB.2019.9.9.210
Y. B. Lee & H. K. Lee. (2018). The Convergence Factor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1), 491-500. DOI : 10.15207/JKCS.2018.9.11.491
O. S. Shim & J. S. Kang. (2018). The factors influencing on Compliance with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347-354. DOI : 10.15207/JKCS.2018.9.7.347
Y. S. Kim & H. S. Park. (2012). A study o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2(6), 600-606.
M. Y. Kim. (2018). The Effects of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Reliability with Superiors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457-465. DOI : 10.15207/JKCS.2018.9.10.45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