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식재료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Traditional food Ingredien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309 - 314  

이재혁 (남부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박정숙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 식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10종의 약용식물 및 채소류 추출물과 10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디자인되었다. 세포 생존률은 MTS assay로, 항산화효과는 DPPH free radical 소거능, Riboflavin 유래 Superoxide 억제활성(SQA)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포생존률은 10종 약용식물 및 채소류 추출물과 10종 혼합추출물 모두 0.5mg/mL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생존율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Cinnamomum cassia Blume, Eugenia caryophyllata Thunb. Arctium lappa, Total extract가 우수하였고, Riboflavin 유래 Superoxide 억제활성(SQA)은 Cinnamomum cassia Blume, Arctium lappa, Prunus mume Sieb. et Zucc., 우수하였으나, Total extract가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전통식재료로 사용되는 약용식물 및 채소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결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물로 사용시 항산화능이 증가되었다. 이는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항산화 소재 개발 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10 kinds of medicinal plants and vegetable extracts and total extracts. The cytotoxicity was measured by MTS assay,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iboflavin-derived superoxide 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통식재료로 많이 사용하는 10종의 약용 식물 및 채소류 추출물과 10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디자인되었다. 세포생존률은 MTS assay로, 항산화효과는 DPPH free radical 소거능, Riboflavin 유래 Superoxide 억제활성(SQA)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 선별된 전통 식재료 10종의 약용식물 밒 채소류 추출 물과 10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살펴보고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산화방어기전의 균형에 문제가 생긴 상태가 지속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에너지를 생산하는 산화 과정 중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물질인 활성산소는 생체 내 존재하는 항산화방어기전에 의해 대부분 소멸하게 된다. 하지만, 항산화방어기전의 균형에 문제가 발생하면 활성산소가 증가하여 체내 여러 정상세포와 쉽게 반응하여 조직과 기관을 공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체내의 세포와 조직에 손상과 돌연변이, 발암과 다양한 염증 등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피부노화를 비롯한 다양한 성인병과 같은 각종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1,2]
항산화제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어 있는가? 이러한 활성산소를 조절하는 항산화제는 천연항산화제와 합성항산화제로 구분되며 천연항산화제 ascorbic acid, tocopherol, flavonoid, carotenoid 등이 있고, 많이 쓰이는 합성 항산화제로는 butylatedhydroxyanisole (BHA), buthylated hydroxytoluene (BHT) 등이 있다. 그러나 합성 항산화제를 섭취 시 다양한 독성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은 안전한 천연 유래 항산화제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3,4].
천연물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phenolic 화합물은 어떤 생리활성을 지녔다고 보고되었는가?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인 phenolic 화합물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과일, 채소, 약초 등 천연물에 다량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항 산화, 항염, 항종양, 항균활성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건강에 다양한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7-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J. Cho, I. S. Ju, O. J. Kwon, S. S. Chun, B. J. An & J. H. Kim. (2008).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49-54. 

  2. P. Albertazzi, S. A. Steel, E. Clifford & M.Bottazzi. (2002). Attitudes towards and use of dietary supplementation in a sample of postmenopausal women. Climacteric, 5(4), 374. 

  3. A. L. Branen.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4. S. Y. Choe & K. H. Yang.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83-288. 

  5. J. S. Shim, S. D. Kim, T. S. Kim & K. Kim.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Korean J Food Sci Techol, 37, 78-83. 

  6. Y. J. Cho, I. S. Ju, S. S. Chun, B. J. An, J. H. Kim, M. W. Kim & O. J. Kwon. (2008).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76-281. 

  7. J. Kedziora & G. Bartosz. (1988). Down's syndrome: a pathway involving the lack of blance of reactiveoxygen species. Free Radic. Biol. Med., 4(5), 317-319. 

  8. M. T. Huang, C. T. Ho & C. Lee.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CS symp series, 507, 54-71. 

  9. M. A. Kang, M. B. Kim, J. H. Kim, Y. H. Ko & S. B. Lim. (2010).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surized liquid extracts from 40 selected plant spec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249-1256. 

  10. J. H. Lee & J. S. Park. (2019). Antibacterial effect of traditional food ingredients for healthcare on Helicobacter pylori. Technology and Health Care, 27, 509-518. 

  11. A. Desai, T. Vyas & M. Amiji. (2008). Cyroroxicity and apoptosis enhancement in brain tumor cells upon coadministration of paclitaxel and ceramide in nanoemulsion formulations. J. Pharm Sci., 97, 2745-2751. 

  12. D. G. Kim & D. Y. Yoo. (2012). The Effects of Cinnamom umloureirii on Osteoblast in Murine Rat Calvarial Cells. J.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5(3), 61-70. 

  13. J. Lin, L. Xu & J. Liu. (2006). HPLC fingerprint of Ramulus Cinnamomi. Chinese Traditional Patent Medicine, 28(2), 169-171. 

  14. A. K. Singh, S. S. Dhamanigi & M. A. sad. (2009). Anti-stress activity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Eugenia caryophyllus buds(clove). Indian J. Pharmacol., 41(1), 28-31. 

  15. M. Ito, K. Murakami & M. Yoshino. (2005). Antioxidant action of eugenol compounds: role of metal ion in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Food Chem. Toxicol., 43(3), 461-466. 

  16. G. Kaur, M. Athar & M. Alam. (2010). Eugenol precludes cutaneous chemical carcinogenesis in mouse by preventing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and by inducing apoptosis. Mol. Carcinog. 49(3), 290-301. 

  17. M. S. Lee. (2011).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Arctium lappa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 Nutr. 24, 713-719. 

  18. F. A. Chen, A. B. Wu & C. Y. Chen. (2004). The influence of different treatment 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urdock and variations of its active components. Food. Chem, 86, 479-484. 

  19. R. Ferracane, G. Graziani, M. Gallo, V. Fogliano & A. Ritieni. (2010). Metabolic profile of the bioactive compounds of burdock (Arctium lappa ) seeds, roots and leaves. J. Pharm. Biomed. Ana, 51, 399-404. 

  20. Y. D. Kim & K. S. Seo. (2007). Prunus mume's bioactivity and effect of oriental medicine.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6, 31-38. 

  21. C. E. Park. (2006).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urease activity by mume fructus, Ph.D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