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중재에 대한 효과 연구: 메타분석
The Effectiveness of Stress Intervention Program for Hemodialysis Patients in Korea: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361 - 373  

배연희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이고운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염혜아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적용된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을 메타분석하여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스트레스 중재 방법의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분석대상연구는 총 10편으로 MINORS를 사용하여 문헌의 질평가를 실시하였으며, Comprehen sive Meta Analysis Version 3.0 및 Review manager version 5.3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질 평가 점수는 21.2점이었으며, 중재프로그램의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크기는 -.72, 생리적 스트레스 중 코티졸의 효과크기는 -.52로 보통의 효과를 보였다. 하위그룹 분석에서 음악요법, 아로마요법, 투석 중 중재, 개인중재, 1회당 60분 이상의 중재, 총 10~20회기 중재의 효과가 더 컸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추후 효과적인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ze the stress intervention program applied to patients with hemodialysis in Korea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ss intervention program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stress intervention method. A total of 10 studies were s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국내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한다.
  • 이에 스트레스 간호중재에 대해 다양한 개별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일반화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메타분석[21]을 통해 스트레스 중재효과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년 8월까지 검색된 국내 혈액투석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스트레스 중재 연구들을 메타분석 방법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중재효과를 검증하ㄹ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의 특성과 동향을 파악하고 효과크기를 검증하여, 효과적인 스트레스 중재 방안을 살펴보고, 앞으로 개발될 간호중재에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분석 대상 논문은 2000년 이전 시행된 연구는 2편, 2000년 이후 시행한 연구가 8편으로 2000년 이후 증가추세를 보인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시행된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중재를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스트레스중재에 대한 연구의 효과크기와 유의성을 검증하고,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근거기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액투석 환자가 받는 심리적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심리적 스트레스는 치료를 중단하면 사망할 수 있다는 불안감과 합병증 발생에 대한 두려움, 장애로 지각하는 낙인, 죽음이 임박했다고 느끼는 심리적 긴장감, 동정맥루로 인한 자아상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7,8]. 또한, 생존을 위해 혈액투석기계에 의존하게 되면서 환자들은 자아존중감이 손상 받게 되고 이는 심리적 스트레스를 높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9].
혈액투석이란 무엇인가? 혈액투석은 신장대체요법 중의 하나로 말기 신부전환자의 생명연장에 필수적인 장기 치료 방법이다[1]. 우리나라 말기 신부전환자는 2017년 기준 총 98,764명으로 혈액투석환자 73,059 (74%)명, 복막 투석 환자 6,475(6.
혈액투석 환자가 겪는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스트레스란 인간이 심리적, 신체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느끼는 불안과 위협의 감정을 의미하며[3]. 혈액투석 환자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스트레스 등을 경험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 S. Lee, H. Y. Kim & M. H. Lee. (2019). Factors Influencing Psychosocial Adjustment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1), 38-49. DOI : 10.7475/kjan.2019.31.1.38 

  2.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9). A report on the current state of the kidney alternative medicine in Korea in 2019. [Online]. http://www.ksn.or.kr /rang_board/list.html?codesinchart. 

  3. R. S. Lazarus. (1993).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4(1), 1-22. DOI : 10.1146/annurev.psych.44.1.1 

  4. S. J. Yun, C. K. Yang & H. M. Hahn. (1999). Depression, anxiety, and sleep disturbances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5), 997-1005. 

  5. J. H. Kim. (1995). Effect of guided imagery applied to hemodialysis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J. R. Lugon. (2005). Uremic pruritus: a review. Hemodialysis international, 9(2), 180-188. DOI : 10.1111/j.1492-7535.2005.01130.x 

  7. D. G. Oyekcin, D. Gulpek, E. M. Sahin & L. Mete. (2012). Depression, anxiety, body image, sexual functioning, and dyadic adjustment associated with dialysis type in chronic renal failur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43(3), 227-241. DOI : 10.2190/pm.43.3.c 

  8. A. Untas et al. (2011). The associations of social support and other psychosocial factors with mortality and quality of life in the dialysis outcomes and practice patterns study. 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6(1), 142-152 DOI : 10.2215/cjn.02340310 

  9. P. Theofilou. (2012). Self-esteem in Greek dialysis patients the contribution of health locus of control. Irani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6(2), 136-140. 

  10. O. J. Kim, K. H. Kim & K. S. Park. (2007).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on stress, anxiety and sleep patter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99-111. 

  11. S. R. Suh & I. H. Cho. (2014). Influence of hemodialysis patient's stress and acceptance on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1), 829-837. DOI : 10.5392/jkca.2014.14.11.829 

  12. M. S. Kim, G. O. Noh, S. H. Kim. (2017).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Q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4), 2233-2245. 

  13. C. M. Perales Montilla, S. Duschek, & G. A. Reyes Del Paso. (2013). The influence of emotional factors on the report of somatic symptoms in patients on chronic haemodialysis: the importance of anxiety. Nefrologia (English Edition), 33(6), 816-825. 

  14. B. J. Shin, H. S. Kim & M. H. Lee. (2010). Effect of humorous video tape on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1), 35-43. 

  15. S. Y. Lee. (2016). Effects of hand massage on fatigue, stress and depression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9), 547-557. DOI : 10.14257/ajmahs.2016.09.24 

  16. Y. O. Kim. (1993). Effect of Therapy 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3(3), 431-452. DOI : 10.4040/jnas.1993.23.3.431 

  17. J. S. Park. (1989). The effect of relaxation technique 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 38-56. 

  18. C. G. Kim & Cho. M. K. (2012). Effects on depression intervention programs of hemodialysis patients in Kore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5), 2513-2528. 

  19. H. S. You & S. W. Choi. (2018).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hemodialysis patients in Korea :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7(5), 1297-1310. 

  20. D. C. Jin. (2013) Current status of dialysis therapy for ESRD pati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m Medical Association, 56(7), 562-568. DOI : 10.5124/jkma.2013.56.7.562 

  21. S. D. Hwang. (2016). Publication baias in meta-a nalysis: its meaning and analysis.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23(1), 1-19. DOI : 10.15284/kjhd.2016.23.1.1 

  22. M. Y. Jang. (2008). The Effect of Kangaroo Care on Weight and Stress Hormone (Cortisol) in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2), 138-145. 

  23. K. Slim, E. Nini, D. Forestier, F. Kwiatkowski, Y. Panis & J. Chipponi. (2003). Methodological index for nonrandomized studies (MINO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instrument. ANZ journal of surgery, 73(9), 712-716. DOI : 10.1046/j.1445-2197.2003.02748.x 

  24. J. Cohen. (2003). A power primer. In A. E. Kazdin. Ed. Methodological issues & strategies in clinical research.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 427-436. 

  25. J. P. Higgins, S. G. Thompson, J. J. Deeks & D. G. Altman. (2003).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es. Bmj, 327(7414), 557-560. DOI : 10.1136/bmj.327.7414.557. 

  26. E, Do, S. Cho & S. K. Kim. (2018). Convergence Study of Laughter Therapy's Effect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6), 347-355. DOI : 10.15207/JKCS.2018.9.6.347 

  27. M. Egger, G. D. Smith, M. Schneider & C. Minder.(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mj. 315(7109), 629-634. DOI : 10.1136/bmj.315.7109.629. 

  28. E. K. Kim. (2009). The Effect of Aroma- necklace Inhalation Method on Stress, Anxiety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Hemodialysis. master's dissertation. kangwon University, Chuncheon. 

  29. E. H. Heo. (2007). Effect of laughter on mood, stress respon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emodialysis patients. master's dissert ation. CHA University, Pocheon. 

  30. Y. S. Chung. (2004).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immune function in the hemodialysis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31. M. H. Jeong & O. L. Park. (2012). Effects of dan jeon breathing on stress, sleep disturbance and self-esteem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2), 5882-5892. DOI : 10.5762/kais.2012.13.12.5882 

  32. I. H. Cho. (2015). Effects of Korean-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Mindfulness, Stress Response, Psychosocial Adapta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Doctoral dissertation. Young-nam University, Daegu. 

  33. G. D. Kim & S. R. Suh. (2008). Meta-analysis about effect of aromatherapy on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1(4), 188-195. 

  34. J. Y. Park & C. Y. Park.(2017).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Str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8, 173-182. DOI : 10.18693/jksba.2017.18.3.173 

  35. H. G. Park & J. Y. Lee. (2014). A meta-analys is of the music therapy research to reduce stres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15, 29-47. DOI : 10.21330/kjmt.2014.16.1.29 

  36. H. H. Cho. & J. H. Lee. (2017).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Mindful Meditation: Focused on ACT and MBSR.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5(2), 69-74. DOI : 10.17547/kjsr.2017.25.2.69 

  37. E. O. Lee, H. H. Song, B. S. Lee, J. H. Kim, E. H. Lee, E. J. Lee, J. S. Park, K. J, Jeon & M. S. Jung. (1992). Effects nursing interventions on anxiety and/or stress: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2(4), 526-551. 

  38. K. H. Roh & H. A. Park. (2009). A Meta-Analysis of the meets of Aromatherapy on Psychological Variable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2), 113-122. 

  39. H. S. Kim, H. H. Song & S. E. Choi. (2000).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on anxiety and blood press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2), 282-292. DOI: 10.4040/jkan.2000.30.2.2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