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연구의 동향
Trends of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50 no.2, 2020년, pp.178 - 190  

이수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이진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황유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고일선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of nursing concept development in Korean journal papers to improve accurate understanding of nursing concept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of 216 concept development articles published from 1970 to 2018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a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국내 간호개념개발 연구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국내 간호학자들이 다양한 간호개념개발 방법 중에서 관심을 가지고 간호개념개발에 적용한 방법과 분석된 구체적 간호개념을 중심으로 간호개념개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70년 이후부터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연구의 동향을 논문과 연구자의 특성, 개념개발 방법뿐만 아니라 적용된 개념개발 방법의 절차의 적절한 수행 여부와 분석된 구체적 개념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연구에서 적용한 개념개발 방법과 분석된 구체적 개념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한간호학회지 창간년도인 1970년을 문헌검색 기준년도로 하여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연구의 분석된 개념과 개념개발 방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 간호개념개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국내 간호개념개발 연구에서 분석된 개념과 개념개발의 목적에 맞는 적절한 개념개발 방법의 사용 여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 본 연구는 대한간호학회지가 창간된 197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연구에서 분석한 개념 및 적용한 방법을 확인함으로써 국내 간호개념개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하였다. 국내 학술지에 최초로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연구는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회상’에 대한 개념을 분석한Chon [19]의 연구로, 1989년 대한간호학회지에 게재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간호학회지가 창간된 1970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간호개념개발 연구에서 적용한 개념개발방법과 분석된 구체적 개념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국내 간호개념개발 연구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히 혼종 모형의 최종 분석 단계 중 ‘경험적 지표’가 가장 많이 누락되었는데, 이는 혼종 모형이 개념개발을 위한 포괄적인 문헌고찰과 현장 연구를 결합하여 심층적 분석을 통해 개념을 정련화하여 개념의 정의와 실무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임상지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8] 사용되어야 함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결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념이란? 개념이란 흔히 어떠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 또는 표상으로 정의된다[5]. 특히 간호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은 심리·사회적, 신체·행동적 개념들로 사물이나 행동 그 자체라기보다는 그에 대한 인간의 관념이나 구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개념의 추상성이 높다[5].
간호이론의 개발을 통한 간호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그 핵심 요소인 개념을 분석하고 명료화하는 개념개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개념이란 흔히 어떠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 또는 표상으로 정의된다[5]. 특히 간호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은 심리·사회적, 신체·행동적 개념들로 사물이나 행동 그 자체라기보다는 그에 대한 인간의 관념이나 구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개념의 추상성이 높다[5]. 이와 같은 개념의 추상성은 개념에 대한 모호함과 사용자들 간의 혼동을 일으켜 간호학의 발전을 저해하고 실무자들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한다[6]. 따라서 간호이론의 개발을 통한 간호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그 핵심 요소인 개념을 분석하고 명료화하는 개념개발 연구가 필요하다[3].
개념개발의 목적은? 개념개발의 목적은 개념의 기능과 구조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어떤 현상에서 그 개념이 가진 독특한 속성의 적합성을 확인한다[3]. 개념개발은 개념의 기본 요소인 속성을 확인하는 과정으로 개념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별하게 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cEwan M. Philosophy, science, and nursing. In: McEwen M, Wills EM, editors. Theoretical Basis for Nursing.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4. p. 2-22. 

  2. Colley S. Nursing theory: Its importance to practice. Nursing Standard. 2003;17(46):33-37. https://doi.org/10.7748/ns2003.07.17.46.33.c3425 

  3. Walker LO, Avant KC.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5th Engl. Ed. Oh GS, Lee IS, Cho SY, translators. Seoul: Jungdam; c2014. p. 58-100. 

  4. Yi M, Lee SW, Kim KJ, Kim MG, Kim JH, Lee KH, et al. A review study on the strategies for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6;36(3):493-502. https://doi.org/10.4040/jkan.2006.36.3.493 

  5. Lee SW, Kim JH, Lee BS, Jung MS, Yoo M, Lee DS, et al. Understanding of nursing theory. 3rd ed. Seoul: Soomoonsa; 2017. p. 57-90. 

  6. Morse JM. Exploring pragmatic utility: Concept analysis by critically appraising the literature.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2000. p. 333-352. 

  7. Rodgers BL. Concept analysis: An evolutionary view.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2000. p. 77-102. 

  8. Schwartz-Barcott D, Kim HS. An expansion and elaboration of the hybrid model of concept development.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2000. p. 129-159. 

  9. Avant KC. The Wilson method of concept analysis.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2000. p. 55-76. 

  10. Walker LO, Avant KC.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6th ed. New York: Pearson Education; 2019. p. 167-193. 

  11. Chinn PL, Kramer MK. Theory and nursing: A systematic approach. 4th Engl. Ed. Kim MJ, Cho KH, translators. Seoul: Hyunmoonsa; c2000. p. 83-97. 

  12. Lackey NR. Concept clarification: Using the Norris method in clinical research.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2000. p. 193-208. 

  13. Penrod J, Hupcey JE. Enhancing methodological clarity: Principle-based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0(4):403-40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405.x 

  14. Caron CD, Bowers BJ. Methods and application of dimensional analysis: A contribution to concept and knowledge development in nursing.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2000. p. 285-319. 

  15. Haase JE, Leidy NK, Coward DD, Britt T, Penn PE. Simultaneous concept analysis: A strategy for developing multiple interrelated concepts. In: Rodgers BL, Knafl KA, editors.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2000. p. 209-229. 

  16. Hupcey JE, Penrod J. Concept analysis: Examining the state of the science.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005;19(2):197-208. https://doi.org/10.1891/rtnp.19.2.197.66801 

  17. Rodgers BL, Knafl KA.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2nd ed. Philadelphia (PA): Saunders; 2000. p. 2-22. 

  18. Rodgers BL, Jacelon CS, Knafl KA. Concept analysis and the advance of nursing knowledge: State of the scienc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18;50(4):451-459. https://doi.org/10.1111/jnu.12386 

  19. Chon SJ. Concept analysis: Reminiscence.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89;19(1):92-98. https://doi.org/10.4040/jnas.1989.19.1.92 

  20. Oh SH. Suggestions of improvements on the current academic journal evaluation system.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4):495-509.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495 

  21. Lee HK, Yang K.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ies' journal publicatio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7;48(2):295-322. https://doi.org/10.16981/kliss.48.2.201706.295 

  22. Bahr SJ, Siclovan DM, Opper K, Beiler J, Bobay KL, Weiss ME. Interprofessional health team communication about hospital discharge: An implementation science evaluation study.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17;32(4):285-292. https://doi.org/10.1097/NCQ.0000000000000238 

  23. Morse JM, Hupcey JE, Mitcham C, Lenz ER. Concep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A critical appraisal. Scholarly Inquiry for Nursing Practice. 1996;10(3):253-277. 

  24. Cockell N, Mcsherry W. Spiritual care in nursing: An overview of published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2;20(8):958-969.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2.01450.x 

  25. Ennis E, Kazer M. The role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s on improved outcomes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Holistic Nursing Practice. 2013;27(2):106-113. https://doi.org/10.1097/HNP.0b013e318280f7f9 

  26. Yoon MO, Park JS. The effect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hospic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2;14(3):337-347. 

  27. Lee EH. Fatigue in people with cancer: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29(4):755-765. https://doi.org/10.4040/jkan.1999.29.4.755 

  28. Seo NS, Kang SJ, Kim JH. Concept analysis of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based on hybrid mode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7):688-698. https://doi.org/10.5762/KAIS.2017.18.7.688 

  29. Jeong GH, Park HS, Kim KW, Kim YH, Lee SH, Kim HK. A concept analysis of cultural nursing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6;22(2):86-95. https://doi.org/10.4069/kjwhn.2016.22.2.86 

  30. Park JS. A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nursing theory according to Korean culture: Traditional view of human and expectation of sick role.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6;26(4):782-798. https://doi.org/10.4040/jnas.1996.26.4.7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