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자생 갈조류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 및 총 항산화능력 비교 연구
Analysis and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total antioxidant capabilities of Korean brown alga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1, 2020년, pp.54 - 59  

이채현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예나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상길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양자원정보시스템의 '해양갈조식물자원'에서 표준화된 갈조류 10종을 분양 받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항산화능력을 비교한 연구이다. 10종의 갈조류 중 총 폴리페놀이 높은 갈조류는 넓패, 개미역쇠, 그리고 검둥모자반이였으며, 이들 중 넓패와 검둥모자반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능력도 다른 갈조류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능력을 보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항산화능력 간의 상관관계 조사를 통하여 총 플라보노이드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이 해조류의 총 항산화능력에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넓패 및 검둥모자반은 높은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갈조류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연구의 자료는 국내 자생하는 갈조류의 생리활성물질과 기능성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onsistent methods of harvest, identification, and preparation of brown algae samples make it difficult to compare the results of certain measurements across different studies, such as total phenolic contents (TPC),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TAC). Theref...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양수산부는 해양생명자원의 신약개발, 바이오에너지, 의료용품, 기능성식품 등의 소재로의 활용을 위한 해양생명자원 정보표준화 및 통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해양생명자원 정보시스템(Marine Bio-Resource Information System, MBRIS)을 운영하며우 리나라 근해에서 자생하는 다양한 해조류의 표준화된 추출물을 연구자에게 분양해주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 탐색을 위해 해양생명자원 통합정보시스템에서 분양 받은 표준화된 갈조류 추출물 10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항산화능력 등을 분석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해양자원정보시스템의 ‘해양갈조식물자원’에서 표준화된 갈조류 10종을 분양 받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항산화능력을 비교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는 무엇인가? 해양에서 서식하는 거대 조류(macroalgae)인 해조류(seaweed)는 재생 가능한 해양환경자원으로 바다에서 생육하는 다세포 원생생물을 말하며, 단세포의 미세조류(microalgae)와는 다르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고, 자라는 바다의 깊이와 색소의 조성에 따라 녹조류(green algae), 갈조류(brown algae), 홍조류(red algae)로 나뉘며 각각의 구성 성분에서도 차이를 보인다(Kumar 등, 2011;Lee, 2013). 해조류는 열량이 낮고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미네랄 등이 풍부하며,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단백질, 필수지방산 및 폴리페놀(polyphenol)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Chandini 등, 2008; Jeon 등, 2012).
갈조류의 폴리페놀은 플로로탄닌이라는 독특한 폴리페놀 2차 대사산물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것은 해조류의 어떤 생리활성에 기여하는가? 특히, 갈조류의 폴리페놀은 육상식물과 다르게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1,3,5-trihydroxybenzene)]을 기본 구조로 하는 플로로탄닌(phlorotannin)이라는 독특한 폴리페놀 2차 대사산물을 함유하고 있다(Ferreres 등, 2012). 플로로탄닌류는 항산화능력은 물론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저하, 간 보호, 항바이러스 및 항박테리아, 항암, 항염증 효과 등 해조류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기여한다고 밝혀졌다(Kim 등, 2006; Kim 등,2005; Park 등, 2005).
해조류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해양에서 서식하는 거대 조류(macroalgae)인 해조류(seaweed)는 재생 가능한 해양환경자원으로 바다에서 생육하는 다세포 원생생물을 말하며, 단세포의 미세조류(microalgae)와는 다르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고, 자라는 바다의 깊이와 색소의 조성에 따라 녹조류(green algae), 갈조류(brown algae), 홍조류(red algae)로 나뉘며 각각의 구성 성분에서도 차이를 보인다(Kumar 등, 2011;Lee, 2013). 해조류는 열량이 낮고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미네랄 등이 풍부하며,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단백질, 필수지방산 및 폴리페놀(polyphenol) 같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Chandini 등, 2008; Jeon 등, 2012). 우리나라에서는 산후 조리를 위해 미역국을 섭취하는 음식문화가 발달했으며, 다시마, 톳, 모자반 등 다양한 해조류 등을 식생활을 통해 섭취해왔다(Moon과Kim,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S-M, Hong Y-K, Kwon G-S, Sohn H-Y.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5 different seaweed extracts. J. Life Sci. 20: 1640-1647 (2010) 

  2. Benzie IFF, Strain 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3.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4. Chandini SK, Ganesan P, Suresh PV, Bhaskar N. Seaweeds as a source of nutritionally beneficial compounds-a review. J. Food Sci. Technol. 45: 1-13 (2008) 

  5. Demirel Z, Yilmaz-Koz FF, Karabay-Yavasoglu UN, Ozdemir G, Sukatar A.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algae from the aegean sea. J. Serb. Chem. Soc. 74: 619-628 (2009) 

  6. Ferreres F, Lopes G, Gil-Izquierdo A, Andrade PB, Sousa C, Mouga T, Valentao P. Phlorotannin extracts from fucales characterized by HPLC-DAD-ESI-MSN: Approaches to hyaluronidase inhibitory capac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Mar. Drugs 10: 2766-2781 (2012) 

  7. Floegela A, Kim D-O, Chung S-J, Koo SI, Chun OK. Comparison of ABTs/DPPH assays to measure antioxidant capacity in popular antioxidant-rich us foods. J. Food Compos. Anal. 24: 1043-1048 (2011) 

  8. Jeon YE, Yin XF, Lim SS, Chung C-K, Kang I-J.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eaweed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443-449 (2012) 

  9. Kim BM, Jun JY, Park YB, Jeong IH.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097-1101 (2006) 

  10. Kim S, Woo S, Yun H, Yum S, Choi E, Do J-R, Jo J-H, Kim D, Lee S, Lee TK. Total phenolic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seaweed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4: 798-802 (2005) 

  11. Kim T-H, Ko S-C, Oh G-W, Park H-H, Lee D-S, Yim M-J, Lee JM, Yoo JS, Kim C-S, Choi I-W, Jung W-K. Studies on bioactive substanc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rine algae from Jeju island. J. Mar. Biosci. Biotechnol. 8: 30-38 (2016) 

  12. Koivikko R, Loponen J, Honkanen T, Jormalainen V. Contents of soluble, cell-wall-bound and exuded phlorotannins in the brown alga Fucus vesiculosus, with implications on their ecological functions. J. Chem. Ecol. 31: 195-212 (2005) 

  13. Kumar M, Gupta V, Kumari P, Reddy CRK, Jha B. Assessment of nutrient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Caulerpaceaeseaweeds. J. Food Compost. Anal. 24: 270-278 (2011) 

  14. Lee J-H, Kim G-H.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marine algae-extracts from Korea. J. Aquat. Food Prod. Technol. 24: 227-240 (2015) 

  15. Lee NY. Antioxidant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eaweeds ethano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893-1898 (2013) 

  16. Lee S-H, Kang S-M, Ko S-C, Kang M-C, Jeon Y-J. Octaphlorethol a, a novel phenolic compound isolated from Ishige foliacea,protects against streptozotocin-induced pancreatic beta cell damage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Food Chem. Toxicol. 59: 643-649 (2013) 

  17. Lee S-H, Ko S-C, Kang M-C, Lee DH, Jeon Y-J. Octaphlorethol a, a marine algae product, exhibits antidiabetic effects in type 2 diabetic mice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upregulating the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4. Food Chem. Toxicol. 91: 58-64 (2016) 

  18. Lee SG, Wang T, Vance TM, Hubert P, Kim D-O, Koo SI, Chun OK.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plasma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comparing with urinary 8-isoprostane level. J. Microbiol. Biotechnol. 27: 388-394 (2017) 

  19. Lim S, Choi A-H, Kwon M, Joung E-J, Shin T, Lee S-G, Kim N-G, Kim H-R.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Sargassum serratifolium and its major antioxidant components. Food Chem. 278: 178-184 (2019) 

  20. Mekinic IG, Skroza D, imat V, Hamed I, agalj MC, Perkovic ZP. Phenolic content of brown algae (Pheophyceae) species: Extraction,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Biomolecules 9: 244 (2019) 

  21. Moon S, Kim J. Iodine content of human milk and dietary iodine intake of Korean lactating mothers. Int. J. Food Sci. Nutr. 50: 165-171 (1999) 

  22. Muhammad P, Subbiah M, Sivamurugan V. Investigation on in vivo analgesic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marine brown alga Spatoglossum asperum J. Agarth. Asian J. Pharm. Clin. Res. 11: 313-315 (2018a) 

  23. Muhammad R, Fuad HA, Hajrah YAS, Subehan S. Analysis of total flavonoid levels in brown algae (Sargassum sp. And Padina sp.) as analgesic drug therapy. Asian J. Pharm. Clin. Res. 11: 81-83 (2018b) 

  24. Park KE, Jang M-S, Lim CW, Kim Y-K, Seo Y, Park H-Y. Antioxidant activity on ethanol extract from boiled-water of Hizikia fusiformis. J. Korean Soc. Appl. Biol. 48: 435-439 (2005) 

  25. Park N-Y, Kim I, Jeong Y-J.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componential extraction of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J. Food Sci. Nutr. 13: 321-326 (2008) 

  26. Proestos C, Varzakas T. Aromatic plants: Antioxidant capacity and polyphenol characterisation. Foods 6: 28 (2017) 

  2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99) 

  28. Rice-Evans C, Miller NJ, Paganga G.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 Biol. Med. 20: 933-956 (1996) 

  29. Shin D-B, Han E-H, Park S-S. Cytoprotective effects of Phaeophyta extracts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in HT-22 mouse neuronal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24-230 (2014) 

  30. Zhang QA, Wang X, Song Y, FanXH, Garcia Martin JF. Optimization of pyrogallol autoxidation conditions and its application in evaluation of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capacity for four antioxidants. J. AOAC Int. 99: 504-511 (2016) 

  31.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9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