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대전·충남·세종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Snacks of Parents and Teachers at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in Daejeon, Chungnam and Sejong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6 no.2, 2020년, pp.101 - 115  

유주희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외식상품학과) ,  윤혜려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외식상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snacks in the Daejeon, Chungnam and Sejong regions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snacks by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The survey method was a self-monitored survey, and 576 peopl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급식소에서의 전통 간식 활성화를 위해 대전ㆍ충남ㆍ세종지역 어린이집ㆍ유치원에 영ㆍ유아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와 실제 영ㆍ유아를 지도하는 보육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전통 간식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여 전통간식의 활용도를 높이는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반영시 프로그램의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ㆍ유치원에 영ㆍ유아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와 실제 영ㆍ유아를 지도하는 보육교직원들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여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을 설정하고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 그러나 전통음식과 간식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들 대부분은 초등학생, 중학생, 대학생, 주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영ㆍ유아 기관에 대한 연구는 간식의 횟수, 영양, 교육의 중요성 등을 강조하는데 그쳐 영ㆍ유아 대상의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과 발전방안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급식소에서의 전통 간식 활성화를 위해 대전ㆍ충남ㆍ세종지역 어린이집ㆍ유치원에 영ㆍ유아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와 실제 영ㆍ유아를 지도하는 보육교직원들을 대상으로 전통 간식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여 전통간식의 활용도를 높이는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어린이급식소에서 전통간식 활성화를 위한 교육 반영시 프로그램의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 유아 식습관 형성에 어린이급식소가 미치는 영향이 증대된 이유는? 어린이집 이용률이 낮았던 과거에는 영ㆍ유아가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식사를 하는 장소가 개별 가정인 경우가 많았고, 부모가 영ㆍ유아의 식습관 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Yeoh 등 2014). 그러나 현대사회는 부모의 사회진출이 많아지면서 영ㆍ유아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보육교사가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Lee & Oh 2005). 영ㆍ유아는 보육기관에서 하루 한 번의 급식과 두 번의 간식을 섭취하게 되므로 계획된 급식과 간식을 통한 합리적인 영양공급이 필요하다 (Kwak 등 2010; Shin 2014). 현대사회에서 초래되는 질병의 대부분은 올바른 식습관으로 예방될 수 있으므로 영ㆍ유아기 때부터 양질의 식단과 질 좋은 영양 간식을 제공해 건강한 식습관이 형성되도록 정부 차원에서 가정과 어린이집ㆍ유치원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되도록 추진하고 있다(Yeoh 등 2014).
전통간식의 정의는? 한국의 전통음식은 예로부터 우리 민족의 생활에 맞게 개발되어 전통문화와 함께 발전하면서 전해진 고유한 음식이다(Cho 2006). 여러 종류의 전통음식 중 전통간식은 떡류, 과정류, 음청류를 총칭하는 용어로 제철에 나오는 식재료를 활용하기 때문에 신선하고 꿀, 생강, 쑥 등으로 맛, 향, 색을 향상시켜 기호성을 높여준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했고, 핵가족화와 서구음식의 유입으로 전통음식의 이용 빈도가 낮아져 우리의 전통적인 맛이 사라지고 있다(Lee 2007).
전통간식 선호도 조사 중, 비선호에 대한 응답이 의미하는 바는? 0%) 순으로 높았는데, Kim(2001)과 Lee 등(2010)의 전통음식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에서도 두 가지 변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해 우리나라 전통음식을 건강식이라고 생각하고 자랑스러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통간식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로 ‘조리시간이 길고 번거로워서’가 39명 (56.5%)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영양이 풍부하고 우리 고유의 음식으로서 우월함에도 불구하고 조리방법이 다소 복잡하고 어렵다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현대사회의 요에 맞춘 표준조리서가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Hong 등 1999; Lee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 JO (2006): Study on traditional food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om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Masters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pp.17-24 

  2. Choi HJ (2011):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popularization method for the processed rice items.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77-80 

  3. Hong KS, Baik SJ, Kim HS (1999):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awareness and acceptance for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Hum Ecol 8(2):373-385 

  4. Jang SH (2017):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menu management at daycare centers: an application of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Doctor degree thesis. Dong-A University. pp.5-10 

  5. Kang US, Chyun JH (1998):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food use patterns in households of middle aged women living in Kyunggido and Incheon area. Korean J Diet Cult 13(5):461-474 

  6. Kim HH (2002):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preferences of Korean cookies of housewives in Daegu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12(4):280-288 

  7. Kim MR, Kim YY, Kim YR, Yang YA, Yun AR, Lee NJ, Lee YN, Lee JH, Jeon KS, Jung EK, Cho HS, Choi EK (2013): Green food education for child. Knowledge Community. Goyang. pp.132-135 

  8. Kim SM (2001): A study on the attitud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Kyung-book area on the traditional foods (2)-the recognition, the seasonal customs and the life style. Korean J Food Cook Sci 17(2):49-58 

  9. Kwak NU, Park DG, Park HM (2010): Children's health education. Knowledge Community. Goyang. pp.107-108 

  10. Lee BS, Park HJ, Jung JW (2010):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food by generations in Busan area. Korean J Culin Res 16(4):1-14 

  11. Lee EK (2016): The study on the awareness and acceptability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generational differences on the Gwangju.Cheonnam region. Masters degree thesis. Nambu University. pp.20-28 

  12. Lee HJ (2007): Consciousness and utilization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and holiday food: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in Jeon-nam area. Masters degree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pp.48-51 

  13. Lee YJ (2013): Statu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al education on traditional Korean cuisine and cooking activities. Masters degree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pp.16-18 

  14. Lee YM, Oh YJ (2005): A study on kindergarten's meal service program and children's food intake. J Nutr Health 38(3): 232-241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Plan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p.71-80 

  16. Moon HJ, Kim HK, Park BM (2012): Child nutrition. Changjisa. Seoul. pp.76-77 

  17. Park CH, Kim SL (2018):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demand for the assistant workforce in Korean childcare center. Korean J Child Educ Care 18(2):85-102 

  18. Shin HN (2013): Effect on frequency of snack intake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food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besit. Masters degree thesis. Konkuk University. pp.14-15 

  19. Shin SS (2014): For infant teacher and parents nutrition and health education. Knowledge Community. Goyang. pp.62-63 

  20. Sym EB (2018): Menu pattern, food diversity, nutritional contents and partent's satisfaction on snack menus provided by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Jeonbuk province. Masters degree thesi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pp.5-12 

  21. Yeoh YJ, Kwon SY, Lee YM (2014): Evaluation of menu pattern and nutritional contents of snack menus provided by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in Seou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5):614-620 

  22. Yu EC (2018):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food allergy management in day 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17-25 

  23. Yu JS (2015):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foods and eating-out behaviou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asters degree thesis. Kookmin University. pp.14-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