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North Korean Primary English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4, 2020년, pp.582 - 590  

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북한의 신교육강령에 따라서 집필된 영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그동안 접하기 어려웠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소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북한의 소학교는 5년제이기 때문에 신교육강령에 따른 소학교 교수안 4학년과 5학년, 인민교육에 나온 신교육강령 해설서, 김정일선집 등을 기본적인 자료로 입수 가능한 자료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분석대상 자료와 함께 김정일 선집에 나타난 외국어교육에 대한 언급을 중심으로 발췌 또는 취합하여 자료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내용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며, 북한 소학교 분석연구인 본 연구의 매락에서 평가한다. 북한의 교육과정은 우리와 달리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제시하지는 않고 섞여서 함께 제시되는데 이들 내용을 분류하여 우리한테 익숙한 서구식 교육과정의 범주인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분석한 내용을 기술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신교육강령의 소학교 영어과 목표는 영어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고 영어 자모와 일상생활 소재를 중심으로 한 기초적인 영어를 익혀서 중학교 영어의 기초를 쌓는데 있다. 이에 따라서 4학년 1학기 때는 문자 없이 구어를 익히고 2학기에는 문자를 주로 익히고 5학년에서는 일상생활의 친숙한 주제를 영어로 익힌다. 교수방법은 교실영어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도록 격려하고 칭찬하면서 동시에 익혀야 될 언어적 요소는 반복 연습을 자주 시킨다. 평가는 과정중심의 평가를 통해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introduce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of North Korea reformulated according to the New Educational Program. Sources for analysis are the 4th and 5th primary school English syllabus based on the New Educational Program, explanations of the New Educational Program ap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북한관련 연구에는 공식적인 문서의 부족으로 많은 경우 잡지, 신문, 탈북자 등에 의존하여 분석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다행히 북한의 교육과정과 관련해서 공신력이 있는 2013 신교육강령과 신교육강령의 현장에 도입되는 과정에서 나온 공식적인 문서들을 입수할 수 있었고 이들을 근거로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 최근 북한의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본 연구는 최근에 입수한 북한의 2013 신교육 강령 소학교편에 있는 소학교 영어과목 교수의 목적과 일반적 원칙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분석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ten이라고 센다. 전반적으로 잘했으나 몇몇 학생들이 잘하지 못했다고 가정해보자. 교사는 Some of the students are not goo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국신, "통일협상 과정에서 남북예멘 내부의 권력투쟁," 통일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pp.73-69, 2001. 

  2. 이동윤, "분단과 갈등, 그리고 통일: 독일, 예멘, 베트남의 갈등관리 사례 비교," 통일정책연구, 제11권, 제2호, pp.179-204, 2002. 

  3. 조상현, 이동식, "예멘 내전의 사적 재조명과 한반도 통일에 주는 함의," 군사연구, 제132집, pp.221-249, 2011. 

  4. 김용욱, "예멘과 톡일의 통일사례 비교와 시사점,"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8권, 제1호, pp.257-296, 2006. 

  5. 김진숙, 박순경, 김창환, 황인표, "통일 및 미래사회 대비 남북한 초중등학교의 통일교육과정 개발 방향," 교육과정평가원, RRC 2014-10, 2014. 

  6. 정채관,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제32권, 제4호, pp.27-82, 2018. 

  7. 정채관, 조정아, "김정은 체제 북한 중학교 교육과정 연구: 총론과 영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제39집, pp.147-166, 2017. 

  8. 이소영, "북한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3호, pp.983-1000, 2019. 

  9. 오명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 강령의 특징, 인민교육, 제681호, pp.21-22, 2017. 

  10. 박약우, 김진철, 고경석, 박기화, 정국진, "남북한 중등학교 영어과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제7권, 제2호, pp.163-194, 2000. 

  11. NK조선일보사, 北소학교서 컴퓨터, 영어 정규수업시작. http://nk.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09040에서 2019년 10월 23일 인출, 2008년 9월 3일자. 

  12. 리명희, 안혜순, 최광남, 박광혁, 신교육강령에 따른 소학교 영어교수안 4, 외국문도서출판사, 2016. 

  13. 안혜순, 리명희, 최광남, 신교육강령에 따른 소학교 영어교수안 5, 외국문도서출판사, 2016. 

  14. 윤혁, 신교육 강령에 따른 영어과 평가, 인민교육, 제681호, pp.62-64, 2017. 

  15. 리우석, "중등 일반교육 수준을 결정적으로 높일데 대한 사상은 보통교육 부분에서 튼튼히 틀어쥐고 나가야 할 강령적 지침," 인민교육, 제681호, pp.13-14, 2017. 

  16. 김영숙, "2015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내용체계표 분석," 초등영어교육, 제24권, 제4호, pp.31-51, 2018. 

  17. H. D. Brown,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3rd ed.), Pearson Education, 2007. 

  18. J. Richards, Curriculum development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9. 김정일, 김정일선집, 제10권, 조선로동당출판사, 2011. 

  20. 유희연, 김정렬, "북한 2013 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교과서 코퍼스 기반 비교: 고급 중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2호, pp.603-622, 2019. 

  21. 김지영, 이제영, 김정렬, "북한 영어 교과서 어휘의 통시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4호, pp.331-341, 2017. 

  22. 유희연, 김정렬, "북한의 2013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 교과서 구성 체제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412-422, 2018. 

  23. 황서연, 김정렬, "북한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pp.242-251, 2017. 

  24. 주윤하, 엄철주, "북한 고급중학교 영어 교과서 읽기 지문의 코퍼스 분석," 영어영문학21, 제32권, 제4호, pp.201-220, 2019. 

  25. 홍정실, 김정렬, "북한 영어교과서의 통치 권력별 통시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6호, pp.599-619, 2019. 

  26. 이소영, "북한의 영어교과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개관: 1994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제28권, pp.83-109, 2014. 

  27. 김정원, 김지수, 한승대, "북한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한국교육, 제42권, 제4호, pp.29-5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