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센터 운영의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Operational Efficiency among Long-Term Care Visiting Nursing Center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7 no.1, 2020년, pp.16 - 28  

임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오은숙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송수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long-term care visiting nursing centers in communiti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average number of staff per 6 months and total space of center were us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법을 이용하여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센터의 효율성을 기술효율성과 규모효율성의양 측면에서 분석하여 방문간호만 제공하는 단일 모형에서부터 방문간호, 방문요양, 방문목욕, 주야간보호까지 다 기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모형까지 운영 형태의 스펙트럼이 광범위한 방문간호센터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센터 운영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방문간호센터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벤치마킹 분석을 통해 준거집단을 파악하여 비효율적인 방문간호센터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 수립의 근거 자료를 마련해 보고자 한 것으로,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30개의 방문간호센터를 기술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효율성을 파악하고 비교 센터 내에서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높은 센터를 제시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낮은 센터가 어떤 센터를 벤치마킹을 해야 하며, 어떻게 투입과 산출요인을 조정하여야 하는 지에 대한 개량적인 목표량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정량의 센터 이용 인원과 노인장기요양수가 수익금을 달성할 때, 가장 적은 센터 근무인력 수와 센터 총 면적을 사용하는 상대적 비율을 의미한다.
  • 의사결정단위의 기술적 효율성을 측정하여 투입요인을 고정한 상태로 증가시킬 수 있는 산출의 양을 제시하거나, 산출요인을 고정한 상태로 감소할 수 있는 투입 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사업 계획에 반영할 수 있는 실제적인 목표 설정의 근거를 제공해 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업무의 형태가 유사한 공공기관 및 병원을 대상으로 적용 사례가 다수인 자료포락분석방법을 통하여 효율성평가 및 분석을 하고자한다[14,15].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방문간호센터의 효율성을 측정하고 벤치마킹 분석을 통해 준거집단을 파악하여 비효율적인 방문간호센터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 수립의 근거 자료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 대상자는 누구인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방문간호센터는 노인성질환으로 처치가 필요한 대상자에게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료비 절감 및 의료 접근성을 강화하고, 질병관리를 통한 신체기능상태 유지와 합병증을 예방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유지, 향상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다[4]. 노인장기요양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혹은 65세 미만 노인성질환자로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하며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고, 언제든지 급성기 질환으로 이행될 위험이 있으며, 의료적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자이다[5]. 대부분의 노인기에 접어든 대상자는 고혈압, 당뇨, 관절염과 같은 복합적인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어 방문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나[6], 노인장기요양에서의 재가 방문간호 이용률은 2008년 3.
본 논문에서 노인 방문간호에 대한 효율성 지표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효율성 점수가 ‘100%’인 경우는 비교 의사결정단위 내에서 상대적효율성이 가장 높음을 의미하며, ‘0%’에 가까울수록 비교 의사결정단위 내에서 상대적 효율성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본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센터에서 측정 가능한 낭비를 제거한 센터의 근무인력 수, 센터 총 면적으로 측정한 투입요인과 월 평균 센터 이용 인원, 월 평균 노인장기요양수가 수익금으로 측정한 산출요인의 비율을 의미한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방문간호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였다.
방문간호센터의 도입 목적은 무엇인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방문간호센터는 노인성질환으로 처치가 필요한 대상자에게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의료비 절감 및 의료 접근성을 강화하고, 질병관리를 통한 신체기능상태 유지와 합병증을 예방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유지, 향상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다[4]. 노인장기요양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 혹은 65세 미만 노인성질환자로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하며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고, 언제든지 급성기 질환으로 이행될 위험이 있으며, 의료적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자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A survey of the elderly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cited 2019 August 16].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4953 

  2. Lee, SH. Feeling of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elder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Health and Welfare for Elderly. 2010;2(1):69-92. 

  3. Seo BC. A study on a linkaged model of a visiting service for the aged in home: the case of linkage to welfare service and visiting care service [master's thesis]. Daejeon: Mokwon University; 2002. 61 p. 

  4. Kwon JH, Han EJ, Lee JS. Long-term care service standard benefit model redesign. Research Report.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1 November. Report No.: 2011-13. 

  5. Park JY, Lee YH, Kwon JH, Lee EM, Lee HY, Kim YH.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are model of long term care & medical service. Research Report.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0 October. Report No.: 2010-18. 

  6. Lim JY, Kim EJ, Choi KW, Lee JS, Noh, WJ. Analysis of barriers and activating factors of visiting nursing in long-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8):283-299.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283 

  7. Long-term care benefits by city, county and district, by grades, and service types 2013-2018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20 March 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tatId2011038&themaIdD#SelectStatsBoxDiv 

  8. Jeong GH. Knowledge and perceptions on visiting nursing service needs among workers in long-term care insurance institutions [master's thesis]. Jeonnam: Je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48 p.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ully amended draft and full text of long-term care benefit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9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21974 

  10. Kim MH. Roles of visiting nurses defined based on long-term care insurance regulation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9;23(2):232-250. 

  11. Park CS. Visiting nurses'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Health & Nursing. 2009;21(1):64-72. 

  12. Lee JS, Han EJ, Kang IO. Th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utilization of home nursing care beneficiaries under the korean long term care insurance. Journal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1;22(1):33-44. https://doi.org/10.12799/jkachn.2011.22.1.33 

  13. Kim CJ, Kim YS, Kang HY, Park JH, Sung MS, Woo YJ. Development of home care quality indicators (HCQIs) at demonstration project of elderly care insurance progra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8;28(2):377-394. 

  14. Lee SY, Lim JY.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general nursing unit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1;18(2):118-125. 

  15. Yoo KR.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assess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public sector. Journal of Jeonbuk Administration. 2000;14(2):1-20. 

  16. Suck YK. A study of evalua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 using DEA. Sun Moon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00;3:263-278. 

  17. Charnes A, Cooper W, Rhodes E.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978;2(6):429-444. https://doi.org/10.1016/0377-2217(78)90138-8 

  18. Jeong HS, Lee KH. Efficiency of public hospitals and their social role.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996;6(2):1-13. 

  19. Yun K. Using DEA to measure the public sector efficiency: a review and proposal.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2003;9(2):7-31. 

  20. Jeong SB. An efficiency analysis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using DEA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15;20(6):141-150. https://doi.org/10.9708/jksci.2015.20.6.141 

  21. Jeong SB, Lee JW. 17 cities provinces area analysis of efficiency of visiting medical care business.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019;27(1):49-66. https://doi.org/10.31324/jrs.2019.03.27.1.49 

  22. Park BS, Lee YK, Kim YS. Efficiency evaluation of general hospitals using D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9;9(4):299-312. https://doi.org/10.5392/jkca.2009.9.4.299 

  23. Kim JH. The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community center' efficiency by DEA: the case of Seoul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Dongguk University; 2006. p. 37-53. 

  24. Banker RD, Charnes A, Cooper WW.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1984;30(9):1078-1092. https://doi.org/10.1287/mnsc.30.9.1078 

  25. Dailymedi. Postpone integrated service, add preliminary business [Internet]. Seoul: Dailymedi; 2019 [cited 2019 November 2]. Available from: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45536 

  26. Park YH, Lim JY. Performance evaluation of nurses in general ward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8;25(1):67-77. http://dx.doi.org/10.22705/jkashcn.2018.25.1.067 

  27. Im HB, Lim JY. Evaluation of efficiency of outpatient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2;19(1):11-18. 

  28. Guide to long-term care insurance [Internet]. Kangwon: Long Term Care Insurance; 2020 [cited 2020 April 6]. Available from: http://www.longtermcare.or.kr/npbs/e/b/101/npeb101m01.web?menuIdnpe0000000030&zoomSize 

  29. Lim JY, Kim JH, Park YS. A mid-to long-term plans for the supply of long-term care workers in a changing population structure, Chapter 5. Policy Re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0 March. Report No.: 2019-24. 

  30. Lim JY, Kim EJ, Choi KW, Park JD, Noh WJ. Analysis of barriers and activating factors of visiting nursing in long-term care insurance. Research Report.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1 December. Report No.: non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