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원에 대한 개항기 한국 지식인의 인식 고찰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Intellectuals on Botanical Gardens during the Open Port Period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2, 2016년, pp.96 - 107  

김정화 (서울대학교 협동과정조경학)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창경궁 내 식물원이 조성되기 이전에 나타난 한국 근대 식물원의 효시를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1876년부터 1910년의 개항기에 일본, 러시아, 영국에 파견된 사절단이나 윤치호 및 유길준과 같은 해외 유학생이 작성한 기행문 형식의 글을 실마리 삼아 당시 한국 지식인들이 식물원을 이해하고 전유하는 양상을 읽어내려 하였다. 연구 결과, 식물원에 관한 내용은 188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기행문에 등장하지 않았다. 여러 식물원을 안내하려고 했던 일본 측의 계획과 달리 일본에 파견된 조선 사절단들은 식물원을 방문하지 않고 관련 기록도 남기지 않는 등 식물원에 대한 흥미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1890년대 이후 러시아, 유럽, 미국 등지에 파견된 사절단이나 유학생들은 식물원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식물원을 문명국인 서구의 대표적 문물이자 필수품으로 판단하고 학문 발전과 계몽의 도구로서 국내에 도입하고자 노력하였다. 비록 개항기 한국 지식인들의 식물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주장이 실제 식물원 조성으로 이어지지는 못하였으나, 이들의 기록과 견해는 문명의 표상으로서 식물원의 이미지를 공고히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식물원 개념의 태동을 구체화하고 1909년 창경궁 내 식물원의 설립을 이해하는 데 밑거름을 제공하는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n attempt to trace the origins of Korean botanical gardens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the botanical garden in Changgyeonggung Palace. We trace the time period during which Korean intellectuals first understood and appropriated botanical gardens based on accounts found in travel jou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항기에 한국 지식인들이 방문한 것으로 추측되거나 기록된 식물원은? 앞의 문헌들을 토대로 볼 때 개항기에 한국 지식인들이 방문한 것으로 추측되거나 기록된 식물원들은 일본 동경의 여러 식물원,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의 식물원, 미국 보스턴과 시카고의 식물원, 영국 런던의 식물원, 베트남 사이공의 식물원, 그리고 벨기에 브뤼셀의 식물원 등이다. 이 중 일본 동경에 위치한 고이시카와 식물원, 호리키리 창포, 스가모 정원사 등은 사절단이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던 장소들이다.
18세기부터 오늘날까지 식물원의 역할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식물원은 르네상스 시대의 약용 정원(physic gardens)에서 발원(Tongiorgi Tomasi, 2005; Hunt, 2012)하였으나 그 역할과 모습은 시대마다 달랐다. 예컨대 18세기에는 자연사 및 사회 시스템 모델 담론의생산지였으며 제국주의 시대에는 이익 창출을 위한 식량자원 연구 및 시험장이었고, 산업혁명 후에는 공공 공원 운동의 중심지이기도 했으며 오늘날에는 자생식물 및 생물종의 연구및 보존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ogers, 2006; Forbes, 2012).
식물원은 언제 누구로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나? 일본에 수차례 파견된 사절단은 식물원을 비롯한 유사 시설 방문을 안내 받고도 이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거나 비판적 견해를 드러내었다. 식물원은 1890년대 이후 러시아, 미국, 유럽 등에 파견된 사절단이나 유학생으로부터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 중에서도 여러 국가를 방문한 경험을 지녔던 윤치호와 유길준 등의 유학생들은 각 식물원을 비교할 수 있는 안목을 지녔는데, 특히 유길준은 식물원의 개념과 특성,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nonymous(1896, October 24). Dongnip Shinmun, p. A1. 

  2. Anonymous(1898, November 5). Hwangseong Shinmun, p. A1. 

  3. BGCI. https://www.bgci.org/ 

  4. Botanical Garden(1913) St. Petersburg Imperial Botanical Garden 200 Years of Its Existence(1713-1913) 2. St. Petersburg: Botanical Garden. 

  5. Cho, H. R.(2006) A Study on the History of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oul: Asea Munhwasa. 

  6. Choi, S.(2009) Envoy travelling to Russia in 1896, Hwan-gu-il-gi & Hwan-gu-gum-cho: Envoy travelling to Russia seen from the viewpoint of the envoy travelling essay. Han Mun Hak Bo 20: 199-224. 

  7. DB of Korean Classics. http://db.itkc.or.kr/ 

  8. DB of Korean History. http://db.history.go.kr/ 

  9. Forbes, S.(2012) Enquiry into plants, nature, utopia, and the botanic garden. In A. Gieseche and N. Jacobs, eds., Earth Perfect?: Nature, Utopia and the Garden. London: Black Dog Publishing. pp. 220-241. 

  10. Fukuba, H.(2006) Fukuba Hayato's Memoirs. Tokyo: Kokumin Kouen Kyoukai Shinjuku Gyoen. 

  11. Ha, W. B.(2000) Soosinsa's perception of Japan during the open port period. Hanil Gongdong Yeongu Chongseo 2. Seoul: Asiatic Research Institute, Korea University. pp. 168-206. 

  12. Han, C. H.(2000) Kil-Chun Yu's book for civilization thought and it's effect. Jin Dan Hak Bo 89: 227-244. 

  13. Han, C. H.(2006) The activities of Kim Gi-Soo, the first courtier's observation mission(1876) and its meaning. Journal of Korean History of Thoughts 27: 283-317. 

  14. Han, C. H.(2008) The 4th courtier's observation mission Pak Young- Hyo's views of Japan focused on Sahwagiryag.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44: 95-124. 

  15. Hu, K. J. trans.(2011) Hwanguumcho. Seoul: Pyungminsa. 

  16. Hu, K. J. trans.(2013) Seoyugyeonmun. Paju: Seohaemunjeep. 

  17. Hunt, J. D.(2012) A World of Gardens. London: Reaktion Books. 

  18. Hwang, J. M.(2008) The literary character and expressional method of Hwanguumcho. Journal of Cino-Korean Poetry 16: 355-391. 

  19. Jeong, Y. H.(1999) Re-reading Seoyugyeonmun. East Asia Review 3: 40-51. 

  20. Kim, J. Y.(2005) Chosun Dynasty's mission to Russia in 1896 and occidentalism. Dong Bang Hak Chi 131: 323-356. 

  21. Kim, Y. J.(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ceptance of the west between Korea and Japan. Hanil Gongdong Yeongu Chongseo 11. Seoul: Asiatic Research Institute, Korea University. pp. 90-185. 

  22.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ed. & trans.(1974) Ildonggiyu. In Hae Haeng Chong Jae 10. Seoul: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pp. 341-519. 

  23.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ed. & trans.(1977) Dongsamanrok. In Hae Haeng Chong Jae 11. Seoul: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pp. 401-468. 

  24.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ed. & trans.(1977) Ilsajeepryak. In Hae Haeng Chong Jae 11. Seoul: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pp. 7-314. 

  25.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ed. & trans.(1977) Sahwagiryak. In Hae Haeng Chong Jae 11. Seoul: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pp. 315-399. 

  26. Lee, H. J.(2009) When Chosun confucianists saw Meiji Japan.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35: 485-515. 

  27. Lee, H. S. ed.(2000) Seoyugyeonmun. Seoul: Pagijong. 

  28. Lee, K. R.(1997) The enlightenment thought of Kil-Chun Yu: Focused on Seoyugyeonmun. Hankuk Gaehwa Sasang Yeongu. Seoul: Iljogak. pp. 45-92. 

  29. Lew, Y. I.(1990) A discussion on Seoyugyeonmun. Hanguksa Simin Gangjoa 7. Seoul: Iljogak. pp. 127-156. 

  30. Min, H. K. ed.(2000) Haecheonchubeom. In M. S. Lee, trans., Min Chungjeonggong Yugo. Seoul: Iljogak. 

  31. Min, H. K. ed.(2000) Sagusokcho. In M. S. Lee, trans., Min Chungjeonggong Yugo. Seoul: Iljogak. 

  32. Park, J. H.(2000) The west in the eyes of Kil-Chun Yu. Jin Dan Hak Bo 89: 245-259. 

  33. Park, Y. H.(1926) Gapsin coup. In I. M. Cho, and P. N. Sin, eds., Gapsin Coup Hoegorok. Seoul: Konkuk University Press, 2006. pp. 195-215. 

  34. Perredes, P. E. F.(1906) London Botanic Gardens. London: The Wellcome Chemical Research Laboratories. 

  35. Pratt, M. L.(2007) Imperial Eyes: Travel Writing and Transculturation (2nd ed.). N. H. Kim, trans., Seoul: Hyunsil Publishing Co., 2015. 

  36. Pungsokhwabo (1906) Vol. 351. Tokyo: Dongyangdang. 

  37. Rogers, E. B.(2006) Introduction. Sitelines 11(1): 2-4. 

  38. Sakada, M. ed.(1876) Hanghanpilhyu. Tokyo: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39.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y.go.kr/ 

  40.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http://sjw.history.go.kr/ 

  41. Tongiorgi Tomasi, L.(2005) The origins, function and role of the botanical garden in sixteenth- and seventeenth-century Italy.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25(2): 103-115. 

  42. Won, J. Y.(1999). Joseon's perception of Russia and the theory of the open door in the 19th century. Korean Culture 23: 185-220. 

  43. Woo, D. S.(2001) A study on Park Young-Hyo's thought about city and architec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7(7): 135-142. 

  44. Woo, D. S.(2012) A study on Yu Gil-Jun's thought about architecture and city in his Seoyugyeonmun: In comparison with Fukuzawa Yukichi's Seiyojijo.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7): 215-224. 

  45. Woo, Y. J. and J. H. Pae(2011) Korean perspectives on parks during the port opening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6): 76-85. 

  46. Yumoto, K.(1996) Zusetsu Meiji Jibutsu Kigen Jiten. Suyu Nomo, trans. Seoul: Greenbee,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