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3종 화분포자류(花粉胞子類) 한약재(송화분(松花粉), 포황(蒲黃), 해금사(海金沙))의 미세형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external micro-morphology of 3 kinds of minute pollen and spore Herbs (Pini Pollen, Typhae Pollen, Lygodii Spora) utiliz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5 no.1, 2020년, pp.9 - 18  

김영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송준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  최고야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  이금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주영승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e tri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genuine by discriminating 3 kinds of pollen and spore herbs that are highly to be mixed with each other. Using a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e prepare a standard for discriminating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minute herbs, thereby contrib...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사전자현미경 상의 구분이 필요한 3종 花粉胞子類 미세한약재(松花粉, 蒲黃, 海金沙)의 형태학적 규격을 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이에 사용된 연구자료의 list는 다음과 같다(Table 1). 자연상태에서의 채취 및 동정을 거치고, 유통시장에서 3종 한약재의 이름으로 유통되는 품목을 수집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주사전자현미경을 활용해야만 형태학적 감별이 가능한 3종 花粉胞子類 미세한약재를 대상으로 하여 그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며, 기존 외부형태감별의 취약점을 보강하여 보다 정확한 시각적·분류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실제적으로 동일 한약재 품목의 기원식물이 3종인 松花粉과 2종인 蒲黃의 경우, 약용 부위인 花粉 수준에서는 種에 따른 크기의 미미한 차이를 제외하고는 구분의 의미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광의의 3종 花粉胞子類 미세한약재의 정확한 약재 형태 설정을 기획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광학현미경 수준을 포함한 관능 상태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수준으로 나누어 관찰 내용을 구분하였다.

가설 설정

  • 2. 잎의 너비가 0.5~1cm이며 花粉이 유합하지 않는다. ------- 부들 Typha orientali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정서1-3)에 기록된 松花粉 기원식물은 무엇인가? 공정서1-3)에 기록된 松花粉 기원식물은 소나무 Pinus densifloraKHP)를 비롯하여 곰솔(馬尾松) P. massonianaChP)또는 유송(油松) P. tabuliformisChP)으로서, 이들 사이에서의 식물감별에 필요한 특이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五官에 의한 관능감별의 단점은 무엇인가? 보다 효율성이 높은 한약재를 찾고자 하는 의지는 자연스럽게 한약재 감별의 필요성을 수반하며, 다양한 감별법이 응용되어왔다. 많은 감별법 중 1차적으로 선택되어 중요위치를 점하고 있는 五官에 의한 관능감별의 경우, 높은 효율성에도 불구하고 감각적인 감별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진품과 위품, 상등품과 하등품의 논란이 끊임없이 대두되는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Fourth editi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otification No. 2017-11. 2017;252-3, 419-20, 434-5. 

  2. Chinese Pharmacopoeia Commission. Pharmacopoei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5 edition. Beijing: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15;206, 294, 353-4. 

  3.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efining Dictionary for Medicinal Herbs [Korean, 'Hanyak Giwon Sajeon']. Accessed on Oct, 9, 2019. from http://boncho.kiom.re.kr/codex/. 

  4. Dept. of Herbology, College of Korean Medicine of Woosuk University. Ungok's general review on the origin and habitat of medicinal materials.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2009. 

  5.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orean Medicinal Materials vol 3. Daeje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17;342-5. 

  6. Kim JH, Lee KS, Choi GY, Kim YS :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t species of medicinal herbs used as Jeonho (Qianhu) using morphological appearance and chromatographic fingerprint. Kor. J. Herbology. 2012;27(3):15-21. 

  7. Kim YS, Ju YS.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minut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2) -Alli Tuberosi Semen*Alli Fistulosi Semen, Malvae Semen.Abutili Semen, Plantaginis Semen*Schizonepetae Semen. Kor. J. Herbology. 2016;34(4):61-9. 

  8. Chen G. Ben cao gang mu tong shi [General explanation of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Beijing: Xue yuan chu ban she, 1992:918-9, 1157-9, 1569. 

  9. Song J.H., Moon H.K., Oak M.K., Hong S.P. Phylogenetic evaluation of pollen and orbicule morphology in Rosaceae tribe Neillieae (subfamily Amygdaloideae). Bot. J. Linn. Soc. 2017;183:439-53. 

  10. Erdtman G. Pollen morphology and Plant Taxonomy. Angiosperm (An Introduction to Palynology I). New York: Hafner Publishing Company. 1972. 

  11. Punt W, Hoen PP, Blackmore S, Nilsson S, Le Thomas A. Glossary of pollen and spore terminology. Rev. Palaeobot. Palynol. 2007;143:1-81. 

  12. Lee S.T. Systematic signification of the pollen morphology. Korean J. Pl. Taxon. 1978;8:59-68. 

  13. Chang N.K. Illustrated Flora & Fauna of Korea. Vol. 29. Pollens. Seoul: the Ministry of Education, 1986. 

  14. Editorial Board of Zhong Hua Ben Cao. Zhong Hua Ben Cao. Shanghai: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99;2:443-4,764, 8:542. 

  15. Editorial Committee of Flora of China. Flora of China. Beijing: Science Press Beijing. 1959;2:113-4, 1978;7:239-41, 251-2, 263-6, 1992;8:3-6. 

  16. Zai XM. The Chinese Material Medica (ZhongGuo Yao Cai Xue). Taipei: Qiye Press. 1987:306-7, 752, 811-3, 1137-8. 

  17.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Zhong Yao Da Ci Dian [Dictionary of Chinese Materia Medica. Taipei Shi : Xinwen Feng Publishing Company. 1982:1946, 1953, 2734, 2924, 4568. 

  18. Ren RN. Identification study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Shanghai:Shanghai Science & Technology Publishers. 1988:336, 359-61, 540-1. 

  19. Yang SC. Zhongyao jianbie jingyao. Zhengzhou Shi: Henan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2006:97, 102, 192. 

  20. Xiao PG. New Chinese Medicine Chi (Volume 2). Beijing: Chemical Industry Press. 2002;2:730-1, 807-14, 3:952-3. 

  21. Ju YS. Ungok's illustrated guide to medicinal materials. Jeonju: Woosuk Press. 2017:616, 632. 

  22. Zhao DW. Chinese Medicinal Materials Illustration for Morphology, Histology and Powder. Beijing: Medical Science Publishing House. 1999:288-9, 421, 517. 

  23. Zhang GJ. The Modern Practical Chinese identification techniques. Beijing: People's Health Publishing House. 2000:431-2, 840-1, 653-4. 

  24. Wang ME, Pei HR. TCM character identification training materials. Beij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ess. 2008:169. 

  25.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herbal medicine discriminate Book. Daejeon: Homi Publisher. 2009:374-5, 892-3. 

  2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Guideline on the Visual and Organoleptic Examination of Herbal Medicine. Chungbuk: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0:361, 628, 649. 

  27. Chen SL, Lin YL. Zhongyao yinpian biaozhuntujian. Fuzhou: Fujian Science & Technology Publishing House. 2013:368, 533, 630-1. 

  28. Committee on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of Department of Health. The Quality control of Chinese Medicine Materials - The Assessments of Production. Taipei: Committee on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of Department of Health. 1999: 145-6, 487-8. 

  29.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Herbology [Boncho-hak]. Seoul: Young-Lim Press. 2016:441-2, 359-60, 729. 

  30. Lou ZC, Li SH. Chinese herbal traits and microscopic identification method. Beijing: Peking University Health Science. 1997:130-132. 

  31. Song U., Park J., Song M. Pollen morphology of Pinus (Pinaceae) in northeast China.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2012;8:179-186. 

  32. Halbritter H., Buchner R.. Pinus densiflora. In: PalDat (2016-12-16) - a palynological database. Accessed on Sep, 25, 2019. from https://paldat.testsys.info/pub/Pinus_densiflora/302840. 

  33. Gosling W.D., Miller C.S., Livingstone D.A.. Atlas of the tropical West African pollen flora. Rev. Palaeobot. Palynol. 2013;199:1-135. 

  34. Halbritter H. Typha minima. In: PalDat (2016-11-29) - a palynological database. Accessed on Sep, 25, 2019. from https://paldat.testsys.info/pub/Typha_minima/302546. 

  35. Labiak P.H., Mickel J.T., Hanks J.G. Molecular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of Anemiaceae (Schizaeales). Taxon. 2015;64(6):1141-58. 

  36. 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National Plant Germplasm System. 2019.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Taxonomy). National Germplasm Resources Laboratory, Beltsville, Maryland. Accessed on Sep, 28, 2019. from https://npgsweb.ars-grin.gov/gringlobal/taxonomydetail.aspx?id4034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