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병원 환경에서의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a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Protocol in a Medical Setting for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1, 2020년, pp.24 - 44  

김선호 (원주 영광 병원) ,  김정란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한아름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종배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임상 적용에 있어 효율적 적용이 가능한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을 위해 작업기반 중재의 활동 선정과 양측성 상지훈련의 주요 전략을 기본으로 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의 절차는 총 3단계의 연구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첫 단계는 개방형 설문 개발 단계로 문헌고찰을 통해 1차 초안을 마련하고 초안을 바탕으로 한 예비연구를 통해 개방형 질문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델파이 조사로, 개방형 델파이 설문을 통해 얻은 전문가들의 응답을 바탕으로 훈련 프로토콜로서의 적절성을 리커트 5점 척도로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평균 및 표준편차, 안정도, 수렴도, 합의도, 내용 타당도 비율 분석을 통해 항목의 수정 및 삭제 등의 과정을 거쳐 항목을 도출하여 재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프로토콜의 완성 단계로 연구자 간 토의를 거쳐 최종 도출된 프로토콜 내용에 대하여 재 조직화를 통해 병원 기반의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을 완성하였다. 결과 : 작업 기반 중재 선정 영역에서 3영역, 9항목, 양측성 상지 훈련 영역에서 4영역, 81항목의 프로토콜이 완성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병원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작업 기반 활동을 중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업치료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한 근거 기반의 방법을 제시하며, 양측성 상지 훈련 또한 구체적인 방법 제시를 통해 임상에서의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o develop an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protocol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a medical setting Methods : The research process using the delphi technique was carried out in 3 stages. The first stage was an open questionnaire development stage, The first dr...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양적인 방법에 따른 측정으로는 쉽게 결정될 수 없는 정책이나 사회적 이슈에 대해 전문가 집단의 의견과 판단을 추출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합의를 도출해내는 기법이다(Lee & Moon, 2016). 따라서 병원 기반의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훈련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 타당성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델파이 기법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델파이 조사 대상자는 전문적 견해와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자들로 작업치료 임상 경력 3년 이상으로 석사 학위 이상 인 자, 임상 경력 10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작업치료 관련 박사학위 이상 인 자, 작업치료에서 뇌졸중 상지 재활과 작업 기반 관련 강의와 연구의 경험이 있는 자들로 선정하여, 판단 표본 추출법에 따라 총 25명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등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 병원 환경에서의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한 프로토콜은 작업치료사가 병원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작업 기반 활동을 선정하는 방법과 양측성 상지 훈련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 본 연구는 임상적용에 있어 효율적 적용이 가능한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을 위해 작업기반중재의 활동 선정과 양측성 상지훈련의 주요 전략을 기본으로 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연구의 절차는 총 3단계의 연구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작업 기반 중재 선정 영역에서 3영역, 9항목, 양측성 상지 훈련 영역에서 4영역, 81항목의 프로토콜이 완성되었다.
  • 뇌졸중 환자들은 환측을 움직임이 어렵기 때문에 보상작용으로써 건측만을 과하게 사용하여 과제를 수행하거나, 환측의 빠른 회복을 의식하여 환측 만을 사용할 수 있다(McCombe Waller & Whitall, 2008). 본연구에서는 한쪽 상지 만 사용하려고 할 때의 대응방법 3항목에 외에 적절한 교육 내용을 연구자 간 토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추가하였다. 이는 뇌졸중 환자들은 감정기복이 심하기 때문에 치료사의 지시에 따르기가 쉽지 않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환자들이 쉽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치료적 근거를 바탕으로 설명 하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등의 문제점 개선을 위해 병원 환경에서의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한 프로토콜은 작업치료사가 병원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작업 기반 활동을 선정하는 방법과 양측성 상지 훈련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방형 설문과 반 구조화된 형태의 1-3차 델파이 조사를 거쳐 도출된 9영역, 216항목 중에서 항목 적합도 기준에 미달하거나 내용이 중복되는 122개의 항목을 삭제 하고 최종적으로 9개 영역으로 구분되는 94개의 항목을 추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기반의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에 대한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훈련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 타당성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델파이 기법을 시행하여, 병원 환경에서 효율적 적용이 가능한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을 위해 작업 기반 중재의 활동 선정과 양측성 상지훈련의 주요 전략을 기본으로 한 프로토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운동 학습(motor learning)은 연습을 통해 숙련된 움직임이나 과제의 연구적인 획득, 보존을 포함 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는데, 직접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운동 수행을 관찰하고 분석으로 측정하게 되며(Dromerick, Edwards, & Hahn, 2000), 이때 뇌 신경재 가소성의 발현과 운동 수행의 개선은 최소 4주가 지나야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ong & Newell, 2006). 이와 같은 근거로 4주간, 주 5회, 회기 당 30분이 적절하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에서의 작업이란? 작업치료에서의 작업은 자신에게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는 일상생활활동, 여가 및 사회적 참여 등을 포함하는 모든 활동을 말하며(Crisstiansen & Matusta, 2004; Fisher, 2013), 이러한 활동에 환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치료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작업 기반 중재 (occupation-based intervention)라 할 수가 있다(Fisher, 2013). 작업기반 중재는 실제 상황에서의 과제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Cohen & Schemm, 2007), 적극적인 참여와 동기부여를 유도하여 수행능력을 증진시켜(Harris & Eng, 2004), 일상생활의 독립적 수준, 상지 기능(Haslam & Beaulieu, 2007), 삶의 질(Shinohara, Yamada, Kobayashi, & Forsyth, 2012), 대뇌 피질의 활성화를 통한 전반적인 뇌졸중 회복 정도(Skubik-Peplaski, Carrico, Nichols, Chelette, & Sawaki, 2012) 등의 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하고 있다.
양측성 상지 훈련을 통해 몸에서 일어나는 긍정적 변화는 무엇인가? , 2014). 양측성 상지 훈련은 대뇌 반구 간 전이와 환측과 건측의 피질영역을 활성화시키는 신경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며(Stinear, Petoe, Anwar, Barber, & Byblow, 2014), 근위부 팔 기능 개선(Stoykov, Lewis, & Corcos, 2009), 손의 기민성과 손목의 근육 수축 반응 속도 개선(Cauraugh, Coombes, Lodha, Naik, & Summers, 2009), 과제 수행속도 개선과 대뇌피질의 활성화에서 효과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Summers et al., 2007).
작업 기반 중재에서 자연스럽게 협응된 두 손의 참여가 중요한 이유는? 작업 기반 중재에서 사용되는 작업은 자연스럽게 협응된 두 손의 참여가 요구된다(Rose & Winstein, 2004). 기본적인 일상생활, 수단적 일상생활, 그 외에 교육, 여가, 사회활동 등 대부분 작업영역에서 양측 상지를 사용하는 것이 독립적인 수행 및 참여를 높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할 수 있다(McCombe Waller & Whitall, 2008; Wolf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7).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1-48. doi:10.5014/ajot. 2014.682006 

  2. Carpenter, L., Baker, G. A., & Tyldesley, B. (2001). The use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s an outcome of a pain management program.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16-22. doi: 10.1177/000841740106800102 

  3. Cauraugh, J. H., Coombes, S. A., Lodha, N., Naik, S. K., & Summers, J. J. (2009). Upper extremity improvements in chronic stroke: Coupled bilateral load training.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7(1), 17-25. doi: 10.3233/RNN-2009-0455 

  4. Cauraugh, J. H., Lodha, N., Naik, S. K., & Summers, J. J. (2016). Bilateral movement training and stroke motor recovery progress: A structured review and meta-analysis. Human Movement Science, 229(5), 853-870. doi: 10.1016/j.humov.2009.09.004 

  5. Charles, J., & Gordon, A. M. (2006). Development of hand-arm bimanual intensive training(HABIT) for improving bimanual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8(1), 931-936. doi:10.1017/S0012162206002039 

  6. Christiansen, C. H., & Matuska, K. M. (2004). The importance of everyday activities. In C. H. Christiansen & K. M. Matuska(Eds.), Way of living : Adaptive strategies for special needs(3rd ed., pp.1-20). Bethesda, MD: AOTA Press. 

  7. Cohen, M. E., & Schemm, R. W. (2007). Cli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21(3), 1-15. doi:10.1080/J003v21n03_01 

  8. Fisher, A. G. (2013). Occupation-centered, occupation-based, occupation-focused: Same, same or different?.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3), 162-173. doi:10.3109/11038128.2012.754492 

  9. Harris, J. E., & Eng, J. J. (2004). Goal priorities identified through client-centered measurement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Physiotherapy Canadian, 56(3), 171-176. doi:10.2310/6640.2004.00017 

  10. Haslam, T., & Beaulieu, K. (2007). A comparison of the evidence of two interventions for self-care with strok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apy and Rehabilitation, 14(3), 118-127. doi:10.12968/ijtr.2007.14.3.23525 

  11. Hong, S. L., & Newell, K. M. (2006). Change in the organization of degrees of freedom with learning. Journal of Motor Behavior, 38(2), 88-100. doi: 10.3200/JMBR.38.2.88-100 

  12. Kim, S. H., & Park, J. H. (2017).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for chronic stroke: Pilot study.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6(2), 47-58. doi:10.22683/tsnr.2017.6.2.047 

  13. Langhorne, P., & Pollock, A. (2002). What are the components of effective stroke unit care? Age and Ageing, 31(5), 365-371. doi:10.1093/ageing/31.5.365 

  14.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5. Lin, K. C., Chen, Y. A., Chen, C. L., Wu, C. Y., & Chang, Y. F. (2010). The Effects of bilateral arm training on motor control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ed study.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4(1), 42-51. doi:10.1177/1545968309345268 

  16. Lim, E. A., Son, K. C., & Kam, J. K. (2012). Development of elements of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indices( HTEI) through delphi method.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0(3), 308-324. doi:10.7235/hort.2012.12037 

  17. Lee, H. S., Chang, K. Y., Jung, M. Y., Ku, I. S., & Woo, H. S. (2014). Job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ists for 2013.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2), 89-112. 

  18. Lee, H. Y., Moon, Y. P. (2016). A delphi analysis of enhancement plan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coverage.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32(2), 219-243. 

  19. McCombe Waller, S., & Whitall, J. (2008). Bilateral arm training: Why and who benefits? NeuroRehabilitation, 23(1), 29-41. 

  20. Roberts, P. S., Vegher, J. A., Gilewski, M., Bender, A., & Riggs, R. V. (2005)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using constraint-induced therap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14(3), 115-121. doi: 10.1016/j.jstrokecerebrovasdis.2005.01.002 

  21. Rogers, S. L. (2007).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in medical settings. OT Practice, 12(15), 10-16. 

  22. Rose, D. K., & Winstein, C. J. (2004). Bimanual training after stroke: Are two hands better than on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1(4), 20-30. doi: 10.1310/NCB1-JWAA-09QE-7TXB 

  23. Rowe, G., Wright, G., & Bolger, F. (1991). Delphi: A reevaluation of research and theory. Technological For Ecasting and Social Change, 39(3), 235-251. doi:10.1016/0040-1625(91)90039-I 

  24. Shinohara, K., Yamada, T., Kobayashi, N., & Forsyth, K. (2012).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stroke: A randomised trial. Hong Kong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2(2), 60-69. doi:10.1016/j.hkjot.2012.09.001 

  25. Skubik-Peplaski, C., Carrico, C., Nichols, L., Chelette, K., & Sawaki, L. (2012). Brief report-behavioral, neurophysiological, and descriptive changes after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6), 107-113. doi:10.5014/ ajot.2012.003590 

  26. Stinear, C. M., Petoe, M. A., Anwar, S., Barber, P. A., & Byblow, W. D. (2014). Bilateral priming accelerates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45(1), 205-210. doi: 10.1161/STROKEAHA.113.003537 

  27. Stoykov, M. E., Lewis, G. N., & Corcos, D. M. (2009). Comparison of bilateral and unilateral training for upper extremity hemiparesis in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3(9), 945-953. doi: 10.1177/1545968309338190 

  28. Summers, J. J., Kagerer, F. A., Garry, M. I., Hiraga, C. Y., Loftus, A., & Cauraugh, J. H. (2007).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252(1), 76-82. doi:10.1016/j.jns.2006.10.011 

  29. Tomori, K., Nagayama, H., Ohno, K., Nagatani, R., Saito, Y., Takahashi, K., ... Higashi, T. (2015). Comparison of occupation-based and impairment-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feasibility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29(8), 752-762. doi: 10.1177/0269215514555876 

  30. Wolf, A., Scheiderer, R., Napolitan, N., Belden, C., Shaub, L., & Whitford, M. (2014). Efficacy and task structure of bimanual training post stroke: A systematic review.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21(3), 181-196. doi: 10.1310/tsr2103-181 

  31. Yun, Y. S., Chang, K. Y., Won, S. Y., & Woo, H. S. (2014). Neuroscience-based action-obsevation during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4), 1-13. doi:10.14519/jksot.2014.22.4.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