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520 - 530  

김선호 (영광 재활 병원 작업치료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과 경두개 직류전류자극을 실시한 실험군 13명,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만 실시한 대조군 13명으로 나누어 총 4주간, 50분씩, 주 5회 실시하였으며,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가속도계 (Accelerometer), 퍼글 마이어 검사(Fugle-Meyer Assessment;FMA), 운동 홛동 척도(Motor Activity Log;MAL)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작업 만족도와 수행도, 환측과 건측의 사용량, 상지 기능의 회복과 움직임의 질에서 모두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 특히, 환측 사용량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과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의 결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an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study group was divided into 13 experimental groups with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이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을 실시하기 전 tDCS를 적용한 그룹과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만 실시한 그룹과의 손상 측 상지의 회복에 대한 효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 tDCS는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의 상지 기능 개선에 대한 효과를 촉진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무작위 위약 대조군 실험 연구 설계(randomized sham controlled experimental study design)이다. 대상자들은 차례대로 번호가 매겨진 봉투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무작위 할당되어 tDCS와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를 시행하는 실험군 13명과 sham-tDCS와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을 시행하는 대조군 13명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병원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을 중재로 사용했다는 점과 그 효과의 증대를 위해 tDCS를 결합하여 적용하여, 임상에서 새로운 효율적인 중재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전 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뇌졸중 재활 관련 이전 연구들은 과제 지향적 훈련이나 목표 지향적 훈련보다는 고객 요구가 포함되는 작업 기반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환경적 조건 등의 제한으로 하위 상향식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8].
  • 본 연구에서는 병원환경에서의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에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적용하였을 때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작업수행에 대한 만족도와 상지 기능개선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의 결합 중재를 통해 그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또한, 기존의 연구들은 발병 이전의 상황과 같은 조건에서의 수행을 중요시하는 가정 및 지역 사회 기반의 작업 기반 중재를 주로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병원 환경에서의 실행에 대해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9].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환경을 최대한 고려하여 주어진 환경 내에서 적용 가능한 활동을 선정하도록 하였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도구와 물품을 이용하여 병원 내 치료실 및 병실, 병원 내 기타 시설 등에서 진행했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작업의 양손 수행을 통해 최대한 발병 전 활동과 유사하게 진행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내었다. 또한, 추가적으로, 적용이 쉽고, 통증이나 불편감이 없으며, 비침습적 전기 자극으로 대뇌의 적용 부위의 흥분성변화를 유도하여 기능개선을 발생시키고, 다른 재활 훈련과 결합되어 그 효과를 증가 시킨다고 알려져 있는 tDCS를 적용하여,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만 실시한 대조군 보다 더 나은 효과를 보였던 점은 tDCS와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의 결합 중재가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발병 후 오랜 기간 생활하게 되는 병원환경에서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병원기반의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 프로토콜을 사용한 중재와 tDCS의 결합 중재를 통해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 기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 임상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 기반 중재는 어떤 효과를 보이는가? 작업 기반 중재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손 기능 개선을 통한 일상생활동작 수준과 대뇌피질의 활성화에 대한 증가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7][8], 양손 훈련 또한, 한손 훈련과 비교하여 대뇌피질의 활성도와 환측의 근수축 반응속도와 기민성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9][10]. Kim 과 Park[6]의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작업 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을 실시한 실험군과 양측성 상지 훈련만 실시한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환측의 사용량 증가와 기능 개선을 통한 활동 수행 능력에 대한 만족도의 개선에 대한 효과를 보고하였다.
작업 치료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들의 장기적으로 후유증을 경험하기 때문에 가정과 사회로의 복귀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데, 이들의 능력 향상을 유도하여 지역사회로의 복귀를 촉진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중재 방법인 작업 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필수요소라 할 수 있다[1]. 작업 치료에서의 작업은 복합적인 과제에 대하여 목적 지향적 수행을 하는 것으로 환자 본인에게 의미 있는 작업영역의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이러한 활동을 환자가 직접 선택하고 능동적 참여를 통해 치료로서 이용하는 것을 작업 기반 중재(occupation-based intervention)라 말할 수 있다[2].
tDCS의 결합 중재 훈련과정은 무엇에 국한되는가? 하지만, 이전 연구에서 tDCS와 결합되어 사용된 훈련은 상지 기능과 대뇌피질의 활성화 개선의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시간‧비용‧공간적 제한 및 환자의 안전성에 대한 측면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는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13]나 로봇 치료[12] 등으로 국한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실제 임상에서의 사용 효율성이 떨어지는 재활 훈련의 적용은 tDCS의 임상에서의 유용성에 대한 장점을 극대화시키기에는 제한이 생길 수 가 있기 때문에 임상 적용에 있어 효과적인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P. Langhorne and A. Pollock, "What are the components of effective stroke unit care?," Age and Ageing, Vol.31, No.5, pp.365-371, 2002. 

  2. A. G. Fisher, "Occupation-centered, occupation-based, occupation-focused: Same, same or different?,"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20, No.3 pp.162-173, 2013. 

  3. D. K. Rose and C. J. Winstein, "Bimanual training after stroke: are two hands better than on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Vol.11, No.4, pp.20-30, 2004. 

  4. S. H. Kim and J. H. Park, "The effect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er extremity training in a medical setting for stroke patients: A single- blinded,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Vol.28, No.12, p.104335, 2019. 

  5. A. Wolf, R. Scheiderer, N. Napolitan, C. Belden, L. Shaub, and M. Whitford, "Efficacy and task structure of bimanual training post stroke: a systematic review,"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Vol.21, No.3, pp.181-196, 2014. 

  6. C. M. Stinear, M. A. Petoe, S. Anwar, P. A. Barber, and W. D. Byblow, "Bilateral priming accelerates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Vol.45, No.1, pp.205-210, 2014. 

  7. K. Shinohara, T. Yamada, N. Kobayashi, and K. Forsyth,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stroke: A randomised trial," Hong Kong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22, No.2, pp.60-69, 2012. 

  8. C. Skubik-Peplaski, C. Carrico, L. Nichols, K. Chelette, and L. Sawaki, "Brief Report-Behavioral, neurophysio logical, and descriptive changes after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66, No.6, pp.e107-e113, 2012. 

  9. J. H. Cauraugh and J. J. Summers, "Neuralplasticity and bilateral movements: A rehabilitation approach for chronic stroke," Progress in Neurobiology, Vol.75, No.5, pp.309-320, 2005. 

  10. J. J. Summers, F. A. Kagerer, M. I. Garry, C. Y. Hiraga, A. Loftus, and J. H. Cauraugh,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Vol.252 No.1, pp.76-82, 2007. 

  11. W. R. Koo, B. H. Jang, and C. R. Kim, "Effects of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somatosensory recovery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Vol.97, No.7, pp.507-513, 2018. 

  12. S. Mazzoleni, V. D. Tran, P. Dario, and F. Posteraro,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combined with wrist robot-assisted rehabilitation on motor recover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27, No.7, pp.1458-1466, 2019 

  13. T. Takebayashi, K. Takahashi, M. Moriwaki, T. Sakamoto, and K. Domen,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Deficit after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ombined with and without Preconditioning Stimulation Using Dual-hemispher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Peripheral Neuromuscular Stimul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rontiers in Neurology, Vol.8 No.568, pp.1-8, 2017. 

  14. V. Giacobbe, H. I, Krebs, B. T,Volpe, A. Pascual-Leone, A. Rykman, G. Zeiarati, F. Fregni, L. Dipietro, G. W. Thickbroom, and D. J. Edward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and robotic practice in chronic stroke: the dimension of timing," NeuroRehabilitation, Vol.33 No.1, pp.49-56, 2013 

  15. S. H. Ki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protocol for stroke patients, Yonsei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8. 

  16. J. H. Park and Y. C. Kwun,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uchiatric Association, Vol.28, No.1, pp.125-135, 1989. 

  17. S. Brunnstrom,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a: A neurophysiological approach(1st. ed.), NY: Harper & Row, 1970. 

  18. I. Kjeken, H. Dagfinrud, T. Uhlig, P. Mowinckel, T. K. Kvien, and A. Finset, "Reliabil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in patients with an kylosing spondylitis," Journal of Rheumatology, Vol.32, No.8, pp.1503-1509, 2005. 

  19. E. H, Cup, W. J, Scholte op Reimer, M. C, Thijssen, and M. A, van Kuyk-Mini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in Stroke Patients," Clinical Rehabilitation. Vol.17, No.4, pp.402-409, 2003. 

  20. M. Noorkoiv, H. Rodgers, and C. I. Price, "Accelerometer measurement of upper extremity movement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studie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Vol.11, No.1, pp.144-154, 2014. 

  21. A. R. Fugl-Meyer, L. Jaasko, I. Leyman, S. Olsson, and S. Steglind "The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 1. a method for evaluation of physical performance,"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7, No.1, pp.13-31, 1975. 

  22. S. J. Page, G. D. Fulk, and P. Boyne,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s for the upper-extremity Fugl-Meyer Scale in people with minimal to moderate impairment due to chronic stroke," Physical Therapy, Vol.92, No.6, pp.791-798. 2012. 

  23. E. Taub, N. E. Miller, T. A. Novack, E. W. 3rd Cook, W. C. Fleming, C. S. Nepomuceno, J. S. Connell, and J. E. Crago, "Technique to improve chronic motor deficit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74, No.4, pp.347-354, 1993. 

  24. G. Uswatte, E. Taub, D. Morris, M. Vignolo, and K. McCulloc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upper-extremity Motor Activity Log-14 for measuring real-world arm use," Stroke, Vol.36, No.11, pp.2493-2496, 2005. 

  25. J. R. Siegert and J. W. Taylor, "Theoretical aspects of goal-setting and motivation in rehabilit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26, No.1, pp.1-8, 2004. 

  26. J. H. Cauraugh, S. A. Coombes, N. Lodha, S. K. Naik, and J. J. Summers, "Upper extremity improvements in chronic stroke: coupled bilateral load training,"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Vol.27, No.1, pp.17-25, 2009. 

  27. W. Paulus,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Supplements to Clinical Neurophysiology, Vol.56, pp.249-254, 2003. 

  28. M. A. Nitsche, P. S. Boggio, F. Fregni, and A. Pascual-Leone, "Treatment of depression wit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a review," Experimental Neurology, Vol.219, No.1, pp.14-19, 2009. 

  29. H. I. Kuo, M. Bikson, A. Datta, P. Minhas, W. Paulus, M. F. Kuo, and M. A. Nitsche, "Comparing cortical plasticity induced by conventional and high definition 4 $\times$ 1 ring tDCS: a neurophysiological study." Brain Stimulation, Vol.6, No.4, pp.644-648, 2013. 

  30. J. Stollberg, "Synapse elimination, the size principle, and Hebbian synapses," Journal of neurobiology, Vol.26, No.2, pp.273-282, 1995. 

  31. H. J. Schunemann and G. H. Guyatt, "Commentary-Goodbye M(C)ID! Hello MID, Where Do You Come From?," Health Services Research, Vol.40, No.2, pp.593-597, 2005. 

  32. A. Wright, J. Hannon, E. J. Hegedus, and A. E. Kavchak, "Clinimetrics corner: a closer look at the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MCID)," The Journal of Manual & Manipulative Therapy, Vol.20, No.3, pp.160-166. 2012. 

  33. M. E. Cohen and R. W. Schemm, "Cli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Vol.21, No.3, pp.1-15, 2007. 

  34. L. B. Green, "Assessment of habitual physical activity and paretic arm mobility among stroke survivors by accelerometry,"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Vol.14, No.6, pp.9-21, 2007. 

  35. G. Uswatte, E. Taub, D. Morris, K. Light, and P. A. Thompson, "The motor activity log-28: Assessing daily use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Neurology, Vol.67, No.7, pp.1189-1194, 200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