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Skills on Driving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1, 2020년, pp.45 - 55  

곽호성 (우송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운전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시지각 훈련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14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서울시 소재 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MVPT(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MT A&B(Trail Making Test A & B), UFOV(Useful Field Of View test)를 사용하여 시지각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상현실 운전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수행능력을 검사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은 다양한 시지각 능력 평가도구와 관련성이 있었으며, UFOV 하위검사 2, TMT B, MVPT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시지각 능력 평가결과는 운전시뮬레이터 평가결과(합격/불합격)를 민감도 100.0%, 특이도 80.0%, 정확도 89.5%로 판별할 수 있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에 있어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능력과 매우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운전 재활 분야에서 시지각 능력과 관련된 운전재활 및 운전수행능력 평가를 시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on driving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visual training for improving driving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The evaluations, using MVPT(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TMT A&B(Trail M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 수준과 운전수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시지각 능력에 따른 운전수행의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시지 각 능력의 하위요소와 운전수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운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 수준과 운전수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시지각 능력에 따른 운전수행의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시지 각 능력의 하위요소와 운전수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운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운전수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운전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 각 능력의 하위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에 있어 다양한 시지각 능력 평가도구에서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시지각 능력이 운전수행과 매우 높은 관령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가상현실 운전시뮬레이터는 프랑스 Eca-Faros에서 개발한 Ultracar 시스템을 사용하였다(Figure 2). 본 연구에서는 안면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실제 국내 운전면허시험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로 주행시험의 시험항목 및 채점표를 기준으로 평가용 운전시뮬레이터 프로그램 항목을 재구성하였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26에 제시된 도로주행시험의 시험 항목은 12가지 평가항목(출발 전 확인, 운전자세, 출발, 가속 및 속도 유지, 제동, 조향, 차체감각, 통행구분, 진로변경, 직진 및 좌·우회전, 주차방법, 기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12가지 평가항목을 평가할 수 있는 운전시뮬레이터 프로그램 중 중급과정(연습 주행 및 평가)을 선택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전은 무엇인가? 운전은 독립적인 이동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과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강화시켜주는 활동으로 직업, 건강관리 및 사회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삶의 질 및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활동이다(Richard & Robert, 1990; Lim, Park, & Choi, 2011). 이러한 운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통환경 및 새로운 정보와 위험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하며, 안전 및 교통 법규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상호 인지 과정이 필요하다(Thomas et al.
안전한 운전수행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Simms(1985)에 의하면 안전한 운전수행을 하기 위해서는 복합적인 시각 처리 기술이 필요하며, 운전과 같은 복잡한 과제를 수행할 때 운전자는 운전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약 90%를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정보를 받아들이는 시각에는 중심시야(Focal or Central vision)와 주변시야(Ambient or Peripheral vision)로 나뉘며, 각각의 시야는 상호연관성을 가지고 있다(Schneider, 1967).
MVPT(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의 시지각 기능 평가 이외에 또 어디에 사용되는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운전수행에 관련하여 사용된 시지각 평가도구 중 MVPT(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시지각 기능을 검사 할 때 자주 사용되는 평가도구이다. 또한, 운전능력을 평가 시에도 자주 사용되는 평가도구로 Mazer, Korner-Bitensky와 Sofer(1998)의 연구에서 MVPT와 실제 도로주행 평가를 함께 수행했을 때 시지 각 기능이 감소된 뇌졸중 환자의 도로상 운전수행능력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Mazer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명묘희. (2003). 장애인 운전면허제도 개선 기본방향. 장애인 운전면허제도 개선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 자료집. 서울: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 법제처. (2014).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서울: 법제처 

  3. Ball, K. K., Beard, B. L., Roenker, D. L., Miller, R. L., & Griggs, D. S. (1988). Age and visual search: Expanding the useful field of view.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5, 2210-2219. 

  4. Ball, K., & Owsley, C. (1993). The useful field of view test: A new technique for evaluating age-related declines in visual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Optometric Association, 63(1), 71-79. 

  5. Bouska, M. J., & Kwatny, E. (1983). Manual for application of the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to the adult population. Philadelphia, PA: Academic Therapy Publication. 

  6. Classen, S., Horgas, A., Awadzi, K., Messinger-Rapport, B., Shechtman, O., & Joo, Y. (2008). Clinical predictors of older driver performance on a standardized road test. Traffic Injury Prevention, 9(5), 456-462, doi:10.1080/15389580802260026 

  7. Fisk, G. D., Owsley, C., & Mennemeier, M. (2002). Vision, attention, and self-reported driving behaviors in community-dwelling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4), 469-477. doi:10.1053/apmr.2002.31179 

  8. George, S., & Crotty, M. (2010). Establishing criterion validity of the useful field of view assessment and stroke drivers' screening assessment: Comparison to the result of onroad assessmen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 114-122. doi:10.5014/ajot.64.1.114 

  9. Hills, B. L. (1980). Vision, visibility, and perception in driving. Perception, 9, 183-216. 

  10. Korner-Bitensky, N. A., Mazer, B. L., Sofer, S., Gelina, I., Meyer, M. B., Morrison, C., ... White, M. (2000). Visual testing for readiness to drive after stroke: A multicenter study. American Journal Physical Mededicine & Rehabilitation, 79(3), 253-259.doi:10.1097/00002060-200005000-00007 

  11. Lezak, M. D. (1995).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3r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2. Lim, M. H., Park, S. W., & Choi, E. S. (2011). Assessment for driving of people with brain injury -Application of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CPA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4), 41-50. 

  13. Marshall, S. C., Molnar, F., Man-Son-Hing, M., Blair, R., Brosseau, L., Finestone, H. M., ... Wilson, K. G. (2007). Predictors of driving ability following stroke: A systematic review.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4(1), 98-114. doi: 10.1310/tsr1401-98 

  14. Mazer, B. L., Korner-Bitensky, N. A., & Sofer, S. (1998). Predicting ability to drive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9(7), 743-750. doi:10.1016/S0003-9993(98)90350-1 

  15. Mazer, B. L., Sofer, S., Korner-Bitensky, N. A., & Gelinas, I. (2001). Use of the UFOV to evaluate and retrain visual attention skills in clients with stroke: A pilot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5(5), 552-557. doi:10.5014/ajot.55.5.552 

  16. Novack, T. A., Banos, J. H., Alderson, A. L., Schneider, J. J., Weed, W., Blankenship, J., ... Salisbury, D. (2006). UFOV performance and driving ability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Brain Injury, 20(5), 455-461. doi: 10.1080/02699050600664541 

  17. Owsley, C., Ball, K., Mcgwin, G., Sloane, M. E., Roenker, D. L., White, M. F., & Overley, E. T. (1998). Visual processing impairment and risk of motor vehicle crash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9, 1083-1088. 

  18. Renee, S. M., Karlene, K. B., Thomas, D. K., David, L. R., & Kathryn, T. G. (2000) Relation of useful field of view and other screening tests to on-road driving performanc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1(1), 279-290. doi: 10.2466/pms.2000.91.1.279 

  19. Richard, T. K., & Robert, S. G. (1990). Driving safety after brain damage: Follow-up of twenty-two patients with matched control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1(2), 133-137. 

  20. Schneider, G. E. (1967). Contrasting visuomotor functions of tectum and cortex in the golden hamster. Psychologische Forschung, 31(1), 52-62. 

  21. Seo, E. H., Lee, D. Y., Kim, K. W., Lee, J. H., Jhoo, J. H., Youn, J. C., ... Woo, J. I. (2006). A normative study of the trail making test in Korean el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1(9), 844-852. doi: 10.1002/gps.1570 

  22. Simms, B. (1985). Perception and driving: Theory and practice.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8(12), 363-366. 

  23. Stacey, G., & Maria, C. (2010). Establishing criterion validity of the useful field of view assessment and stroke drivers' screening assessment: Comparison to the result of on-road assessment.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1), 114-122. doi:10.5014/ajot.64.1.114 

  24. Staplin, L., Lococo, K. H., Gish, K. W., & Decina, L. E. (2003). Model driver screening and evaluation program final technical report, volume II: Maryland pilot older driver study. Report no. DOT HS 809 583.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