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내 간호시술에 대한 간호사의 통증인식과 환자의 통증반응
Pain Perception of Nurses and Pain Expression of Patients in Critical Care Uni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4, 2014년, pp.437 - 445  

배경희 (부산대학교병원 간호부) ,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pain perception (P-PER) by nurses and pain expression (P-EXP) by patients in critical care units (ICUs) and degree of agreement between nurses' P-PER and patients' P-EXP. Methods: Nurses' P-PER was measur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mplet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잘못된 통증인식은 적절한 통증예방과 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감안하여 중환자실에서 시행되는 간호시술에 대해 간호사가 인식하는 통증수준과 환자가 표현하는 통증반응을 파악하고, 이들 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함으로써 간호사들이 환자의 통증에 대해 정확히 인식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정확한 통증사정과 함께 환자의 질환 및 처치에 따른 전문적이고 표준화된 통증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가 부족한 중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통증인식과 환자의 통증반응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환자의 통증반응을 9가지 시술에 국한하여 조사하였으므로 중환자실 내에서 시행되는 모든 시술로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시행하는 시술(이하 간호시술)을 선정하고, 이들 간호시술에 대해 간호사가 인식하는 통증수준과 환자가 표현하는 통증반응을 파악하고, 이들 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비교함으로써 간호사들이 환자의 통증수준을 얼마나 정확히 인식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서 시행되는 간호시술에 대한 간호사의 통증인식과 환자의 통증반응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중환자실에 입원중인 환자의 50% 이상에서[20-22], 그리고 기관 내 삽관 등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어려운 중환자의 70% 이상에서 통증을 경험하였다[23]는 보고 등을 감안할 때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통증은 시급히 관리되어야 하는 간호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환자에게 적절한 통증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얼마나 정확히 환자의 통증수준을 파악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에게 통증이 일으키는 영향은 무엇인가? 환자가 경험하는 통증은 주요한 스트레스원으로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5-7]. 통증은 부정맥, 빈맥, 서맥, 고혈압, 저혈압, 호흡장애[5]와 혈당조절장애[6]와 같은 생리적 문제를 초래하며, 지속적이고 완화되지 않은 통증은 수면장애의 원인이 되어[7],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료인은 환자가 경험하는 통증을 정확히 사정하여 인식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적절한 중재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통증이란 무엇인가? 통증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손상에 수반되어 나타나는 불유쾌한 감각적, 정서적 경험[1]으로, 의료기관에 입원중인 환자들은 여러가지 시술과 중재로 인해 이러한 통증에 쉽게 노출된다. 중심정맥관, 동맥관, 흉부관, 비위관 등의 삽입과 같은 침습성 시술[2]은 물론, 체위변경, 상처드레싱, 기관흡인[3,4]과 같은 중재로 인해 통증을 경험하게 된다.
의료기관에 입원중인 환자들이 통증에 노출되는 여러가지 시술과 중재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통증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손상에 수반되어 나타나는 불유쾌한 감각적, 정서적 경험[1]으로, 의료기관에 입원중인 환자들은 여러가지 시술과 중재로 인해 이러한 통증에 쉽게 노출된다. 중심정맥관, 동맥관, 흉부관, 비위관 등의 삽입과 같은 침습성 시술[2]은 물론, 체위변경, 상처드레싱, 기관흡인[3,4]과 같은 중재로 인해 통증을 경험하게 된다. 시술로 인한 통증수준은 연구와 시술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28개국 192개 성인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0점 만점에 흉부관 제거 5점, 상처배액관 제거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Subcommittee on Taxonomy. Pain terms: A list with definitions and notes on usage. Recommended by the IASP subcommittee on taxonomy. Pain. 1979;6(3):249-252. 

  2. Carbajal R, Rousset A, Danan C, Coquery S, Nolent P, Ducrocq S, et al. Epidemiology and treatment of painful procedures in neonates in intensive care units. JAMA :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8;300(1):60-70. http://dx.doi.org/10.1001/jama.300.1.60 

  3. Puntillo KA, Max A, Timsit JF, Vignoud L, Chanques G, Robleda G, et al. Determinants of procedural pain intensity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Europain^{(R)}$ stud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14;189(1):39-47. http://dx.doi.org/10.1164/rccm.201306-1174OC 

  4. Puntillo KA, White C, Morris AB, Perdue ST, Stanik-Hutt J, Thompson CL, et al. Patient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procedural pain: Results from thunder project II.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1; 10(4):238-251. 

  5. de Jong A, Molinari N, de Lattre S, Gniadek C, Carr J, Conseil M, et al. Decreasing severe pain and serious adverse events while moving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 prospective interventional study (the NURSE-DO project). Critical Care. 2013;17(2):R74. http://dx.doi.org/10.1186/cc12683 

  6. Greisen J, Juhl CB, Grofte T, Vilstrup H, Jensen TS, Schmitz O. Acute pain induces insulin resistance in humans. Anesthesiology. 2001;95(3): 578-584. 

  7. Alsaadi SM, McAuley JH, Hush JM, Lo S, Lin CW, Williams CM, et al. Poor sleep quality is strongly associated with subsequent pain intensity in patients with acute low back pain. Arthritis & Rheumatology. 2014;66(5):1388-1394. http://dx.doi.org/10.1002/art.38329 

  8. Courtenay M, Carey N. The impact and effectiveness of nurse-led care in the management of acute and chronic pai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15):2001-2013.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8.02361.x 

  9.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ain. 3rd ed. Toronto, CA: Author; 2013. 

  10. Hwang KH, Ryoo EN, Park KS. A study of th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pain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7;13(1):41-51. 

  11. Song SS, Park CS. Pain management knowledge and attitude of internal medicine and surgery strea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0;17(1):55-62. 

  12. Bergeron DA, Leduc G, Marchand S, Bourgault P. Descriptive study of the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 and documentation process in a university hospital. Pain Research & Management. 2011;16(2):81-86. 

  13. Puntillo K, Neighbor M, O'Neil N, Nixon R. Accuracy of emergency nurses in assessment of patients' pain. Pain Management Nursing. 2003;4(4):171-175. 

  14. Payen JF, Bru O, Bosson JL, Lagrasta A, Novel E, Deschaux I, et al. Assessing pain in critically ill sedated patients by using a behavioral pain scale. Critical Care Medicine. 2001;29(12):2258-2263. 

  15. Gelinas C, Fillion L, Puntillo KA, Viens C, Fortier M. Validation of the 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in adult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6;15(4):420-427. 

  16. Choi EH, Kim JH, Choi KO, Yoo JS, Kim MS, Kim PJ, et al. Development of a pain assessment tool for critically ill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1):136-148. 

  17. Choi EH, Kim JH, Ko MS, Kim JY, Kwon EO, Jang IS. Validation of critical care non-verbal pain scale for critically ill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2):245-254. 

  18. Gelinas C, Fortier M, Viens C, Fillion L, Puntillo K.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critically ill intubated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4;13(2):126-135. 

  19. Rose L, Haslam L, Dale C, Knechtel L, Fraser M, Pinto R, et al. Survey of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ain for critically ill adult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11;27(3):121-128. http://dx.doi.org/10.1016/j.iccn.2011.02.001 

  20. Chanques G, Jaber S, Barbotte E, Violet S, Sebbane M, Perrigault PF, et al. Impact of systematic evaluation of pain and agitation in an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Medicine. 2006;34(6):1691-1699. http://dx.doi.org/10.1097/01.ccm.0000218416.62457.56 

  21. Chanques G, Sebbane M, Barbotte E, Viel E, Eledjam JJ, Jaber S. A prospective study of pain at rest: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an unrecognized symptom in surgical and trauma versus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nesthesiology. 2007;107(5):858-860. http://dx.doi.org/10.1097/01.anes.0000287211.98642.51 

  22. Payen JF, Chanques G, Mantz J, Hercule C, Auriant I, Leguillou JL, et al. Current practices in sedation and analgesia for mechanically ventilated critically ill patients: A prospective multicenter patient-based study. Anesthesiology. 2007;106(4):687-695. http://dx.doi.org/10.1097/01.anes.0000264747.09017.da 

  23. Gelinas C. Management of pain in cardiac surgery ICU patients: Have we improved over tim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7;23(5):298-303. http://dx.doi.org/10.1016/j.iccn.2007.03.002 

  24. Kim DH, Kim C, Sohn KT, Jeong KM, Chung Y, Choi YS, et al. Statistics: Theory and application. Paju: Freeacademy; 2003. 

  25. Siffleet J, Young J, Nikoletti S, Shaw T. Patients' self-report of procedural pain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11): 2142-2148.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6.01840.x 

  26. Resnick S, Morrison RS. Physicians' perceptions of procedural pain and discomfort.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04;7(5):646-651. 

  27. Koeppen BM, Stanton BA. Berne & Levy physiology. 6th ed. Philadelphia, PA: Mosby; 2009. 

  28.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KOIHA evaluation criteria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Tertiary general hospital (Ver 2.0).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4. 

  29. Li KK, Harris K, Hadi S, Chow E. What should be the optimal cut points for mild, moderate, and severe pain?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07;10(6):1338-1346. http://dx.doi.org/10.1089/jpm.2007.0087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Pain relief ladder for cancer pain relief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cited 2014 July 28].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ancer/palliative/painladder/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