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 기상데이터와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한 토양수분 예측
Prediction of Soil Moisture with Open Source Weather Data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2 no.1, 2020년, pp.1 - 12  

장영빈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전공) ,  장익훈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전공) ,  최영찬 (서울대학교 농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수분은 농업에서 필수적인 자원으로 이의 변화와 부족을 예측함으로써 관리되어왔다. 최근 현장에서의 적용 용이성과 다양한 지역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이 뛰어난 통계 및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한 토양수분 예측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1) 국내 공공기상 데이터만으로 충분한 성능을 내는 토양수분 예측 모델을 만들 수 있는지, 2) 어떠한 기계학습 모델이 국내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와 토양환경에서 가장 높은 예측 성능을 보이는지, 3) 단일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해 다양한 지역에 적용 가능한지를 확인해보려 한다. 본 연구에서 Support Vector Machines (SVM), Random Forest (RF), Extremely Randomized Trees (ET), Gradient Boosting Machines (GBM), and Deep Feedforward Network (DFN) 알고리즘과 종관기상관측 자료, 농업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안동, 보성, 철원, 순천 지역의 토양 수분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그 결과, GBM을 이용한 모델이 R2 : 0.96, Root Mean Squared Error(RMSE) : 1.8로 가장 낮은 예측 오차를 보였다. 또한 GBM을 사용한 모델이 가장 낮은 지역간 예측 오차 분산을 보여 가장 일반화하기에 적절한 모델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ne of the essential resources in the agricultural process, soil moisture has been carefully managed by predicting future changes and deficits. In recent years, statistics and machine learning based approach to predict soil moisture has been preferred in academia for its generalizability and eas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흔히 변수들 간의 복잡한 비선형관계를 포착하기 위해 kernel을 이용해 입력변수의 공간을 변형한 kernel SVM을 사용한다. SVM은 다양한 예측 연구에서 사용되어왔고 토양 수분예측연구에서도 상당히 뛰어난 예측 성능을 보여 국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해보고자 한다. 모델의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hyper parameter인 epsilon과 C 그리고 활용할 kernel function을 tuning하였다.
  • 기본 투입 변수 이외에도 다양한 변수 세트를 구성하고 변수 세트별로 예측 성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했다. 투입변수의 선정은 기계학습 모델의 설명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실제 농업 현장에서 투입변수들을 수집하기 위해 필요한 비용과도 큰 관련이 있으므로 모델의 설명력과 투입변수 획득에 필요한 비용을 고려하여 최적의 변수들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모든 모델은 예측값과 실제값의 제곱의 총합인 Mean squared error (MSE)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함수로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MSE를 모델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공공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래의 토양수분을 예측하는 기계학습 모델을 만들고 이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보성, 순천, 안동, 철원 지역의 농업기상관측 자료와 종관기상관측 자료로부터 토양 수분 데이터와 기상데이터를 추출하고 SVM, RF, ET, GBM, DF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가공하지 않은 데이터(Feature set 1)와 다른 깊이의 토양수분을 추가한 데이터셋(Feature set 2), 강수관련 파생변수와 과거 토양수분 변수를 추가한 데이터셋(Feature set3), 지역/월별 토양 수분 통계량을 추가한 데이터셋(Feature set 4), 이 중 중요한 24개 변수를 선별한 데이터셋(Feature set 5) 간의 예측 성능 차이를 비교하여 어떤 데이터 들이 예측 성능에 더 크게 기여하는지를 확인했다.
  •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 공공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 기계학습 방법론에 기반한 토양수분예측 모델을 만들고 이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 구체적으로는, 전날의 토양수분 및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다음날의 평균 토양수분을 예측하는 Random forest (RF), Extremely randomized tree (ET), Gradient boosted machine (GBM), Support vector machine(SVM), Deeplearning (DL)모델을 만들고 모델별로 성능을 비교함과 동시에 다양한 Feature set, 지역에 따른 예측 성능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국내 다양한 지역에 동시에 적용 가능한 토양 수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 수분의 특징은? 이를 위해서는 미래의 토양 수분을 정확히 예측하고 부족 혹은 과잉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토양 수분은 기상, 토양 특성, 작물 등의 복잡한 관계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복잡한 변화를 예측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토양 수분이란? 토양 수분은 농작물 생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물의 정상적 생장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미래의 토양 수분을 정확히 예측하고 부족 혹은 과잉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토양수분 예측 연구에서 프로세스 기반 모델(processbased model)을 이용한 접근법의 단점은? , 2001). 하지만 이러한 모델들은 식생, 토성, 토양의 표면 저항 등 상당히 많은, 구체적은 변수들이 필요하고, 환경이 이질적인 모든 지점들에 대해 별개의 모델을 만들고 파라미터들을 교정(calibration)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Allen et al., 1998; Sh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len, R. G., L. S. Pereira, D. Raes, and M. Smith,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1-15. 

  2. Breiman, L,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45(1), 5-32. 

  3. Cai, Y., W. Zheng, X. Zhang, L. Zhangzhong, and X. Xue, 2019: Research on soil moisture prediction model based on deep learning. PloS One 14(4). 

  4. Choi, K. M., S. H. Kim, M. Son, and J. Kim, 2008: Soil moisture modelling at the mopsoil of a hillslope in the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using a transfer func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2), 35-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S. W., S. J. Lee, J. Kim, B. L. Lee, K. R. Kim, and B. C. Choi, 2015: Agrometeorological observation environment and periodic report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2), 144-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isty, M., F. Cyprich, and V. Soldanova, 2018: Prediction of soil moisture data by various regression techniques.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Multidisciplinary Scientific GeoConference, Surveying Geology and mining Ecology Management, Sofia, 383-389. 

  7. Drucker, H., C. J. Burges, L. Kaufman, A. J. Smola, and V. Vapnik, 1997: Support vector regression machine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9, 155-161. 

  8. Friedman, J. H., 2001: Greedy function approximation: a gradient boosting machine. Annals of Statistics 29(5), 1189-1232. 

  9. Geurts, P., D. Ernst, and L. Wehenkel, 2006: Extremely randomized trees. Machine Learning 63(1), 3-42. 

  10. Gill, M. K., T. Asefa, M. W. Kemblowski, and M. McKee, 2006: Soil moisture predictio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4), 1033-1046. 

  11. Goodfellow, I., Y. Bengio, and A. Courville, 2016: Deep Learning. MIT press, 1-26. 

  12. He, K., X. Zhang, S. Ren, and J. Sun, 2015: Delving deep into rectifiers: Surpassing human-level performance on imagenet classification. Proceedings of th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Santiago, 1026-1034. 

  13. https://data.kma.go.kr/data/grnd/selectAsosRltmList.do?pgmNo72 (2019. 12. 09) 

  14. https://data.kma.go.kr/data/grnd/selectAsosRltmList.do?pgmNo36 (2019. 12. 09) 

  15. Kingma, D. P., and J. Ba, 2014: Adam: a Method for Stochastic Optimization. Proceedings of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Learning Representations, San Diego. 

  16. Kohavi, R., 1995: A study of cross-validation and bootstrap for accuracy estimation and model selection. Ijcai 14(2), 1137-1145. 

  17. Laio, F., A. Porporato, L. Ridolfi, and I. Rodriguez-Iturbe, 2001: Plants in water-controlled ecosystems: active role in hydrologic processes and response to water stress: II. Probabilistic soil moisture dynamic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24(7), 707-723. 

  18. Natekin, A., and A. Knoll, 2013: Gradient boosting machines, a tutorial. Frontiers in Neurorobotics 7, 21pp. 

  19.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2004: Community Land Model version 3.0 (CLM3. 0) developer's guide. U. S. Department of Energy. 

  20. National Weather Service, 1976: Catchment modeling and initial parameter estimation for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river forecast system. Office of Hydrology. 

  21. Nielsen, D., 2016: Tree boosting with XGBoost-why does XGBoost win "every" machine learning competition? NTNU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2. Oleson, K. W., Y. Dai, G. Bonan, M. Bosilovich, R. Dickinson, P. Dirmeyer, F. Hoffman, P. Houser, G. Y. Niu, P. Thornton, M. Vertenstein, Z. L. Yang, and X. Zeng, 2004: Technical description of the Community Land Model (CLM). NCAR Technical Note NCAR/TN-461+STR. 

  23. Pavlenko, T, 2003: On feature selection, curse-ofdimensionality and error probability in discriminant analysis. Journal of Statistical Planning and Inference 115(2), 565-584. 

  24. Prakash, S., A. Sharma, and S. S. Sahu, 2018: Soil Moisture Prediction Using Machine Learning. Proceedings of 2018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ventive Communication and Computational Technologies, Coimbatore, Institu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6. 

  25. Shin, Y., B. P. Mohanty, and A. V. Ines, 2018: Development of non-parametric evolutionary algorithm for predicting soil moisture dynamics. Journal of Hydrology 564, 208-221. 

  26. Song, J., D. Wang, N. Liu, L. Cheng, L. Du, and K. Zhang, 2008: Soil moisture prediction with feature selection using a neural network. Proceedings of 2008 Digital Image Comput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Canberra, Institu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0-136. 

  27. Van Dam, J. C., J. Huygen, J. G. Wesseling, R. A. Feddes, P. Kabat, P. E. V. Van Walsum, P. Groenendijk, and C. A. Van Diepen, 1997: Theory of SWAP version 2.0; Simulation of water flow, solute transport and plant growth in the soil-wateratmosphere-plant environment, TD45.HM/10.97, DLO Winand Staring Centre, Wageningen. 

  28. Vapnik, V., S. E. Golowich, and A. J. Smola, 1997: Support vector method for function approximation, regression estimation and signal processing.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9, 281-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