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의 융합적 비교연구
Convergence Comparative Study of Presenteeism by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Versus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5, 2020년, pp.36 - 41  

이소영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현일선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을 비교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10월1일부터 12월 30일까지 D시, G도 소재 요양병원 3곳과 종합병원 2곳에서 현 근무경력 6개월 이상인 요양병원 간호사 74명, 종합병원 간호사 75명을 대상으로 총 14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시행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는 종합병원 간호사보다 건강문제, 직무손실과 지각된 노동력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분류에 따른 업무강도의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요양병원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에 관한 조직적인 측면의 관리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presenteeism of nursing in long-term care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01, 2019 to December 30, 2019. 74 nursing in long-term care hospital and 75 nursing in general hospital in this study. The collect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와 종합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 정도를 비교·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 요양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의 본 연구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의 정도와 종합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 정도를 비교·분석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에 대하여 알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리젠티즘은 무엇인가? 프리젠티즘(Presenteeism)은 눈에 나타나지 않는 경미한 건강 문제들이 근로자들에게 영향을 미쳐 생산성 손실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것을 의미한다[1]. 이러한 경미한 건강 문제로는 결근으로 이어질 확률이 낮은 감기, 두통, 불면증, 만성 위염 등 표면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될 경우 업무수행능력을 감소시켜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건강 문제를 말한다[1,2].
미국과 한국의 간호사의 근무 형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그러나 요양병원은 노인환자의 전문가적 돌봄, 일상생활지원과 교대근무로 기혼 간호사가 자신을 돌볼수 있는 여유는 더욱 부족하여 근무에 대한 부담감은 건강문제로 나타날 것이다[12,20]. 미국의 경우 주 3일에 2교대 근무로 1인당 담당 환자 수 5.4명으로 한국의 1인당 담당 환자 수 19.5명에 주 3일의 근무 형태보다 탄력적인 환경을 가지며 간호사들의 직무 만족감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20]. 현재 국내에서도 다양한 근무제도 도입을 노력하고 있지만, 제도적인 바탕이 부족하여 간호사의 근무 형태에 실질적인 변화는 미비하므로 정책적인 보완이 더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병원조직과 간호관리자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을 관리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노인환자를 전문적으로 돌볼 수 있는 간호사 부족으로 비전문인력인 간호조무사가 대체하며 요양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노동력은 여전히 높고, 이에 따른 건강 문제의 잠재성도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은 한 조직의 건강 수준과 의료서비스 질을 대변하는 변수 중 하나로 간호서비스 질과 연결되므로 병원조직과 간호관리자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프리젠티즘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G. Johns. (2010). Presenteeism in the workplace : A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Organiztional Behavior, 31(4), 519-542. 

  2. F. S. Walter, J. A. Ricci, E. Chee, S. R. Hahn & D. Morganstein. (2003). Cost of lost productive work time among us worker with depress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23), 3135-3144. 

  3. S. B. Hassmiller & M. Cozine. (2006). Addressing the nurse shortage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Health Affairs, 25(1), 268-274. 

  4. G. S. Jeong. (2015). Meeting for head of the department of nurs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Nurse News, 1. 

  5.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7). Direction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among nurses. The Korean Nurse, 263, 43-47. 

  6. Y. M. Lee & M. H. Jung. (2008). Economic Impact according to health problems of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4), 612-619. 

  7. Y. R. Chin & H. Y. Lee. (2018). General Health Status and Physical Care Burdens of Patients Group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2(1), 81-93. DOI :10.12811/kshsm.2018.12.1.081 

  8. Y. M. Lee, M. H. Jung, M. Arakida, R. Watanabe & S. Suzuki. (2008).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esenteeism of nurses in Korea and Japan.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18(4), 253-261. 

  9. J. G. Lee, D. W. Lee, H. W. Ko, O. K. Rho & C. H. Oh. (2019). Rehabilitation Plan of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Syste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7th Health Insurance Policy Review Committee. 

  10. A. L. Han & S. H. Kwon. (2016). Effect of self-leadship and self-efficacy on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working o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8(1), 12-21. DOI:10.17079/Jkgn.2016.18.1.12 

  11. M. W. Lee. (2015). The Influence of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geriatric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9). 3rd cycle nursing hospital certification criteria.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3. J.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R. S. Turpin, R. J. Ozminkowski, C. E. Sharda, J. J. Collins, M. L. Berger & G. M. Billotti. (200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anford presenteeism Sca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6(11), 1123-1133. DOI : 10.1097/01.jom.0000144999.35675.a0 

  15. Y. M. Lee. (2006). The effect of stress on presenteeism in workers of factory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J. H. Ko, M. H. lm & J. G. Gwon. (2020).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silience on Presenteeism among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9(1), 38-48. DOI :10.5807/kjohn.2020.29.1.38 

  17. E. Y. Yeom, G. S. Jeong & K. A. Kim, (2015). Influencing factors on presenteeism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4), 302-312. DOI : 10.5807/kjohn.2015.24.4.302 

  18. I. S. Jang, J. Y. Park, E. J. Jo & M. H. Jung. (2018). The Effects of major health issues and job stress on presenteeism among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7(2), 121-130. DOI :10.5807/kjohn.2018.27.2.121 

  19. J. I. Elstad & M. Vabo. (2008). Job stress, sickness absence and sickness presenteeism in Nordic elderly care.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6(5), 467-474. 

  20. L. J. Fragar & J. C. Depczynski. (2011). Beyond 50. challenges at work for older nurses and allied health workers in rural Australia : A thematic analysis of focus group discussion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1(42). DOI :10.1186/1472-6963-11-42 

  21. B. R. Jeon & Y. G. Noh. (2018).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Social Support on Retention Intention among Married Female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261-270. DOI :10.14400/JDC.2018.16.10.261 

  22. Y. M. Lee & D. Y. Lee. (2018, March 20). Taewom American nurses "Worked 3 days a week, doubled annual salary ${\uparrow}$ ", [Internet]. Money Today[cited 2020 April 10]. Available from: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031919254804332&typ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