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리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효용성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Types of The Utility of The Field Practice Program for The Culinary Major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5, 2020년, pp.128 - 139  

정현채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  김찬우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리 관련 학과에서 실시하고 있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인식유형연구로서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학과에서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이수가 졸업충족요건 및 전공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특수 한 경우 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유형을 도출하고 그 유형들 간의 특성과 함의를 분석함으로서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과 쟁점들을 탐구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인식 유형 분석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은 다음과 같이 각각 그 특이성에 따라 명명하였다. 제 1유형(N=8) : 목표의식 설정 유형(Sense of Purpose Setting type), 제 2유형(N=8): 상호작용 기술습득 유형(Interaction Skill Acquisition Types), 제3유형(N=6): 전공실무교육 확대 유형(Major Practice Education Enlargement Type), 제4유형(N=6): 현장 적응력 향상 유형(Field Adaptability Improvement Type)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실습 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실무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제공하기 위해 정부의 현장실습 제도방안개선, 대학과 산업체 간의 현장실습 규정 체계화, 학과의 신규 산업체 발굴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recognition type study on the usefulness of the field-practice program conducted by departments related to eating out and coo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mmon types found amo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the-job training in special cases where the completi...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경험은 관광, 외식, 조리전공자와 같이 전공결정과 취업으로 연계되는 경우 참여자의 효과에 대한 검증은 더욱 필수적이라고 고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적용함으로 서 학습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인식, 가치, 경험, 태도, 신념 등 개념의 주관성을 발견하여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가진 공통된 생각을 발견 하고자 한다[27]. 이를 통해 주관적 인식유형 도출, 유형 간의 특성 및 함의 도출, 주관성의 공통점을 발견함으로서 각각의 유형분석을 통해 미래의 유사한 연구에서 시사점 제공뿐만 아니라 대학교육 효율성 제고 및 효과 에 대한 검증 연구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 할 것이라 고 판단된다[27].
  • 앞서 언급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여 볼 때, 대학 현장실습의 효율적인 운영 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R방법론1)적 연구와 제한적인 사례 연구들로 공통적이며 원론적인 제안 수준에만 머무르고 있으며, 현장실습 참여자에 대한 주관성을 다루는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을 운영하는 대학과 산업체가 아닌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현재 상황을 인지 하고 있는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토대로 대학 현장의 운영 실정을 반영한 문제점과 보완점을 도출하여 국내 조리전공 관련 학과에서 진행하는 현장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을 운영하는 대학과 산업체가 아닌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현재 상황을 인지 하고 있는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토대로 대학 현장의 운영 실정을 반영한 문제점과 보완점을 도출하여 국내 조리전공 관련 학과에서 진행하는 현장실습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실습 프 로그램의 효용성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로서 주관적 인식과 그 속에 나타나는 공통된 구조를 파악하고 발견하고자 한다. 최근 조리·외식 관련 선행연구와 집단 및 개별 인터뷰를 토대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조리전공 대학생의 주관적인 인식과 그 구조의 발견을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장실습 프로그램 효용성에 대한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한 연구이다. 주관적 인식유형의 다각적 분석을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연구문제로는 첫째, 조리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효용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과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주관적인 차이점은 무엇인가?,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주관성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장실습 프로그램 효용성에 대한 조리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는 Q모집단을 구성한 후 사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인터뷰 자료를 기반으로 진술문 (Q-statement)을 작성하였으며, Q모집단의 표본에 수집된 30명의 자료는 PC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질문문항과 변수 혹은 대상자의 상화관계를 분석하는 Q 요인분석(Q-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34].
  • 과거 조리전공 현장실습에 관련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많은 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개인의 주관성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 프로그램 종료 후 개인의 경험, 느낌, 생각 등을 바탕으로 Q방법론적 분석을 통해 다각적인 규명을 실시하는 주관성 연구를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조리전공 학생과 같은 실무능력 및 경험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 더욱더 그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조리전공 학생과 같은 실무능력 및 경험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 더욱더 그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 관련 학과에서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이수가 졸업 충족요건 및 전공필수과목으로 지정된 특수한 경우 현장 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주관성에 대한 Q방법론적 분석을 행함으로서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과 쟁점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앞서 발견된 현장실습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성공적으로 안착될 경우 학생들은 현장경험을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하고 기업은 우수한 인재의 조기 확보가 이루어 질 것이며, 고용비용 및 재교육 비용의 절감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장실습이란? 현장실습은 학생이 졸업 후 전공 관련 산업체에 취업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기술·태도 등을 미리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로서[2], 이론 비중이 높은 대학교육과 실무능력을 중요시하는 산업체 수요의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취업률 제고의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3]. 하지만 과거 몇 년 전부터 실습의 목적과 다르게 현장에서 많은 실습생들이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교육의도에서 벗어나는 부분이 지적되어 왔다.
현장실습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는 이유는? 산업체에서는 현장실습이 교육적 경험의 목적이 아닌 학생들에 과도한 업무를 요구하는 사례가 발생하는가 하면 몇몇 기업의 경우 현장실습이라는 명목으로 실습 지원비를 최저시급으로 책정하여 지급하지 않거나 터무니없는 금액을 지급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현장실습을 둘러싸고 기업과 대학, 학생 간의 고충이 조율되지 않은 상황에서 학생들은 적절한 직무 체험에 서 벗어나 ‘열정페이’에 노출되고 있으며,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5]. 이로 인해 많은 현장실습 참여자들은 자신의 전공과 관련하여 진로결정과정에서 회의감을 느끼거나 졸업 후 취업을 꺼려하고 심지어 학기 중 전공 변경자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나타나고 있다[1].
현장실습에서 대학의 역할은? 즉 실습참여자, 기업, 학교가 함께 공동으로 하는 산학협동교육의 한 형태로서 참여자는 교육과정에서 습득한 이론지식과 실무를 토대로 취업 전 현장 선행 경험을 통해 올바른 진로선택 및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주는 교육제도이다[8-10]. 또한 대학은 전공 학생들의 현장 실습 프로그램 과정에서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자기개발과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동기유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11]. 이러한 현장실습의 명칭은 연구자들에게 다양하게 해석되어왔으며, 형태에 따라 산업체 현장실습, 산학협동교육프로그램, 국내·외 인턴쉽 프로그램 등으로 각각 다양하게 언급되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유은진, "항공관광과 학생의 현장실습 복리후생과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자긍심과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0권, 제9호, pp.421-441, 2018 

  2. "대학생 현장실습 10명 중 4명 무급," https://www.sedaily.com/NewsView/, 2019.12.27. 

  3. 장후은, 허선영, 이종호, "대학의 현장실습 운영 실태 및 정책 과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8권, 제2호, pp.493-500, 2017 

  4. "'열정페이' 대학생 현장실습…내년부터 대폭 개선," http://goodnews1.com/news/news_view, 2020,01,23. 

  5. "대학 현장실습 '열정페이' 노동 착취 없앤다", 뉴스토마토, http://www.newstomato.com/ReadNews, 2020.01.15. 

  6. 장후은, 채민수, 이종호,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현장 실습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84-184, 2016. 

  7. 김선희, 조휘일, 사회복지실무, 서울: 양서원, 2000. 

  8. 박영기, 윤지환,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취업준비와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제18권, 제1호, pp.237-250, 2006. 

  9. T. Groenewal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design illustrated,"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Methods, Vol.3, No.1, pp.42-55, 2004. 

  10. 임정연, 현장실습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1. 김희기, 이준재, "호텔외식조리 전공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유형과 자기효능감, 취업기대감, 진로준비행동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6호, pp.233-251, 2011. 

  12. 정성휘, "전문대학 현장실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비서학전공을 중심으로," 비서 사무경영연구, 제28권, 제1호, pp.5-28, 2019 

  13. "현장실습생을 구합니다," 수요논단,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 2019.12.18. 

  14. 대학알리미, https://www.academyinfo.go.kr/search/search, 2020.02.20. 

  15. 이문수, 오창현, 김남호, 하준홍, "미국 및 캐나다 Co-op프로그램 성공요인 분석을 위한 사례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제3권, 제12호, pp.121-127, 2011. 

  16. 이우영, 조세형, 설진수, 손덕수, "대학교육에서 강화된 장기현장실습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제4권, 제1호, pp.99-107, 2012. 

  17. 오창헌, 하준홍, 김남호, 조재수, 엄기용, "장기현장실습(IPP) 제도를 위한 학사운영 방안,"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제4권, 제2호, pp.110-115, 2012. 

  18. 오창헌, "장기현장실습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IPP 전담교수의 역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제5권, 제2호, pp.129-137, 2013. 

  19. 오창헌, 엄기용, "대학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성과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의 사례,"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제32권, 제4호, pp.155-173, 2015. 

  20. 최순식, "현장실습 운영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방안에 관한 연구 -충청지역 A대학교의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사업을 중심으로-," 기업경영리뷰, 제6권, 제1호, pp.151-175, 2015. 

  21. 전영직, 오석태, "대학생 중심 산학협동 현장실습생의 중요도 인식과 만족도가 취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제20권, 제4호, pp.253-265, 2014. 

  22. 이종호, "현장 실습 프로그램의 인식 차이에 따른 집단간 만족도 비교," 한국조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91-104, 2007. 

  23. 김종귀, 조리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만족도 및 근무자의 평가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4. 김덕환, 호텔 양식당의 조리관련학과 학생대상 산학 실습 중요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5. S. Watts and P. Stenner, "Doing Q Methodology: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Qualitative Research in Psydhology, Vol.2, pp.67-91, 2005. 

  26. 김범종, "Q방법론의 이해와 소비자 연구에의 적용," 한국마케팅저널, 제1권, 제3호, pp.120-140, 1999. 

  27. 신승훈, 김찬우, "조리전공 대학생의 요리경연대회 참가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598-608, 2019. 

  28. 김찬우, 신승훈, "외식창업교육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조리전공 재학생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팝업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pp.347-358, 2019. 

  29. J. Dryzek, Discursive Demo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0. S.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p.46, 1980. 

  31. S. Brown, D. During, and S. Selden, "Q Methodology," In G. Miller and M. Whicker, ed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Public Administration, New York: Marcel Dekker, 1999. 

  32. 김찬우, "전문대학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648-660, 2018. 

  33. 김찬우, 신승훈, "외식업체 빅 블러(Big Blur)현상과 키오스크(Kiosk)도입에 따른 이용고객의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5호, pp.268-279, 2019. 

  34. 김찬우, "미쉐린 가이드 레스토랑 이용고객에 대한 주관성 연구 : Q방법론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635-646, 2018. 

  35. 이제영,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고객에 대한 음식 선호도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507-510,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