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종감염병 대응 비의료인 전담요원 개인보호구 착탈의 융합 교육 효과
Convergence Education Effect of Donning and Do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Non-medical Personnel to the New Infectious Diseas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353 - 361  

김지현 (충남대학교병원 감염관리실) ,  김선애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  전인영 (충남대학교병원 감염관리실) ,  김종임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종감염병 대응 전담요원의 개인보호구 착탈의 융합 교육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Level D 개인보호구 착용 기준에 적합한 28명의 비의료인 신종감염병 대응 전담요원을 대상으로 2018년 3차에 걸쳐 교육 후 개인보호구 착탈의 점수를 수집하였으며 프리드만 검정(Friedman)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s Tes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횟수에 따른 분석에서 착의점수는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탈의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차수별 분석에서는 착의 점수는 1차보다 3차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탈의 점수는 1차보다 3차에서 점수가 상승하였으나 유의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비의료인이기 때문에 지식이 부족하지만 감염병에 접촉할 확률이 크기 때문에 교육이 필요한 점에서 의미가 크며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개인보호구 탈의 교육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 교육회수의 증가 혹은 주기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중요하다고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nfirm the convergence education effect of donning and doff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PPE) for Non-medical Personnel. Method: Three training sessions in 2018 were conducted for 28 dedicated staff who met Level 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fter th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Level D 개인보호구 착용 기준에 적합한 28명의 신종감염병 대응 비의료인 전담요원을 대상으로 감염관리실 간호사가 착탈의 교육을 한 후 개인보호구 착탈의 점수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실무 측면에서 간호사가 비의료인 전담 요원으로 선발되는 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착탈의 훈련을 반복 실시한 후 효과를 비교 검증함으로써 추후 신규 직원 교육 및 직무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간호교육 측면에서도 체크리스 형식의 평가 도구를 통한 객관적 평가와 각 항목간의 변화의 개별화된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신종감염병 대응 비의료인 전담요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2차 자료를 활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종감염병 대응 비의료인 전담요원의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본 연구에서 훈련과 평가를 3회 반복한 것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개인보호구 장비 착용효과를 확인한 연구에서 3회 반복 훈련과 평가를 실시한 것에 근거하였다[16]. 이에 본 연구는 신종감염병 의심 및 확진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안전한 대응을 위한 역량강화를 위해 신종감염병 대응 비의료인 전담요원을 대상으로 개인보호구 착탈의 교육 및훈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추후 신종감염병 감염관리 역량강화 및 감염관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르스가 한국에 일으킨 피해는 어느정도인가? 메르스의 경우 2012년 첫 번째로 사우 디에서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이하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증이 발견된 이후 지속적으로 환자가 지역에 발생하였다. 한국에서는 이의 국내 유입에 대한 대비가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 해외 유입환자를 통하여 감염이 발생하여 186명이 감염되고 38명이 사망하는 결과를 초래 하였다[2]. 감염성 질환의 전파 예방을 위하여 적절한 개인보호구 사용은 환자의 혈액, 체액 등의 노출로부터 의료인을 보호하는 일차적이고 물리적인 방어수단이다.
신종감염병의 정의는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신종감염병을 20년 동안 증가경향을 보였거나 앞으로 증가 위험이 있는 감염병으로 정의하고 있다[1]. 메르스의 경우 2012년 첫 번째로 사우 디에서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이하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증이 발견된 이후 지속적으로 환자가 지역에 발생하였다.
감염성 질환의 확산은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또한 2019년 말 시작된 신종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발생으로 인하여 신종감염병 확산 방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졌다. 이러한 감염성 질환의 확산은 의료인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관심을 매우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며 마스크를 중심으로 한 올바른 개인 보호 장비의 착용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 E. Jones et al. (2008). Global trends in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Nature, 451, 990-3. DOI: 10.1038/nature06536.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RS Data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http://www.mers.go.kr/mers/html/jsp/Menu_B/content_B1.jsp?cid26740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Interim guidelines for MERS response the 3-3 edition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http://cdc.go.kr/CDC/info/CdcKrHealth0295.jsp?menuIdsHOME001-MNU2374-MNU2375-MNU1509-MNU1915&cid63921. 

  4. T. Jefferson et al. (2008). Physical interventions to interrupt or reduce the spread of respiratory viruses: a systematic review. BMJ, 336(7635), 77-80. DOI:10.1002/14651858.CD006207.pub4. 

  5. R. Mitchell et al. (2013). Are health care workers protected? An observational study of selection and removal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Canadian acute care hospital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1(3), 240-244. DOI:10.1016/j.ajic.2012.04.332 

  6. E. L. Beam, S. G. Gibbs, K. C. Boulter, M. E. Beckerdite & P. W. Smith. (2011). A method for evaluating health care worker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echniqu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9(5), 415-420. DOI:10.1016/j.ajic.2010.07.009 

  7. J. H. Kang. (2018). Simulation Results for Contamination Comparisons by Various Use Protocol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93(1), 41-49. DOI:10.3904/kjm.2018.93.1.41 

  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2002). Technical Manual, Secti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Chapter 1: Chemical protective clothing . OSHA.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2018 MERS Response Guidelines,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partment. 

  10. K. N. Kim & O. C. Lee. (2016).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Nurses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Response to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23(4), 402-410. DOI:10.7739/jkafn.2016.23.4.402 

  11.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partment. (2017). National Hospitaliz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KCDC. 

  12.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partment. (2019). Guidelines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of inpatient hospital beds specified by the country.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 :11-1352159-001350-14. KCDC. 

  13. K. L. Koenig. (2015). Health care worker quarantine for Ebola: to eradicate the virus or alleviate fear?, Ann Emerg Med, 65(3), 330-331. DOI:10.1016/j.annemergmed.2014.12.003 

  14. S. Buhler, P. Roddy, E. Nolte & M. Borchert. (2014). Clinical documentation and data transfer from Ebola and Marburg virus disease wards in outbreak settings: health care workers' experiences and preferences. Viruses, 6(2), 927-937. DOI:10.3390/v6020927 

  15. S. M. Lim, W. C. Cha, M. K. Chae & I. J. Jo. (2015). Contamination during doffing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by healthcare providers. Clinical and experimental emergency medicine, 2(3), 162-167. DOI:10.15441/ceem.15.019 

  16. E. Casalino, E. Astocondor, J. C. Sanchez, D. E. Diaz-Santana, C. del Aguila & J. P. Carrillo. (2015).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the Ebola virus disease: A comparison of 2 training program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3(12), 1281-1287. DOI:10.1016/j.ajic.2015.07.007 

  17. C. Zellmer, S. Van Hoof & N. Safdar. (2015). Variation in health care worker removal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43(7), 750-751. DOI:10.1016/j.ajic.2015.02.005 

  18. K. J. June & E. Choi. (2016). Infection control of hospital nurses: Cases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1), 1-8. DOI:10.5807/kjohn.2016.25.1.1 

  19. W. E. Northington, G. M. Mahoney, M. E. Hahn, J. Suyama & D. Hostler. (2007). Training retention of level C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e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personnel. Acad Emerg Med, 14(10), 846-9. DOI: 10.1197/j.aem.2007.06.034 

  20. M. Y. Hwang, G. W. Jang & S. S. Park. (2017).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ge, attitude, and re-education about basic CPR re-education. J Korean Soc Dent Hyg, 17(1), 1-11. DOI: 10.13065/jksdh.2017.17.01.1 

  21. Y. S. Park et al. (2006). How knowledge-only reinforcement can impact time-related changes in basic life support (BLS) skills of medical students on clinical clerkship. J Korean Soc Emerg Med, 17(1), 45-50. 

  22. J. H. Kwon, C. D. Burnham, K. A. Reske, S. Y. Liang, T. Hink, M. A. Wallace, A. Shupe, S. Seiler, C. Cass, V. J. Fraser, E. R. Dubberke, and for the CDC Prevention Epicenters. (2017). Assessment of Healthcare Worker Protocol Deviations and Self-Contamination Du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onning and Doffing.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38(9), 1077-1083. DOI:10.1017/ice.2017.121. 

  23. Y. M. No, Y J. Nam, H. R. Lee, T. H Kim, C. H. Kim & S. D. Shin. (2018). Fundament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2(1), 83-97. DOI:10.14408/KJEMS.2018.22.1.083 

  24. K. Kim & O. Lee. (2016).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Nurses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Response to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02-410. DOI:10.7739/jkafn.2016.23.4.402 

  25. D. Schwartz, S. Shapira & Y. Bar-Dayan. (2014). Health care workers' knowledge and confidence i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uring the H1N1 pandemic in Israel.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8(2), 150-157. DOI:10.1017/dmp.2014.25 

  26. J. E. Zamora, J. Murdoch, B. Simchison & A. G. Day. (2006). Contamination: a comparison of 2 personal protective systems, CMAJ, 175(3), 249-54. DOI:10.1503/cmaj.060094 

  27. M. E. Tomas, S, Kundrapu, P. Thota, V. C. Sunkesula, J. L Cadnum, T. S. C. Mana & A. J. Ray. (2015). Contamination of health care personnel during removal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JAMA Internal Medicine, 175(12), 1904-1910. DOI:10.1001/jamainternmed.2015.4535 

  28. A. John, M. E. Tomas, A. Hari, B. M. Wilson & C. J. Donskey. (2017). Do medical students receive training in correct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edical Education Online, 22(1), 1264125. DOI: 10.1080/10872981.2017.1264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